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쪽방거주자의 스트레스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homel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6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number of homeless was increased. Accordingly, the concerns about the homeless was increased.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is regarded as homeless. This study is examined on the effect of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tress process model was used. The life condition of the homeless itself is stressful. As stressors of their lives, unemployment and chronic illness/functional disability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overty were used. As coping resources,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to see th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who live in Seoul and Daegu and the sample size is 173. As a sampling method, avail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checking the factors of coping strategie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r x2 were used for difference 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effect tes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chronic illness. When there is chronic illness, the problem-focused coping is lower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is higher than those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so, when there is physical illness,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than that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when one has no job compared to one having a job,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the chronic illness and having no chronic illness on depressive sympto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 are negativ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us,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the homeless.
      번역하기

      After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number of homeless was increased. Accordingly, the concerns about the homeless was increased.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is regarded as homeless. This study is examined on the effect of stressors and coping...

      After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number of homeless was increased. Accordingly, the concerns about the homeless was increased.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is regarded as homeless. This study is examined on the effect of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tress process model was used. The life condition of the homeless itself is stressful. As stressors of their lives, unemployment and chronic illness/functional disability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overty were used. As coping resources,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to see th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who live in Seoul and Daegu and the sample size is 173. As a sampling method, avail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checking the factors of coping strategie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r x2 were used for difference 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effect tes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chronic illness. When there is chronic illness, the problem-focused coping is lower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is higher than those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so, when there is physical illness,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than that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when one has no job compared to one having a job,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the chronic illness and having no chronic illness on depressive sympto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 are negativ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us,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the homel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MF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숫자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숙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다 쪽방거주자들은 거처할 곳은 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노숙인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을 분석들로 하여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쪽방거주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삶 그 자체뿐 아니라 빈곤과 직결되는 실직상태 혹은 무직상태와 만성적인 질병과 장애는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원에 대한 극복자원으로 문제중심 극복, 정서중심 극복과 사회적 지지를 사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구의 쪽방거주자로 샘플크기는 173명이다. 극복유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문제중심 극복과 정서중심 극복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문제중심 극복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중심 극복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은 우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와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문제중심 극복과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우울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있다.
      번역하기

      IMF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숫자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숙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다 쪽방거주자들은 거처할 곳은 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는 주변...

      IMF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숫자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숙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다 쪽방거주자들은 거처할 곳은 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노숙인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을 분석들로 하여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쪽방거주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삶 그 자체뿐 아니라 빈곤과 직결되는 실직상태 혹은 무직상태와 만성적인 질병과 장애는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원에 대한 극복자원으로 문제중심 극복, 정서중심 극복과 사회적 지지를 사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구의 쪽방거주자로 샘플크기는 173명이다. 극복유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문제중심 극복과 정서중심 극복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문제중심 극복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중심 극복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은 우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와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문제중심 극복과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우울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ental Health & Social Work KCI등재
      2007-03-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7 2.1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