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과학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초등과학영재에게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rganization Activity Using Science Notebook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0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and understand effect of them on students’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vealed in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note.
      This study is based on 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6th grade at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which is affiliated organization of P,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Support.
      To develop the science note, science note is organi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ience note which is used for the previous researches. One hour-long prior education, which teaches the instruction of using science note, is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science classes and wrote 8 different notes. Each of the science classes lasted 4 hours. Students learn various topics in each four fours of science class. Recorded notes are analyzed as int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To test the effect of writing style and features on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questionnaire which tests creative ability of problem-solving in science is used.
      As the result of study, in the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note, ex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whic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wrote. “The content which is learned today(main learning content)” which is one of components of science note took the most part of the writing. “The content which is learned today”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the writing, followed by writing+ drawing, drawing, cartoon, writing+cartoon, mind map, table.
      Science writing which uses inductive thinking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in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tific writing, followed by deduct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Since the critical thinking did not appear, it is excluded from type and feature of scientific writing.
      Among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thinking and feeling’, ‘question,’ ‘one’s own thinking of quest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promote the reflective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Students could reflect and looked back at their learning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ntent learned in the science class into their own language. This shows that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has an effective effect on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and understand effect of them on students’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and understand effect of them on students’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Writing style and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vealed in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note.
      This study is based on 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6th grade at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which is affiliated organization of P,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Support.
      To develop the science note, science note is organi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ience note which is used for the previous researches. One hour-long prior education, which teaches the instruction of using science note, is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science classes and wrote 8 different notes. Each of the science classes lasted 4 hours. Students learn various topics in each four fours of science class. Recorded notes are analyzed as int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To test the effect of writing style and features on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questionnaire which tests creative ability of problem-solving in science is used.
      As the result of study, in the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note, ex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whic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wrote. “The content which is learned today(main learning content)” which is one of components of science note took the most part of the writing. “The content which is learned today”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the writing, followed by writing+ drawing, drawing, cartoon, writing+cartoon, mind map, table.
      Science writing which uses inductive thinking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in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tific writing, followed by deduct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Since the critical thinking did not appear, it is excluded from type and feature of scientific writing.
      Among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thinking and feeling’, ‘question,’ ‘one’s own thinking of quest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promote the reflective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Students could reflect and looked back at their learning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ntent learned in the science class into their own language. This shows that organization activity which uses science has an effective effect on 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 나타난 초등과학영재의 글쓰기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그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P시 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하는 초등학생 6학년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학 노트를 개발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과학 노트를 비교∙분석하여 재구성하였다. 과학 노트를 활용하기 위해 과학 노트 사용법을 1시간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다양한 주제에 따라 각각 4시간의 과학 수업 후 20분씩 과학 노트를 총 8회 기록하였다. 기록된 것을 과학 글쓰기의 외형적 표현 유형 및 특징과 내용적 표현 유형 및 특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가 과학 노트 구성요소 중 ‘오늘 배운 내용(주요 학습 내용)’에 작성한 과학 글쓰기의 외형적 표현 유형 및 특징은 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글+그림, 그림, 만화, 글+만화, 마인드맵, 표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의 내용적 표현 유형 및 특징은 귀납적 사고력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가 가장 높았으며 연역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순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은 나타나지 않아서 제외시켰다.
      과학 노트 구성요소 중 ‘생각과 느낌’, ‘궁금한 점’, ‘궁금한 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작성하면서 초등과학영재의 반성적 사고력을 촉진하였다. 과학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되새기며 다시 한 번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습을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 나타난 초등과학영재의 글쓰기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그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 나타난 초등과학영재의 글쓰기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그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P시 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하는 초등학생 6학년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학 노트를 개발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과학 노트를 비교∙분석하여 재구성하였다. 과학 노트를 활용하기 위해 과학 노트 사용법을 1시간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다양한 주제에 따라 각각 4시간의 과학 수업 후 20분씩 과학 노트를 총 8회 기록하였다. 기록된 것을 과학 글쓰기의 외형적 표현 유형 및 특징과 내용적 표현 유형 및 특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가 과학 노트 구성요소 중 ‘오늘 배운 내용(주요 학습 내용)’에 작성한 과학 글쓰기의 외형적 표현 유형 및 특징은 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글+그림, 그림, 만화, 글+만화, 마인드맵, 표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의 내용적 표현 유형 및 특징은 귀납적 사고력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가 가장 높았으며 연역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순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은 나타나지 않아서 제외시켰다.
      과학 노트 구성요소 중 ‘생각과 느낌’, ‘궁금한 점’, ‘궁금한 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작성하면서 초등과학영재의 반성적 사고력을 촉진하였다. 과학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되새기며 다시 한 번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습을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용어의 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3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용어의 정의 3
      • 4. 연구의 제한점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과학 노트 5
      • 2. 과학 글쓰기 12
      • 3. 창의적 문제해결력 19
      • 4. 과학 글쓰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22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25
      • 1. 연구 대상 25
      • 2. 실험 설계 26
      • 3.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 27
      • 4. 검사 도구 31
      • 5. 자료 처리 35
      • Ⅳ. 결과 및 논의 37
      • 1. 과학 글쓰기의 외형적 유형 분석 37
      • 2. 과학 글쓰기의 내용적 유형 분석 47
      • 3.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 58
      • Ⅴ. 결론 및 제언 62
      • 1. 결론 62
      • 2. 제언 63
      • 참고문헌 64
      • 부 록 68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