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 Nature of Tributary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the Northern Dynas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0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남조의 조공품의 구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조공품의 구성과 일맥상통한다. 남조의 사서에 기록된 다양한 조공품의 구성은 바로 중화문명의 본거지인 황하유역을 상실하고 장강 이남의 남방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겨우 명맥을 이어갔던 남조가 과거 한제국이 보유했던 천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바랐던 염원의 반영이었다. 그렇지만 북조의 사서는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북위는 물론이고 그 후에 등장한 북제, 북주, 수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전통은 정관 21년 당태종이 특별히 조서를 내려 이민족이 보낸 방물에 특이한 점이 있으면 이를 자세히 기록하게 하도록 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북조가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유목적 전통을 계승한 것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는 북위와 총 80여 차례의 조공을 진행했는데, 공물의 품목으로 확인되는 것은 양마, 황금, 백은, 마노뿐이다. 그런데 이 중에서 적어도 황금과 마노는 고구려의 土産物이 아니었다. 그 밖에 위진남북조시기에 고구려가 보낸 조공품으로는 담비가죽, 천리마, 인삼 등 몇 가지 품목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고구려의 특산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조달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고구려가 외부에서 조달한 물품을 조공품이라는 명칭으로 남북조에 공급한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 첫째 정치적인 목적이다. 고구려는 자체에서 생산되는 물품뿐만 아니라 그 영향권에 있었던 지역의 특산물을 공급함으로써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역내 세계에서 중심국가라는 것을 중원왕조에 과시했다. 그런데 중국정사를 살펴보면 숙신이 호시석노를 바쳤음에도 불구하고, 조공의 주체를 고구려로 기록했다. 숙신이 이역만리까지 와서 호시석노를 바치도록 한 고구려의 실질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한 결과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공의 주체를 바꾸어 기록한 사례가 몇 몇 국가에서 더 확인된다. 중국은 고구려와 같은 역내 패권 국가의 조공 사실을 기록함으로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고, 이와 함께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 강국이 갖는 해당 권역에서의 실질적인 정치적 지위를 인정했던 것이다. 둘째, 경제적인 이득이다. 고구려가 중국에 공급한 물품을 보면 대부분 중국에서 높은 가격에 소비되는 물품이었다. 예를 들어 인삼의 경우 고구려는 인삼의 주요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인삼이 더 높은 평가를 받자 고구려의 인삼과 함께 공급하였다. 이렇게 고구려는 중국에서 선호하는 물품의 조달을 통해 중간에서 막대한 차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요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가라는 점을 과시함으로써, 더 많은 경제 교역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f diverse items such as various jewels and luxuries. The composition of tributes to the Southern Dynasties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tributes in China. The composition of diverse tributes recor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outhern Dynasties reflects the wish of the Southern Dynasties, which barely maintained existence occupying an area south of Yangtze River after losing the Yellow River areas, the birth place of Chinese civilization, for restoring the status as a center of China that Han Empire(漢帝國) held in the past. However, such tendency does not appear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Northern Dynasties. This applies to Northern Qi(北齊), Northern Zhou Dynasty(北周) and Sui Dynasty(隋), which appeared later, as well as Northern Wei Dynasty(北魏).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Emperor Taizong of Tang(唐太宗) ordered to record any extraodinary items in local products sent by foreign peoples in detail by a special empirial edict in 647.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nomadic tradition inherited by the Northern Dynasties(北朝), which emphasizes practical aspects.
      Goguryeo offered 80 tributes in total to Northern Wei Dynasty(北魏). Tribute items confirmed are good horses, gold, silver and jade(珂). Among them, gold and jade were not local products(土産物) of Goguryeo.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offered several items including mink(貂皮), swift horse(千里馬) and ginseng as tributes in the period of Wei Dynasty, Qin Dynasty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local products of Goguryeo but procured from outside. Then, why did Goguryeo offer products procured from outside as tributes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irst, Goguryeo had a political purpose. Goguryeo showed off to China the fact that it was a central state in the region by presenting special products of the areas under its influence as well its own local products. Looking into Chinese Official History, even when Sushen(肅愼) offered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楛矢石砮), they were recorded being offered by Goguryeo. It was a result of recognizing Goguryeo’s political influence which could make Su Jie come a long way and offer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 There are more such cases found with respect to several other states, in which who offered tributes were changed when making records. China recognized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powerful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while enahncing its own status by recording the tributes made by dominating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Second, Goguryeo pursued economic gains. Most items provided by Goguryeo to China were item consumed at high prices in China. For example, in case of ginseng, Goguryeo was a main producer of ginseng, but when Baekje’s ginseng received a higher review, Goguryeo provided Baekje’s ginseng along with its own. Like this, Goguryeo raised huge profits by providing items prefered by China as an intermediary, and induced more trade and earned economic gains by showing off its ability to supply such main produ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中國正史와 『冊府元龜』 등에 수록된 朝貢品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종 보물과 사치품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남조의 조공품에 비해 북조의 조공품은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런데 남조의 조공품의 구성은 중국의 전통적인 조공품의 구성과 일맥상통한다. 남조의 사서에 기록된 다양한 조공품의 구성은 바로 중화문명의 본거지인 황하유역을 상실하고 장강 이남의 남방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겨우 명맥을 이어갔던 남조가 과거 한제국이 보유했던 천하 중심국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바랐던 염원의 반영이었다. 그렇지만 북조의 사서는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북위는 물론이고 그 후에 등장한 북제, 북주, 수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전통은 정관 21년 당태종이 특별히 조서를 내려 이민족이 보낸 방물에 특이한 점이 있으면 이를 자세히 기록하게 하도록 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북조가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유목적 전통을 계승한 것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는 북위와 총 80여 차례의 조공을 진행했는데, 공물의 품목으로 확인되는 것은 양마, 황금, 백은, 마노뿐이다. 그런데 이 중에서 적어도 황금과 마노는 고구려의 土産物이 아니었다. 그 밖에 위진남북조시기에 고구려가 보낸 조공품으로는 담비가죽, 천리마, 인삼 등 몇 가지 품목이 확인된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고구려의 특산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조달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고구려가 외부에서 조달한 물품을 조공품이라는 명칭으로 남북조에 공급한 목적은 어디에 있을까? 첫째 정치적인 목적이다. 고구려는 자체에서 생산되는 물품뿐만 아니라 그 영향권에 있었던 지역의 특산물을 공급함으로써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역내 세계에서 중심국가라는 것을 중원왕조에 과시했다. 그런데 중국정사를 살펴보면 숙신이 호시석노를 바쳤음에도 불구하고, 조공의 주체를 고구려로 기록했다. 숙신이 이역만리까지 와서 호시석노를 바치도록 한 고구려의 실질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한 결과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공의 주체를 바꾸어 기록한 사례가 몇 몇 국가에서 더 확인된다. 중국은 고구려와 같은 역내 패권 국가의 조공 사실을 기록함으로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고, 이와 함께 고구려를 비롯한 주변 강국이 갖는 해당 권역에서의 실질적인 정치적 지위를 인정했던 것이다. 둘째, 경제적인 이득이다. 고구려가 중국에 공급한 물품을 보면 대부분 중국에서 높은 가격에 소비되는 물품이었다. 예를 들어 인삼의 경우 고구려는 인삼의 주요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인삼이 더 높은 평가를 받자 고구려의 인삼과 함께 공급하였다. 이렇게 고구려는 중국에서 선호하는 물품의 조달을 통해 중간에서 막대한 차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요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가라는 점을 과시함으로써, 더 많은 경제 교역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ributes(朝貢品) recor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Ce Fu Yuan Gui(冊府元龜)』 etc.. tributes to the Northern Dynasties are so pratical compared to those to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consist of diverse items such as various jewels and luxuries. The composition of tributes to the Southern Dynasties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tributes in China. The composition of diverse tributes recor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Southern Dynasties reflects the wish of the Southern Dynasties, which barely maintained existence occupying an area south of Yangtze River after losing the Yellow River areas, the birth place of Chinese civilization, for restoring the status as a center of China that Han Empire(漢帝國) held in the past. However, such tendency does not appear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Northern Dynasties. This applies to Northern Qi(北齊), Northern Zhou Dynasty(北周) and Sui Dynasty(隋), which appeared later, as well as Northern Wei Dynasty(北魏). This tradition continued until Emperor Taizong of Tang(唐太宗) ordered to record any extraodinary items in local products sent by foreign peoples in detail by a special empirial edict in 647.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nomadic tradition inherited by the Northern Dynasties(北朝), which emphasizes practical aspects.
      Goguryeo offered 80 tributes in total to Northern Wei Dynasty(北魏). Tribute items confirmed are good horses, gold, silver and jade(珂). Among them, gold and jade were not local products(土産物) of Goguryeo.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offered several items including mink(貂皮), swift horse(千里馬) and ginseng as tributes in the period of Wei Dynasty, Qin Dynasty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local products of Goguryeo but procured from outside. Then, why did Goguryeo offer products procured from outside as tributes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First, Goguryeo had a political purpose. Goguryeo showed off to China the fact that it was a central state in the region by presenting special products of the areas under its influence as well its own local products. Looking into Chinese Official History, even when Sushen(肅愼) offered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楛矢石砮), they were recorded being offered by Goguryeo. It was a result of recognizing Goguryeo’s political influence which could make Su Jie come a long way and offer arrows made of thorn and stone. There are more such cases found with respect to several other states, in which who offered tributes were changed when making records. China recognized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powerful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while enahncing its own status by recording the tributes made by dominating states such as Goguryeo in the region. Second, Goguryeo pursued economic gains. Most items provided by Goguryeo to China were item consumed at high prices in China. For example, in case of ginseng, Goguryeo was a main producer of ginseng, but when Baekje’s ginseng received a higher review, Goguryeo provided Baekje’s ginseng along with its own. Like this, Goguryeo raised huge profits by providing items prefered by China as an intermediary, and induced more trade and earned economic gains by showing off its ability to supply such main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남조와 북조의 조공외교의 특성
      • 3. 고구려 조공의 경제적 특징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남조와 북조의 조공외교의 특성
      • 3. 고구려 조공의 경제적 특징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洛陽伽藍記"

      2 최진열, "효문제의 한화정책과 낙양 호인사회" 한울엠플러스 2016

      3 방향숙, "한중외교와 조공책봉" 고구려연구재단 2004

      4 김한규, "한중관계사" 아르케 1999

      5 최광식, "한국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6 윤재운, "한국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7 박경철, "한국 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8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2011

      9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2011

      10 노태돈,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1 "洛陽伽藍記"

      2 최진열, "효문제의 한화정책과 낙양 호인사회" 한울엠플러스 2016

      3 방향숙, "한중외교와 조공책봉" 고구려연구재단 2004

      4 김한규, "한중관계사" 아르케 1999

      5 최광식, "한국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6 윤재운, "한국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7 박경철, "한국 무역의 역사" 청아출판사 2004

      8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2011

      9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주류성 2011

      10 노태돈,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11 여호규,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12 김창석,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형성과 과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13 고은미,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 일본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9) : 329-358, 2017

      14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15 이동훈, "위진남북조시기 중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고조선・고구려・부여계 이주민 집단 연구-" 고려사학회 (72) : 39-84, 2018

      16 피터윤, "서구 학계 조공제도 이론의 중국 중심적 문화론 비판"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269-290, 2002

      17 吳慧蓮, "백제사상의 전쟁" 서경문화사 2000

      18 박대재, "고대 동아시아 세계론과 고구려의 정체성" 동북아역사재단 2007

      19 金基興,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교역" 서울大學校國史學科 16 : 1987

      20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21 "魏書"

      22 井上直樹, "高句麗の對北魏外交と朝鮮半島情勢" 38 : 2000

      23 김창석, "高句麗 초 · 중기의 對中 교섭과 교역" 신라문화연구소 (24) : 91-116, 2004

      24 全海宗, "韓中朝貢關係考-韓中關係史의 鳥瞰을 위한 導論" 1 : 1966

      25 "隋書"

      26 "釋音周禮注疏"

      27 王承禮, "遼金契丹女眞史譯文集" 吉林文史出版社 1990

      28 王綿厚, "遼海文物學刊" 遼海文物學刊編輯部 1987

      29 룩콴텐, "遊牧民族帝國史" 민음사 1984

      30 "逸周書"

      31 "通典"

      32 金浩東, "講座中國史-文閥社會와 胡・漢의 世界 - Ⅱ" 지식산업사 1989

      33 "藝文類聚"

      34 "舊唐書"

      35 "翰苑"

      36 徐炳國, "百濟와 高句麗의 遼西統治" 19-20 : 2001

      37 "異苑"

      38 東亞硏究所, "異民族の支那統治史" 日本雄辯會講談社 1945

      39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漢語大詞典 (第2卷)" 漢語大詞典出版社 1990

      40 余太山, "漢文史籍關于嚈達的記載(上)" 2016 (2016): 2016

      41 全海宗, "漢代의 朝貢制度에 대한 一考察" 6 : 1973

      42 全海宗, "淸代韓中朝貢關係綜考" 29-30 : 1966

      43 "梁書"

      44 金庠其, "東方文化交流史論攷" 乙酉文化史 1948

      45 "本草經集注"

      46 濱下武志, "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ジア" 岩波書店 1997

      47 "晉書"

      48 무함마드 깐쑤, "新羅・西域交流史" 檀國大學校出版部 1992

      49 "新唐書"

      50 許嵩, "建康實錄 (全二卷)" 中華書局 1986

      51 "左傳"

      52 "宋書"

      53 "國語"

      54 "周禮"

      55 "周書"

      56 全海宗,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三知院 1987

      57 徐榮洙,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三知院 1987

      58 金庠其,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三知院 1987

      59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史硏究" 일조각 1997

      60 程妮娜, "古代東北民族朝貢制度史" 中華書局 2016

      61 "南齊書"

      62 "南史"

      63 金鍾完, "南北朝時代의 朝貢關係槪觀" 61 : 1986

      64 "十六國春秋"

      65 松下憲一, "北魏胡族體制論" 北海道大學出版會 2007

      66 池內宏, "勿吉考" 1979

      67 "冊府元龜"

      68 侯林虎, "六朝與西域南海的交流" 南京大學 2012

      69 松田壽男, "內陸アジア史論集(第一)" 國書刊行會 1979

      70 陳芳明, "中國의 歷史認識 (下)" 創作과 批評社 1985

      71 田村實造, "中國征服王朝の硏究" 東京大學東洋史硏究會 1964

      72 朴漢濟, "中國中世胡漢體制硏究" 一潮閣 1988

      73 杉山正明, "中國の歷史8 疾驅する草原の征服者" 講談社 2005

      74 "三國志"

      75 "三國史記"

      76 노태돈, "5세기 고구려인의 천하관" 사계절 1999

      77 이정빈, "5~6세기 고구려의 농목교역과 요서정책" 한국역사연구회 (91) : 147-176, 2014

      78 임기환, "3세기~4세기 초 위(魏)・진(晋)의 동방정책-낙랑군 대방군을 중심으로" 36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