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7590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2016. 2. 졸업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riticism on Liberal Bioethics and Review of Communitarian Approach

      • 형태사항

        vi, 216.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경석
        참고문헌: p. 205-21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discussions on bioethical issues have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the framework of liberalism. This study will call the bioethical approach based on liberal individualism ‘liberal bioethical approach.’ In addition, it will explore criticisms on liberal bioethics and the communitarian approach.
      Chapter II examined 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nd in the theoretical aspect when and how liberal ideology, which is observed commonly in the discourses of bioethical issues in Korea, had settled as a dominant approach in the bioethical domain. Particularly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of bioethics, this study found the turning point for the spread of liberal individualism in the influence of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coauthored by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in 1979. The author evaluated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s th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in that the definitions of the major concepts of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nd the categories of discussion were confined to individuals.
      Chapter III examined the major premise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centering on the view of human and the view of state in order to set the right premises of bioethics. Liberal bioethics premises a liberal view of human, and in this view of human, a person is a free and independent self who is able to choose an end on his own initiative. The liberal view of human has the problem that it denies ends not chosen by ourselves. The view of human as a right premise to be held on by desirable bioethics is the view that our identity is formed in a situation of specific historical community. In this sense, communitarians do not understand humans as independent selves separated from community but as constitutive selves established socially by nature, and therefore, communitarianism is believed to suggest an appropriate view of human.
      What is more, liberal bioethics premises a liberal view of state, and the core of this view of state is that the state should maintain neutrality toward specific moral and religious issues on good life. It asserts that individuals’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so that each person can decide what a valuable life is. The view of state as a right premise to be held on by desirable bioethics is communitarianism, which does not give up pluralism yet believes the existence of rights and notions of human good to be protected. In this sense, the author believes it is necessary to suggest an alternative that excludes the risk of the enforcement of the communitarian view of state, which goes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liberal view of state asserting the neutrality of the state but, at the same time, advocates the perfectionism of state. Thus, in order for the bioethical view of state to proceed in a desirable direction, its goals need to pursue balance between individual good and common good as a role or function of the state.
      Chapter IV discussed the communitarian approach as a new approach to bioethics. In order to find a desirable bioethical approach, three characteristics of bioethical issu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bioethical issues, moreover, it was argued that bioethical goals should include legal or political decisions in the dimension of state on how permissible our society as a pluralist society should be to issues showing reasonable disagreement. What is more, it is asserted that a new task of bioethics is to look for answers to more fundamental and future-oriented questions reflecting the advance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author professed the position that the existing dominant liberal bioethical approach is not the only adequate approach for achieving such goals of bioethics and performing its new tasks. A complementary effect may be expected by introducing a communitarian view as a new approach to liberal bioethics. Thus,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beral approach and communitarian approach to bioethics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hapter V examined the application and tasks of the communitarian bioethical approach. As noted in Chapter II,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r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In order for the four moral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to play a rol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complicated bioethical questions raised in the real lif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tegories of discussion on the principles. In this sense,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four principles, which are considered th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as communitarianism. Moreover, the issu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hich is under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was discussed through the communitarian approach.
      In conclusio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ommunitarian approach to bioethics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or suggests a new viewpoint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way of liberal discussion by contributing to the setting of right premises and a rational starting point for bioethical issues.
      번역하기

      Most of discussions on bioethical issues have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the framework of liberalism. This study will call the bioethical approach based on liberal individualism ‘liberal bioethical approach.’ In addition, it will explore ...

      Most of discussions on bioethical issues have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the framework of liberalism. This study will call the bioethical approach based on liberal individualism ‘liberal bioethical approach.’ In addition, it will explore criticisms on liberal bioethics and the communitarian approach.
      Chapter II examined 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nd in the theoretical aspect when and how liberal ideology, which is observed commonly in the discourses of bioethical issues in Korea, had settled as a dominant approach in the bioethical domain. Particularly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of bioethics, this study found the turning point for the spread of liberal individualism in the influence of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coauthored by Tom L. Beauchamp and James F. Childress in 1979. The author evaluated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s th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in that the definitions of the major concepts of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nd the categories of discussion were confined to individuals.
      Chapter III examined the major premise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centering on the view of human and the view of state in order to set the right premises of bioethics. Liberal bioethics premises a liberal view of human, and in this view of human, a person is a free and independent self who is able to choose an end on his own initiative. The liberal view of human has the problem that it denies ends not chosen by ourselves. The view of human as a right premise to be held on by desirable bioethics is the view that our identity is formed in a situation of specific historical community. In this sense, communitarians do not understand humans as independent selves separated from community but as constitutive selves established socially by nature, and therefore, communitarianism is believed to suggest an appropriate view of human.
      What is more, liberal bioethics premises a liberal view of state, and the core of this view of state is that the state should maintain neutrality toward specific moral and religious issues on good life. It asserts that individuals’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so that each person can decide what a valuable life is. The view of state as a right premise to be held on by desirable bioethics is communitarianism, which does not give up pluralism yet believes the existence of rights and notions of human good to be protected. In this sense, the author believes it is necessary to suggest an alternative that excludes the risk of the enforcement of the communitarian view of state, which goes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liberal view of state asserting the neutrality of the state but, at the same time, advocates the perfectionism of state. Thus, in order for the bioethical view of state to proceed in a desirable direction, its goals need to pursue balance between individual good and common good as a role or function of the state.
      Chapter IV discussed the communitarian approach as a new approach to bioethics. In order to find a desirable bioethical approach, three characteristics of bioethical issu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bioethical issues, moreover, it was argued that bioethical goals should include legal or political decisions in the dimension of state on how permissible our society as a pluralist society should be to issues showing reasonable disagreement. What is more, it is asserted that a new task of bioethics is to look for answers to more fundamental and future-oriented questions reflecting the advance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author professed the position that the existing dominant liberal bioethical approach is not the only adequate approach for achieving such goals of bioethics and performing its new tasks. A complementary effect may be expected by introducing a communitarian view as a new approach to liberal bioethics. Thus,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beral approach and communitarian approach to bioethics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hapter V examined the application and tasks of the communitarian bioethical approach. As noted in Chapter II,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ar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In order for the four moral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 to play a rol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complicated bioethical questions raised in the real lif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tegories of discussion on the principles. In this sense,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four principles, which are considered the principles of liberal individualism, as communitarianism. Moreover, the issu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hich is under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was discussed through the communitarian approach.
      In conclusio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ommunitarian approach to bioethics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or suggests a new viewpoint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way of liberal discussion by contributing to the setting of right premises and a rational starting point for bioethical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부분의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논의들은 자유주의의 틀(framework) 안에서 해석되고 적용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liberal individualism)에 기반을 둔 생명윤리적 접근법’을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이라고 부를 것이다. 그리고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서구뿐만 아니라 한국의 생명윤리 쟁점에 대한 담론 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ideology)가 생명윤리 영역에서 언제부터, 그리고 어떤 일련의 계기로 지배적인 접근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사회적·정치적 맥락과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생명윤리학의 이론적 차원에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시각이 확산된 계기는 1979년 톰 비첨(Tom L.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F. Childress)의 공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의 영향력으로 보았다. 필자는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정의(definition)와 논의의 범주가 개인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이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원칙들’이라고 평가하였다.
      Ⅲ장에서는 생명윤리에 대한 올바른 전제를 설정하기 위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주요 전제로서 인간관과 국가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유주의적 생명윤리는 자유주의적 인간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관은 스스로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자아관을 지니고 있다. 자유주의적 인간관은 우리가 스스로 선택하지 않은 목적들을 부정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생명윤리가 견지해야 하는 올바른 전제로서의 인간관은 우리의 정체성이 구체적인 역사적 공동체의 상황 속에서 형성된다고 보는 인간관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동체주의자들은 인간을 공동체로부터 독립된 개별적인 자아로 이해하지 않고 본질적으로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구성적 자아(constitutive self)’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인간관을 제시한다고 본다.
      그 다음으로 자유주의적 생명윤리는 자유주의적 국가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관의 핵심은 국가가 좋은 삶(good life)에 대한 특정 도덕적·종교적 문제들에 대해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에 있다. 그래서 개개인이 스스로 어떤 삶이 가치 있는 삶인지에 대해 선택하도록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바람직한 생명윤리가 견지해야 하는 올바른 전제로서의 국가관은 다원주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반드시 보호되어야 할 권리나 인간 선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국가관이 적절하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국가의 중립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국가관의 한계를 넘어서면서도 국가 완전주의(perfectionism)를 주장하는 공동체주의적 국가관에 대한 강제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생명윤리의 국가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이나 기능으로서 개인선(individual good)과 공동선(common good)의 균형 추구가 목표로 설정된 국가관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Ⅳ장에서는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공동체주의 접근법을 검토하였다. 바람직한 생명윤리적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해 생명윤리적 쟁점들의 세 가지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특성을 근거로 생명윤리의 목표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이성적 불일치(reasonable disagreement)로 보이는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가 어디까지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것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생명윤리학의 새로운 과제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할 수 있는 근본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물음들에 대한 연구 또한 수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생명윤리의 목표를 달성하고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배적인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만이 유일한 적절한 접근법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필자는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공동체주의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이 지닌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Ⅴ 장에서는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원칙이다. 필자는 구체적인 현실적인 삶 속에서 제기되는 복잡한 생명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이 실질적인 지침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칙들에 대한 논의의 범주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로 해석된 원칙이라 할 수 있는 네 가지 원칙들을 공동체주의적으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한국 사회에서 제도화를 추진 중에 있는 연명의료(Life-Sustaining Treatment) 중단 및 유보의 문제를 공동체주의적 접근법에 따라 검토하였다.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접근법이 생명윤리적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전제와 합리적인 출발점을 설정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기존의 자유주의적 논의 방식과는 다른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대부분의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논의들은 자유주의의 틀(framework) 안에서 해석되고 적용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liberal individualism)에 기반을 둔 생...

      대부분의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논의들은 자유주의의 틀(framework) 안에서 해석되고 적용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liberal individualism)에 기반을 둔 생명윤리적 접근법’을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이라고 부를 것이다. 그리고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서구뿐만 아니라 한국의 생명윤리 쟁점에 대한 담론 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ideology)가 생명윤리 영역에서 언제부터, 그리고 어떤 일련의 계기로 지배적인 접근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사회적·정치적 맥락과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특히 생명윤리학의 이론적 차원에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시각이 확산된 계기는 1979년 톰 비첨(Tom L.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F. Childress)의 공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의 영향력으로 보았다. 필자는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정의(definition)와 논의의 범주가 개인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이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원칙들’이라고 평가하였다.
      Ⅲ장에서는 생명윤리에 대한 올바른 전제를 설정하기 위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주요 전제로서 인간관과 국가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유주의적 생명윤리는 자유주의적 인간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관은 스스로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자아관을 지니고 있다. 자유주의적 인간관은 우리가 스스로 선택하지 않은 목적들을 부정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생명윤리가 견지해야 하는 올바른 전제로서의 인간관은 우리의 정체성이 구체적인 역사적 공동체의 상황 속에서 형성된다고 보는 인간관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동체주의자들은 인간을 공동체로부터 독립된 개별적인 자아로 이해하지 않고 본질적으로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구성적 자아(constitutive self)’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인간관을 제시한다고 본다.
      그 다음으로 자유주의적 생명윤리는 자유주의적 국가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관의 핵심은 국가가 좋은 삶(good life)에 대한 특정 도덕적·종교적 문제들에 대해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에 있다. 그래서 개개인이 스스로 어떤 삶이 가치 있는 삶인지에 대해 선택하도록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바람직한 생명윤리가 견지해야 하는 올바른 전제로서의 국가관은 다원주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반드시 보호되어야 할 권리나 인간 선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국가관이 적절하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국가의 중립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국가관의 한계를 넘어서면서도 국가 완전주의(perfectionism)를 주장하는 공동체주의적 국가관에 대한 강제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생명윤리의 국가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이나 기능으로서 개인선(individual good)과 공동선(common good)의 균형 추구가 목표로 설정된 국가관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Ⅳ장에서는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공동체주의 접근법을 검토하였다. 바람직한 생명윤리적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해 생명윤리적 쟁점들의 세 가지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특성을 근거로 생명윤리의 목표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이성적 불일치(reasonable disagreement)로 보이는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가 어디까지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것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생명윤리학의 새로운 과제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할 수 있는 근본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물음들에 대한 연구 또한 수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생명윤리의 목표를 달성하고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배적인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만이 유일한 적절한 접근법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필자는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공동체주의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이 지닌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Ⅴ 장에서는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원칙이다. 필자는 구체적인 현실적인 삶 속에서 제기되는 복잡한 생명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이 실질적인 지침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칙들에 대한 논의의 범주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로 해석된 원칙이라 할 수 있는 네 가지 원칙들을 공동체주의적으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한국 사회에서 제도화를 추진 중에 있는 연명의료(Life-Sustaining Treatment) 중단 및 유보의 문제를 공동체주의적 접근법에 따라 검토하였다.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접근법이 생명윤리적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전제와 합리적인 출발점을 설정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기존의 자유주의적 논의 방식과는 다른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배경 1
      •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C. 논문의 구성 4
      • II.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 8
      • I. 서론 1
      • A. 연구의 배경 1
      • B.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C. 논문의 구성 4
      • II.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 8
      • A.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 존중 8
      • 1.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 서구 시대상 9
      • 2. 온정적 간섭주의에 대한 거부와 환자의 자율성 강조 11
      • 3. 자율성 존중과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의 동일시 13
      • B.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가지 원칙들의 논의 범주 20
      •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23
      • 2. 해악금지의 원칙 31
      • 3. 선행의 원칙 34
      • 4. 정의의 원칙 39
      • C. 소결 43
      • III.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주요 전제들 45
      • A. 인간관 46
      • 1. 자유주의적 인간관 47
      • 2. 자유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 53
      • 3. 공동체주의적 인간관 57
      • B. 국가관 63
      • 1. 자유주의적 국가관 64
      • 2. 자유주의 국가관에 대한 비판 70
      • 3. 공동체주의적 국가관 74
      • C. 소결 78
      • IV. 생명윤리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접근법 82
      • A.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의 필요성 83
      • 1. 생명윤리적 쟁점들의 특성 83
      • 2. 생명윤리의 목표와 새로운 과제 94
      • 3. 자유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의 문제점 102
      • B. 공동체주의의 유형 구분 111
      • 1. 강한 공동체주의 112
      • 2. 온건한 공동체주의 114
      • 3. 온건한 공동체주의로서 반응적 공동체주의 116
      • C. 새로운 접근법으로서의 온건한 공동체주의 123
      • 1.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간의 관계 설정 123
      • 2. 과학기술의 이용과 윤리적 허용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 126
      • 3. 공유된 숙고를 통한 사회적 합의 추구 130
      • D. 소결 133
      • V.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접근법의 적용 136
      • A. 네 원칙의 공동체주의적 원칙으로서의 전환 137
      •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139
      • 2. 해악금지의 원칙 147
      • 3. 선행의 원칙 152
      • 4. 정의의 원칙 157
      • B.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공동체주의 접근법 적용 163
      • 1.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자유주의적 접근법 163
      • 2.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쟁점의 특성과 목표 175
      • 3.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공동체주의적 접근법 적용 179
      • C. 소결 189
      • VI. 결론 193
      • 참 고 문 헌 205
      • Abstract 2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아르케, 2007

      2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3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0

      4 이상목, "동서양의 생명윤리", 아카넷, 아카넷, 2010

      5 황경식, "정의론과 사회윤리",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12

      6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7 박정순, 황경식, "롤스의 정의론과 그 이후", 철학과 현실사, 2009

      8 마이클, "/이양수 옮김,정의의 한계", 멜론, 2012

      9 김현철,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 제8권 제1호,,pp.101-117, 2014

      10 마이클, "/안진환 옮김,왜 도덕인가?", 한국경제신문사, 2010

      1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아르케, 2007

      2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3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0

      4 이상목, "동서양의 생명윤리", 아카넷, 아카넷, 2010

      5 황경식, "정의론과 사회윤리",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12

      6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7 박정순, 황경식, "롤스의 정의론과 그 이후", 철학과 현실사, 2009

      8 마이클, "/이양수 옮김,정의의 한계", 멜론, 2012

      9 김현철,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 제8권 제1호,,pp.101-117, 2014

      10 마이클, "/안진환 옮김,왜 도덕인가?", 한국경제신문사, 2010

      11 마이클, "/송재우 옮김,관용에 대하여", 미토, 2004

      12 조승래, "“마이클 샌델의 공화주의”", 대구사학회, 대구사학 제112집,,pp.158-177, 2013

      13 마이클, "/김은희 옮김,해석과 사회비판", 철학과현실사, 2007

      14 마이클, "/안규남 옮김,민주주의의 불만", 동녘, 2012

      15 목광수, "“민주주의적 덕성과 공론장”", 사회와 철학 제25호,pp.365-398, null

      16 피터싱어, "지음/변순용 옮김,생명윤리학 1", 인간사랑, 2005

      17 장동진, "“완전주의: 자유주의적 해석”",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제4호,,pp. 115-134, 1996

      18 마이클, "/정원섭 옮김,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 현실사, 1999

      19 정원섭, "롤스의 공적 이성과 입헌민주주의", 철학과 현실사, 2008

      20 이양수,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삶의 가치”", 철학과현실 년 겨울호(통권 제67호),2005,pp.234-256, 2005

      21 최경석, 유수정, "“자율성과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생명윤리 제14권 제1호(통 권 제 27호),,pp.49-63, 2013

      22 김현철,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법학논집 제19권 제4호,pp. 357-372, null

      23 주동률, "“자유주의와 완전주의: 접합의 가능성”", 한국철학회, 철학 제73집, , pp. 171-196, 2002

      24 최경석, "“출생 전 생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제10권 제1호, ,pp.11-38, 2009

      25 마이클, "왈쩌 지음/김용환 옮김,자유주의를 넘어서", 철학과 현실사, 2001

      26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제3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연례보고서", 2013

      27 마이클, "샌델 지음/강명신 옮김,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동녘, 2010

      28 권복규,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한국 성인의 인식조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 18권 3호,pp.251-261, null

      29 박정순, "“자유주의 대 공동체주의 논쟁의 방법론적 쟁점”", 철학연구 제33집,, pp.33-62, 1999

      30 최경석, "“생명윤리에서 윤리적 허용가능성 담론과 법제화”", 한국법철학회, 법철학연구 제15권 제1호,,pp.105-126, 2012

      31 황경식, "사회정의의 철학적 기초 J.롤스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사, 2013

      32 이상목,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환자의 결정과 가족의 결정”",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제12권 4호,pp.323-334, null

      33 김현철, "“죽음 문화의 다지형성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규범”", 생명윤리정책연구 제5권 제2호,pp.145-168, null

      34 최경석,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제14권 제1호(통권 제29호),pp.13-27, null

      35 최경석,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s) 제도의 윤리적 사회적 함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홍익법학 제10권 제1호,,pp.93-112, 2009

      36 김상득,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大同哲學會, 대동철학 회지 제67집,,pp.229-248, 2014

      37 김영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국가의 중립성을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제 95집,,pp.21-50, 2005

      38 김태수, "““좋은 사회”론의 개념적 토대–A.에치오니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 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pp.3-19, 2007

      39 목광수,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생명윤리 제16권 제1호,pp.21-37, null

      40 고바야시, "마사야 지음/홍성민,양혜윤 옮김,마이클 샌델의 정의사회의 조건", 황금물고기, 2011

      41 김은희, "“샌델의 시민적 공화주의는 ‘민주주의의 불만’을 해소할 것인가?”", 철 학사상 제45권,,pp.163-196, 2012

      42 마이클, "/김선욱,강준호,구영모,김은희,박상혁,최경석 옮김,공동 체주의와 공공성", 철학과 현실사, 2008

      43 황경식, "“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인가? -개인권과 공동선의 갈등과 화 합”", 철학연구회 제45권,,p.15, 1999

      44 최경석, "“생명윤리와 철학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한국생명윤리학회, 생명윤리 제14권 제2호,,pp.15-28, 2013

      45 김옥주, 황상익,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윤리의 발전:<뉘른베르크 강령> 에서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정착까지”", 진보평론 제26권,,pp.34-58, 2005

      46 목광수,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 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제105권,,pp.81-110, 2014

      47 김민영, 한유정, 장원경, 안경진, 김유리, "“연명의료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환자 가족의 역할:말기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한국의료 윤리학회지 제18권 제2호,pp.172-189, null

      48 김명희,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권고안’의 배경과 향후과제 –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 마련을 위한 특별위원회 활동 경과를 중심으로 –”", 의료정책포럼 11(3),,pp.8-1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