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개발 = Development of Stakeholder-based Evaluation Scal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7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s that can access hierarchically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based on relevant stakeholders. To fulfill this purpo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First of all, four groups of stakeholders were selected such as trainees, professors, field instructors, and program inspectors.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3 experts in the field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the scale with hierarchy of evaluation area, evaluation section, and evaluation item for each stakeholder was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scales, delphi surveys for each stakeholder were conducted, using 35 expert panels. After delphi survey, the scale was applied to 90 trainees, 22 professors, and 31 field instructors.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valuation scale of the trainer was identified as 8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sections and 51 evaluation items. And the professor’s scale consisted of 6 areas, 10 sections and 40 items. The field instructor’s scale was determined as 3 areas, 7 sections and 31 items, and the program inspector's evaluation scale was confirmed as 7 areas, 15 sections, and 32 ite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s that can access hierarchically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based on relevant stakeholders. To fulfill this purpo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s that can access hierarchically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based on relevant stakeholders. To fulfill this purpo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First of all, four groups of stakeholders were selected such as trainees, professors, field instructors, and program inspectors.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3 experts in the field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the scale with hierarchy of evaluation area, evaluation section, and evaluation item for each stakeholder was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scales, delphi surveys for each stakeholder were conducted, using 35 expert panels. After delphi survey, the scale was applied to 90 trainees, 22 professors, and 31 field instructors.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valuation scale of the trainer was identified as 8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sections and 51 evaluation items. And the professor’s scale consisted of 6 areas, 10 sections and 40 items. The field instructor’s scale was determined as 3 areas, 7 sections and 31 items, and the program inspector's evaluation scale was confirmed as 7 areas, 15 sections, and 32 i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관련 이해당사자를 기반 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모형 중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순차적으로실시하는 순차적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이해당사자를 실습생, 담당교수자, 실습지도자, 프로그램 관리자의 네 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해당사자들의 평가관점 및 평가내용을 탐색하였다. 탐색된 평가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 중인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각 이해당사자별로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의 위계를가진 초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초안은 평가척도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35명의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이해당사자별로 각각 2∼ 3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실습생90명, 담당교수자 22명, 실습지도자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기술통계값,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이해당사자별 평가척도를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실습생 평가척도는 8개 평가영역, 14개 평가부문, 51개 평가항목, 담당교수자 평가척도는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부문, 40개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실습지도자 평가척도는 3개 평가영역, 7개 평가부문, 31개 평가항목으로 완성되었으며, 프로그램 관리자 평가척도는 7개 평가영역, 15개 평가부문, 32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진행단계에따른 각 이해당사자 입장의 변수들을 밝혀내어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적 충실도를규명하는 데 유용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관련 이해당사자를 기반 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모형 ...

      본 연구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관련 이해당사자를 기반 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모형 중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순차적으로실시하는 순차적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이해당사자를 실습생, 담당교수자, 실습지도자, 프로그램 관리자의 네 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해당사자들의 평가관점 및 평가내용을 탐색하였다. 탐색된 평가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 중인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각 이해당사자별로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의 위계를가진 초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초안은 평가척도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35명의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이해당사자별로 각각 2∼ 3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실습생90명, 담당교수자 22명, 실습지도자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기술통계값,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이해당사자별 평가척도를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실습생 평가척도는 8개 평가영역, 14개 평가부문, 51개 평가항목, 담당교수자 평가척도는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부문, 40개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실습지도자 평가척도는 3개 평가영역, 7개 평가부문, 31개 평가항목으로 완성되었으며, 프로그램 관리자 평가척도는 7개 평가영역, 15개 평가부문, 32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진행단계에따른 각 이해당사자 입장의 변수들을 밝혀내어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적 충실도를규명하는 데 유용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순근, "학교정책평가의 필요성 및 지향점" 19 (19): 46-51, 2006

      2 Fitzpatrick J. L., "프로그램 평가: 대안적 접근과 실천적 지침" 아카데미프레스 2014

      3 최영근,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및 평생교육사 직무모델에 기반한 요구도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1628-1645, 2015

      4 교육부, "평생교육실습 과목 운영지침"

      5 교육부, "평생교육실습 과목 운영지침"

      6 이해주, "평생교육실습"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7 김진화,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의 실증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149-176, 2006

      8 조대연,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이 대학생의 평생교육태도, 직업몰입,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26) : 151-171, 2006

      9 전도근,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의 직무능력 개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1 (31): 303-330, 2004

      10 양병찬,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 백순근, "학교정책평가의 필요성 및 지향점" 19 (19): 46-51, 2006

      2 Fitzpatrick J. L., "프로그램 평가: 대안적 접근과 실천적 지침" 아카데미프레스 2014

      3 최영근,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및 평생교육사 직무모델에 기반한 요구도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1628-1645, 2015

      4 교육부, "평생교육실습 과목 운영지침"

      5 교육부, "평생교육실습 과목 운영지침"

      6 이해주, "평생교육실습"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7 김진화,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의 실증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149-176, 2006

      8 조대연,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이 대학생의 평생교육태도, 직업몰입,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26) : 151-171, 2006

      9 전도근,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의 직무능력 개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1 (31): 303-330, 2004

      10 양병찬,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1 허영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절충적 접근의 필요성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13 (13): 243-267, 2015

      12 박진숙, "평생교육 실습경험에서 예비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13 김진숙, "평생교육 실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1-293, 2012

      14 배을규, "통합적 평가 접근법을 활용한 HRD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연수 평가 모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25-50, 2014

      15 백영구, "철도프로젝트 요구사항 관리를 위한 이해당사자 별 확인 및 검증활동에 관한 연구" 1523-1528, 2015

      16 목은영, "정보원 다양성, 이해당사자 견해반영, 관점 균형성이 뉴스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8 (58): 428-456, 2014

      17 김혜숙(金惠淑),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343-368, 2009

      18 기영화, "부산광역시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상호작용의 탐색 : 근거이론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207-229, 2013

      19 한상길, "반성적 성찰을 통한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59-84, 2014

      20 김병만, "델파이 조사에 기반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13-142, 2015

      21 엄완용,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제도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2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8

      23 최다운, "공유가치창출의 동기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2 (22): 153-174, 2015

      24 변종임, "[RM2006-75]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시안 개발" KEDI 2006

      25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26 Mark, M. M., "Stakeholder-based evaluation and value judgments" 9 (9): 605-627, 1985

      27 김석우, "SPSS AMOS 활용의 실제(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학지사 2010

      28 Cousins, J. B., "Participatory evaluation in education" Bargess Science Press 159-180, 1995

      29 Mercier, C., "Participation in stakeholder-based evaluation: a case study" 20 (20): 467-475, 1997

      30 Creswell, J. W., "Method: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methods research" Sage 2011

      31 Aspinwall, K., "Managing evaluation in education: A developmental approach" Routledge 1992

      32 Scriven, M., "Key evaluation checklist"

      33 Patton, M.,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 Sage 1987

      34 Guba, E. G.,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1989

      35 Forest, L. B., "Extension handbook: Process and practices" Thompson Educational Publishing 86-99, 1994

      36 Weiss, C. H., "Evaluation" Prentice-Hall 1998

      37 Greene, J. C., "Encyclopedia of evaluation" Sage 397-398, 2005

      38 Michalski, G. V., "Differences in stakeholder perceptions about training evaluation: A concept mapping/pattern matching investigation" 23 (23): 211-230, 2000

      39 House, E. R., "Deliberative democratic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Jossey-Bas 2000

      40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41 백순근,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69-91, 2008

      42 백성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당사자 기반 평가 연구 -인문계 고등학교 쟁점사항 선호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1-67,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