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술은 외상이나 질병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응용되었다. 그 원리는 氣血이 흐르는 經絡의 특이점인 經穴을 자극하여 내장의 기운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초래하는 體內의 불균형을 제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침술은 외상이나 질병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응용되었다. 그 원리는 氣血이 흐르는 經絡의 특이점인 經穴을 자극하여 내장의 기운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초래하는 體內의 불균형을 제어...
침술은 외상이나 질병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응용되었다. 그 원리는 氣血이 흐르는 經絡의 특이점인 經穴을 자극하여 내장의 기운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초래하는 體內의 불균형을 제어하는데 그 자침부위와 자극방법에 따라 다양한 질환에 응용된다.
현재 임상에서 이용되는 침법은 전통적인 手技針을 비롯하여 電針, 耳針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되어 종종 극적인 치유효과를 보임에 따라 침자극의 효과기전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그 기전은 주로 opioid에 의한 하행성 통각조절을 통해서 진통효과가 나타나며, β-endorphin, met-encephalin, leu-encephalin, serotonin 과 같은 면역관련 신경전달물질들이 전침자극의 면역조절 기전과 관계된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족삼리 전침의 알러지 억제 기전을 유전자 레벨의 microarray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하였다. 혈청에서 antigen specific IgE를 측정하여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DNP-KLH 면역화 백서의 비장조직에서 면역조절 효과기전을 살펴보았는데 Th1과 Th17 cytokine 관련, opioid peptide 관련, 그리고 anti-apoptosis 관련 유전자들은 증가된 반면, Th2 cytokine 관련, MAPK signaling pathway 관련, 그리고 apoptosis 관련 유전자들은 전침자극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족삼리 전침이 알러지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하며, 그 기전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지 알려준다.
그러나 이는 제한된 동물모델에서 제한된 조건의 경혈자극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경혈의 자극은 일방적이지 않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질병모델의 동물에 족삼리 전침자극을 주어 질환관련 유전자들의 의미있는 변화를 관찰한다면 임상적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앞으로의 과제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ly, we demonstrated that electoracupuncture (EA) suppressed allergic reactions in 2,4-dinitrophenylated keyhole limpet protein immunized mice. In this study, the mechanisms by which EA induces immunomodulation in the immunized mice were evalua...
Previously, we demonstrated that electoracupuncture (EA) suppressed allergic reactions in 2,4-dinitrophenylated keyhole limpet protein immunized mice. In this study, the mechanisms by which EA induces immunomodulation in the immunized mice were evaluated by genome-wide microarray analysis. The anti-allergic effects of low frequency (1Hz) EA on ST36 were confirmed by analyzing antigen specific IgE using ELISA. Microarray analysis, followed by real time RT-PCR validation, revealed that Th1 and Th17 cytokine-, opioid peptide-, and anti-apoptosis-related genes were up-regulated upon treatment with EA. In addition, significant decreases in Th2 cytokine-, MAPK signaling pathway- and apoptosis-related genes were observed following E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 impacts the anti-allergic response in DNP-KLH immunized mic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