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아르케, 2007
2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3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0
4 이상목, "동서양의 생명윤리", 아카넷, 아카넷, 2010
5 황경식, "정의론과 사회윤리",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12
6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7 박정순, 황경식, "롤스의 정의론과 그 이후", 철학과 현실사, 2009
8 마이클, "/이양수 옮김,정의의 한계", 멜론, 2012
9 김현철,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 제8권 제1호,,pp.101-117, 2014
10 마이클, "/안진환 옮김,왜 도덕인가?", 한국경제신문사, 2010
1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아르케, 2007
2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 2006
3 김상득, "생명의료 윤리학",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0
4 이상목, "동서양의 생명윤리", 아카넷, 아카넷, 2010
5 황경식, "정의론과 사회윤리",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12
6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7 박정순, 황경식, "롤스의 정의론과 그 이후", 철학과 현실사, 2009
8 마이클, "/이양수 옮김,정의의 한계", 멜론, 2012
9 김현철,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생명윤리정책연구 제8권 제1호,,pp.101-117, 2014
10 마이클, "/안진환 옮김,왜 도덕인가?", 한국경제신문사, 2010
11 마이클, "/송재우 옮김,관용에 대하여", 미토, 2004
12 조승래, "“마이클 샌델의 공화주의”", 대구사학회, 대구사학 제112집,,pp.158-177, 2013
13 마이클, "/김은희 옮김,해석과 사회비판", 철학과현실사, 2007
14 마이클, "/안규남 옮김,민주주의의 불만", 동녘, 2012
15 목광수, "“민주주의적 덕성과 공론장”", 사회와 철학 제25호,pp.365-398, null
16 피터싱어, "지음/변순용 옮김,생명윤리학 1", 인간사랑, 2005
17 장동진, "“완전주의: 자유주의적 해석”",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제4호,,pp. 115-134, 1996
18 마이클, "/정원섭 옮김,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 현실사, 1999
19 정원섭, "롤스의 공적 이성과 입헌민주주의", 철학과 현실사, 2008
20 이양수,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삶의 가치”", 철학과현실 년 겨울호(통권 제67호),2005,pp.234-256, 2005
21 최경석, 유수정, "“자율성과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생명윤리 제14권 제1호(통 권 제 27호),,pp.49-63, 2013
22 김현철,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법학논집 제19권 제4호,pp. 357-372, null
23 주동률, "“자유주의와 완전주의: 접합의 가능성”", 한국철학회, 철학 제73집, , pp. 171-196, 2002
24 최경석, "“출생 전 생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제10권 제1호, ,pp.11-38, 2009
25 마이클, "왈쩌 지음/김용환 옮김,자유주의를 넘어서", 철학과 현실사, 2001
26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제3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연례보고서", 2013
27 마이클, "샌델 지음/강명신 옮김,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동녘, 2010
28 권복규,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한국 성인의 인식조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 18권 3호,pp.251-261, null
29 박정순, "“자유주의 대 공동체주의 논쟁의 방법론적 쟁점”", 철학연구 제33집,, pp.33-62, 1999
30 최경석, "“생명윤리에서 윤리적 허용가능성 담론과 법제화”", 한국법철학회, 법철학연구 제15권 제1호,,pp.105-126, 2012
31 황경식, "사회정의의 철학적 기초 J.롤스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사, 2013
32 이상목,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환자의 결정과 가족의 결정”",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제12권 4호,pp.323-334, null
33 김현철, "“죽음 문화의 다지형성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규범”", 생명윤리정책연구 제5권 제2호,pp.145-168, null
34 최경석,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제14권 제1호(통권 제29호),pp.13-27, null
35 최경석,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s) 제도의 윤리적 사회적 함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홍익법학 제10권 제1호,,pp.93-112, 2009
36 김상득,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大同哲學會, 대동철학 회지 제67집,,pp.229-248, 2014
37 김영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국가의 중립성을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제 95집,,pp.21-50, 2005
38 김태수, "““좋은 사회”론의 개념적 토대–A.에치오니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 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pp.3-19, 2007
39 목광수,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생명윤리 제16권 제1호,pp.21-37, null
40 고바야시, "마사야 지음/홍성민,양혜윤 옮김,마이클 샌델의 정의사회의 조건", 황금물고기, 2011
41 김은희, "“샌델의 시민적 공화주의는 ‘민주주의의 불만’을 해소할 것인가?”", 철 학사상 제45권,,pp.163-196, 2012
42 마이클, "/김선욱,강준호,구영모,김은희,박상혁,최경석 옮김,공동 체주의와 공공성", 철학과 현실사, 2008
43 황경식, "“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인가? -개인권과 공동선의 갈등과 화 합”", 철학연구회 제45권,,p.15, 1999
44 최경석, "“생명윤리와 철학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한국생명윤리학회, 생명윤리 제14권 제2호,,pp.15-28, 2013
45 김옥주, 황상익,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윤리의 발전:<뉘른베르크 강령> 에서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정착까지”", 진보평론 제26권,,pp.34-58, 2005
46 목광수,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 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제105권,,pp.81-110, 2014
47 김민영, 한유정, 장원경, 안경진, 김유리, "“연명의료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환자 가족의 역할:말기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한국의료 윤리학회지 제18권 제2호,pp.172-189, null
48 김명희,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권고안’의 배경과 향후과제 –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 마련을 위한 특별위원회 활동 경과를 중심으로 –”", 의료정책포럼 11(3),,pp.8-1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