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의 경험의 과정을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사례는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주 1회 50분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의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 목표는 미술치료를 통한 정서 이완과 정서 안정, 주의 집중과 창의성 증진, 참여자의 성취감, 만족감을 고취하고 더 나아가 가족과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인 사회성 관계 형성을 지지하였다.
자료수집은 매회기의 현장일지 및 녹음 자료, 축어록, 연구자의 현장 메모, 참여자 모와의 전화상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ADHD 아동의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로의 처음 여행>, <나를 지치게 하는 불안감>, <주의 집중하는 나의 모습>, <너와 나와의 관계로 점점 물들다>, <창의적인 나, 자랑스러운 나>의 공통의 5개의 상위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몇 가지 의미로 함축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시작하면서 다양한 매체들, 통제가 낮은 점토, 물감을 접하면서 서서히 주의 산만하여 어느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는 조급한 마음들이 이완되었다. 또한 치료사와 신뢰로운 치료관계로 참여자는 정서이완 및 정서안정이 되었다.
둘째, 거듭되는 미술치료 중기에서부터 참여자의 주의집중이 증진되어 미술치료 수업에서 몰입하게 되고 수업시간 내에 작품들을 잘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시작에 동기부여와 주의집중에 도움이 되었던 것이 그림책 읽기이다. 치료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은 소리로 인해 청각적으로 주의집중을 유발하고 그림책의 그림 감상은 시각적으로 주의집중을 유발하는 좋은 매체이다. 참여자는 병원에서 ADHD 검사에서 시각, 청각 주의집중에서 ADHD 유의미한 진단을 받았으므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셋째, 미술치료 수업때 완성한 작품들을 집에 가져가 가정에서 참여자 모에게 피드백을 받으면서 소통의 시간들이 늘어남으로, 자연스럽게 가족 간의 관계가 온화해졌으며 친구 관계에서도 좋은 반응들을 얻게 되었다. 미술치료 때 작품의 성취와 만족감으로 참여자는 가족관계와 또래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고 사회성에서 좋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ADHD 아동의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참여자 아동의 정서 이완 및 정서 안정을 유도하고 미술 치료 참여 과정과 그림책 읽기의 몰입으로 주의집중이 증진되었으며 또래관계와 가족관계에서 온화하고 소통이 잘 되는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