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플랫폼노동자의 노동환경 연구 - 음식배달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Chinese Platform Workers - Focusing on the Food Delivery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9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4차 산업혁명의 발전이 플랫폼경제 발전을 이끌고 있다. 플랫폼기업이 중국경제의 중추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노동자도 출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음식배달노동자이다. 중국 사회는 음식배달노동자의 증가로 인해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을 분석하여 플랫폼경제가 가지는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배달노동자의 소득은 제조업에 종사하는 농민공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식배달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율과 노동계약 체결율은 저조하게 조사되었다. 셋째, 음식배달노동자의 근무시간은 농민공보다 길며 휴일에도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엄격한 규정과 근무평가로 언제든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 열악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번역하기

      제4차 산업혁명의 발전이 플랫폼경제 발전을 이끌고 있다. 플랫폼기업이 중국경제의 중추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노동자도 출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음식배달노동자이다. 중국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의 발전이 플랫폼경제 발전을 이끌고 있다. 플랫폼기업이 중국경제의 중추로 떠오르면서 새로운 노동자도 출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음식배달노동자이다. 중국 사회는 음식배달노동자의 증가로 인해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을 분석하여 플랫폼경제가 가지는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배달노동자의 소득은 제조업에 종사하는 농민공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식배달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율과 노동계약 체결율은 저조하게 조사되었다. 셋째, 음식배달노동자의 근무시간은 농민공보다 길며 휴일에도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엄격한 규정과 근무평가로 언제든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음식배달노동자의 노동환경 열악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TRA,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 방안.Global Market Report" 2020

      2 이중희, "코로나19 위기 이후 격변하는 중국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추세" 한국아시아학회 23 (23): 43-64, 2020

      3 원회연, "중국의 음식배달 앱에 관한 소비자 만족도 분석" 동국대 대학원 2021

      4 이중희, "중국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과 데이터 독점 규제: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24 (24): 87-102, 2021

      5 김성옥,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의 현황 및 성장전략" 380 : 2-, 2020

      6 양하은, "중국 신형도시화 발전계획" 동북아북한교통물류 7-, 2017

      7 김경환,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상태와 사회갈등"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8 곽예지, "중국 배달경제 고속성장 뒤에 가려진 배달원의 눈물"

      9 박석진, "불안정하고 위험한 노동으로 매몰리는 중국의 플랫폼 배달노동자" 85-89, 2020

      10 김은수, "공장 싫어 음식배달 할래 골병드는 中제조업"

      1 KOTRA, "코로나19 이후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대응 방안.Global Market Report" 2020

      2 이중희, "코로나19 위기 이후 격변하는 중국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추세" 한국아시아학회 23 (23): 43-64, 2020

      3 원회연, "중국의 음식배달 앱에 관한 소비자 만족도 분석" 동국대 대학원 2021

      4 이중희, "중국의 거대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과 데이터 독점 규제: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24 (24): 87-102, 2021

      5 김성옥,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의 현황 및 성장전략" 380 : 2-, 2020

      6 양하은, "중국 신형도시화 발전계획" 동북아북한교통물류 7-, 2017

      7 김경환,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상태와 사회갈등"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8 곽예지, "중국 배달경제 고속성장 뒤에 가려진 배달원의 눈물"

      9 박석진, "불안정하고 위험한 노동으로 매몰리는 중국의 플랫폼 배달노동자" 85-89, 2020

      10 김은수, "공장 싫어 음식배달 할래 골병드는 中제조업"

      11 성정민, "경제회복 주역 샤오거에 주목을"

      12 沈锦浩, "网约工: 新生代农民工就业的新选择与新风险" (3) : 124-126, 2020

      13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 "第48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发布"

      14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 "第47次调查报告: 网上外卖"

      15 北京义联劳动法援助与研究中心, "新业态从业人员劳动权益保护2020年度调研报告" 山东管理学院新兴业态发展研究所 2021

      16 搜狐网, "提供2020年中国外卖市场现状"

      17 王春蕊, "外卖骑手职业可持续发展调查报告"

      18 银昕, "外卖骑手劳动保障现状调查" 59-61, 2021

      19 张子渊, "外卖用工模式法律研究报告发布:平台认劳率仅为1%"

      20 冯时, "外卖平台用工关系的法律问题" (36) : 60-, 2021

      21 机智电商网, "外卖市场份额(外卖行业市场分析)"

      22 麒麟说财经, "农民工参保率还不足22% 他们为何不缴纳社保?老了靠什么养老"

      23 宋扬扬, "共享经济商业新范式—共享单车"的困境与治理" (1) : 24-, 2019

      24 李松徐, "全国规模以上企业农民工合同签订率超90%"

      25 金桥, "三重脱嵌 : 外卖骑手的结构性困境探究——基于上海671份问卷的调查分析" (03) : 81-, 2020

      26 北京中经博远信息咨询中心, "2021版外卖市场现状与趋势分析报告"

      27 观研天下, "2020年我国在线餐饮外卖市场规模及增速预测情况"

      28 国家统计局, "2020年农民工监测调查报告"

      29 张子璇, "2020年全国就业人口7.5亿农民工2.86亿减少517万 社保卡持有人数13.35亿人-更多信息尽在内页"

      30 国家统计局, "2015年农民工监测调查报告"

      31 国家统计局, "2015年农民工监测调查报告"

      32 国家统计局, "2014年农民工监测调查报告"

      33 国家统计局, "2010年农民工监测调查报告"

      34 杨佩雯, "160万外卖员之困:不是劳动者 仍然没社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98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