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 문제와 형제 갈등 = The issues about women and the conflicts between brothers through <Banssi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4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nssijeon> is the novel dealing with a unique theme that have hardly been seen in any other domestic novel, troubles caused by daughters-in-law under the same roof. A family is a group where various interests are coexisting so that there should be some conflicts in it. In general, the relation between two daughters-in-law is a secondary one mediated by their husbands as well as a competitive one against their parents-in-law, which makes the relation very complex. <Banssijeon> is, however, showing some complications between the daughters-in-law and the parents-in-law on the surface, and bringing the affairs to the simple conclusion by driving out one of the daughters-in-law thought of as causing the complications. The reason for this simple conclusion is that the novel views the complications not as the ones which can happen in their relations but as the ones caused by a matter of personality.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issues that this novel only describes the complications made by daughters-in-law and their mother-in-law on the surface, except for the complications caused by brothers. The writer’s view in this novel has a bias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caused by a matter of wicked personality, specifically women’s personality, which views women as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theme in this novel, only women become the focus of their problems described in it. Women are the apples of discord, can not be expected to be concord with other women. It is because there is invisible hierarchy between them under the same roof. This hierarchy leaves their conflicts unsolved. It spots a woma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and settles the problem superficially by kicking her out. However, there is only one exceptional character in the novel, who is a heroin “Banssi.” She is described as an outsider. Because of this, she does not make any trouble and is not be see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happening in the novel. Rather, she is considered one held in the high esteem through her hardship and perseverance.
      On the other hand, <Banssijeon> does forgive men for their faults, and even overlook their problems. The direct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avoided and showed indirectly only by the weak, women, and their conflicts, especial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mother-in-law. Therefore, the complications caused by men in it are forgiven and solved by their harmony. Also men are not excluded in their relation and driven out of it.
      The women’s problem in <Banssijeon> is biased by dichotomous standards of seeing women as “good and evil” under the social ideology at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ideology tried to subordinate women to men and make women under the command of the men.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Banssijeon> avoids mentioning any problems of men, but describes women as immature and incomplete beings.
      번역하기

      <Banssijeon> is the novel dealing with a unique theme that have hardly been seen in any other domestic novel, troubles caused by daughters-in-law under the same roof. A family is a group where various interests are coexisting so that there shoul...

      <Banssijeon> is the novel dealing with a unique theme that have hardly been seen in any other domestic novel, troubles caused by daughters-in-law under the same roof. A family is a group where various interests are coexisting so that there should be some conflicts in it. In general, the relation between two daughters-in-law is a secondary one mediated by their husbands as well as a competitive one against their parents-in-law, which makes the relation very complex. <Banssijeon> is, however, showing some complications between the daughters-in-law and the parents-in-law on the surface, and bringing the affairs to the simple conclusion by driving out one of the daughters-in-law thought of as causing the complications. The reason for this simple conclusion is that the novel views the complications not as the ones which can happen in their relations but as the ones caused by a matter of personality.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issues that this novel only describes the complications made by daughters-in-law and their mother-in-law on the surface, except for the complications caused by brothers. The writer’s view in this novel has a bias that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caused by a matter of wicked personality, specifically women’s personality, which views women as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 theme in this novel, only women become the focus of their problems described in it. Women are the apples of discord, can not be expected to be concord with other women. It is because there is invisible hierarchy between them under the same roof. This hierarchy leaves their conflicts unsolved. It spots a woma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and settles the problem superficially by kicking her out. However, there is only one exceptional character in the novel, who is a heroin “Banssi.” She is described as an outsider. Because of this, she does not make any trouble and is not be see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s happening in the novel. Rather, she is considered one held in the high esteem through her hardship and perseverance.
      On the other hand, <Banssijeon> does forgive men for their faults, and even overlook their problems. The direct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re avoided and showed indirectly only by the weak, women, and their conflicts, especial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mother-in-law. Therefore, the complications caused by men in it are forgiven and solved by their harmony. Also men are not excluded in their relation and driven out of it.
      The women’s problem in <Banssijeon> is biased by dichotomous standards of seeing women as “good and evil” under the social ideology at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ideology tried to subordinate women to men and make women under the command of the men.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Banssijeon> avoids mentioning any problems of men, but describes women as immature and incomplete be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반씨전>은 다른 가정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동서 갈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가족이 다양한 관계가 공존하는 집단이니만큼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의 소지가 있다. 특히 동서지간은 남편을 사이에 둔 2차적인 관계이면서, 시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쟁의 관계이기도 하기에 더욱 복잡한 관계인 셈이다. 그러나 <반씨전>은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내세우고, 갈등을 야기한 인물로 특정 며느리만을 지목하여 집안에서 축출하고 이로써 갈등이 해결된 것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것은 갈등을 관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인격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반씨전>이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그리면서 그 이면에 담긴 형제 갈등은 간과하고 있다 데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하였다. 작품은 인물간의 갈등을 단순히 특정 인물의 악한 성품에 기인한다고 보아 다양한 여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은 갈등을 야기하는 인물이다. 여기서 발생한 여성의 갈등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다. 여성은 다른 여성을 상대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갈등의 해소나 화합은 기대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위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위계질서는 여성 간의 갈등을 미해결 상태로 남기고, 단순히 문제를 만든 인물을 지목하여 구성원에서 쫓아내는 것으로 갈등을 봉합한다. 그러나 작품 속 여성 중 예외가 되는 인물도 있다. 주인공인 반씨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녀는 작품 속에서 철저히 타자화 된 인물로 그려진다. 그렇기 때문에 갈등을 야기하지도, 문제의 인물로 지목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고난과 인내의 과정을 통해 추앙받는 인물로 그려진다.
      반면, <반씨전>은 남성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용서하거나 묵인한다. 인물 사이의 직접적인 갈등의 상황은 피하고, 약자나 이면을 통해 갈등이 간접적으로 표출될 뿐이다. 이때 이용된 것인 바로 여성, 특히 고부간, 동서 간의 갈등이다. 그러므로 남성간의 갈등은 용서나 화해를 통해 해결되고, 남성들은 관계에서 배제되거나 축출되지 않는다.
      <반씨전>이 갖고 있는 이러한 여성 문제는 당대 사회 이념이 여성을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에 의해 구분하고, 그 안에서 여성을 남성에게 종속화하여 통솔하려는 의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들의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회피하면서 여성을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반씨전>은 다른 가정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동서 갈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가족이 다양한 관계가 공존하는 집단이니만큼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의 소지가 있다. 특히 동서지간은 ...

      <반씨전>은 다른 가정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동서 갈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가족이 다양한 관계가 공존하는 집단이니만큼 그 속에는 다양한 갈등의 소지가 있다. 특히 동서지간은 남편을 사이에 둔 2차적인 관계이면서, 시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쟁의 관계이기도 하기에 더욱 복잡한 관계인 셈이다. 그러나 <반씨전>은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내세우고, 갈등을 야기한 인물로 특정 며느리만을 지목하여 집안에서 축출하고 이로써 갈등이 해결된 것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것은 갈등을 관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인격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반씨전>이 동서와 고부 갈등을 표면에 그리면서 그 이면에 담긴 형제 갈등은 간과하고 있다 데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하였다. 작품은 인물간의 갈등을 단순히 특정 인물의 악한 성품에 기인한다고 보아 다양한 여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은 갈등을 야기하는 인물이다. 여기서 발생한 여성의 갈등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다. 여성은 다른 여성을 상대로 갈등을 일으키지만 갈등의 해소나 화합은 기대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위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위계질서는 여성 간의 갈등을 미해결 상태로 남기고, 단순히 문제를 만든 인물을 지목하여 구성원에서 쫓아내는 것으로 갈등을 봉합한다. 그러나 작품 속 여성 중 예외가 되는 인물도 있다. 주인공인 반씨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녀는 작품 속에서 철저히 타자화 된 인물로 그려진다. 그렇기 때문에 갈등을 야기하지도, 문제의 인물로 지목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고난과 인내의 과정을 통해 추앙받는 인물로 그려진다.
      반면, <반씨전>은 남성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용서하거나 묵인한다. 인물 사이의 직접적인 갈등의 상황은 피하고, 약자나 이면을 통해 갈등이 간접적으로 표출될 뿐이다. 이때 이용된 것인 바로 여성, 특히 고부간, 동서 간의 갈등이다. 그러므로 남성간의 갈등은 용서나 화해를 통해 해결되고, 남성들은 관계에서 배제되거나 축출되지 않는다.
      <반씨전>이 갖고 있는 이러한 여성 문제는 당대 사회 이념이 여성을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에 의해 구분하고, 그 안에서 여성을 남성에게 종속화하여 통솔하려는 의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들의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회피하면서 여성을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정, "한국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지성사 1-374, 1988

      2 조춘호, "한국문학에 형상화된 형제 갈등의 양상과 의미" 경북대학교 출판부 1-284, 1994

      3 김양희, "한국 가족의 갈등 연구" 중앙대학교 출판부 1-292, 1993

      4 우쾌제, "한국 가정소설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319, 1988

      5 이승복, "처첩갈등을 통해서 본 가정소설과 가문소설의 관계 양상" 서울대 1995

      6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신분상승과 가부장제문화" 한울아카데미 1-371, 2003

      7 박태상, "조선조 가정소설 연구-계모형, 쟁총형 소설을 중심으로" 연세대 1988

      8 김귀석, "조선시대 가정소설론" 국학자료원 1-292, 1997

      9 이지하, "일반논문: 同壻葛藤 전개 양상을 통해 본 <衛氏節行錄>과 <潘氏傳>의 비교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30): 323-350, 2006

      10 박용옥, "유교적 여성관의 재조명" 한국여성학회 1 : 7-55, 1985

      1 조혜정, "한국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지성사 1-374, 1988

      2 조춘호, "한국문학에 형상화된 형제 갈등의 양상과 의미" 경북대학교 출판부 1-284, 1994

      3 김양희, "한국 가족의 갈등 연구" 중앙대학교 출판부 1-292, 1993

      4 우쾌제, "한국 가정소설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319, 1988

      5 이승복, "처첩갈등을 통해서 본 가정소설과 가문소설의 관계 양상" 서울대 1995

      6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신분상승과 가부장제문화" 한울아카데미 1-371, 2003

      7 박태상, "조선조 가정소설 연구-계모형, 쟁총형 소설을 중심으로" 연세대 1988

      8 김귀석, "조선시대 가정소설론" 국학자료원 1-292, 1997

      9 이지하, "일반논문: 同壻葛藤 전개 양상을 통해 본 <衛氏節行錄>과 <潘氏傳>의 비교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30): 323-350, 2006

      10 박용옥, "유교적 여성관의 재조명" 한국여성학회 1 : 7-55, 1985

      11 조나단 킬러, "여성으로서의 독해, In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69-192, 1988

      12 주희, "소학" 홍익출판사 1-430, 2008

      13 이원수, "반씨전의 갈등 양상과 시대적 함의" 국어국문학회 126 : 213-234, 2000

      14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1-516, 2005

      15 박순임, "고전소설에 나타난 처첩관계 갈등" 한국정신문화원 1990

      16 강진옥,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In 한국고전문학 속의 가족과 여성" 월인 65-104, 2007

      17 박경열, "고소설의 가정갈등에 나타난 악행 연구" 건국대 2007

      18 김재용, "계모형 고소설의 시학적 연구" 서강대 1991

      19 이성권, "가정소설의 역사적 변모와 그 의미" 고려대 1998

      20 최시한, "가정소설의 구조와 전개" 서강대 1989

      21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북대학교 출판부 1-242, 1997

      22 이유경, "가부장제와 여성 재현의 문제, in 한국문학과 사상" 국학자료원 215-234, 2005

      23 김기동, "潘氏傳, In 활자본 고소설전집 제2권" 아세아문화사 447-474, 1976

      24 곽정식, "潘氏傳 硏究-갈등 및 작품 구조의 성격을 중심으로" 동의대 국어국문학과 새얼문학회 151-169, 1986

      25 이순우, "潘氏傳 연구" 순천향어문학연구회 7 : 113-134, 2001

      26 이지하, "<潘氏傳>의 이중적 성격과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57-79,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