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간접적 직무체험(Job Shadowing)에서 직업진로 발달의 이해 =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the Job Shadowing of th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7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college students of the beauty department changed their perspective about jobs, career 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in the process of job shadowing. We selected 8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beauty department of a college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participants have learned attitude, knowledge, competence, and an important matter necessary to achieve a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beauty job. In particular, they figured out that a core competency for a successful beauty job is to share a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Second, they recognized that doing a beauty job is very tough and then set a criteria to make a decision of their future job. Doing a Job shadowing made them being change in the area of job and their job perspective. Finally, they looked themselves back how they are satisfying with developing their career at the beauty depar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contextually showed how the college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job careers through an indirect job experience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Moreove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student’s direct work experiences such as the existing internship programs, which focused on exploring the student’s indirect work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their vicarious learning.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ding a basic perspective for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of colleg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college students of the beauty department changed their perspective about jobs, career 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in the process of job shadowing. We selected 8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college students of the beauty department changed their perspective about jobs, career 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in the process of job shadowing. We selected 8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beauty department of a college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participants have learned attitude, knowledge, competence, and an important matter necessary to achieve a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beauty job. In particular, they figured out that a core competency for a successful beauty job is to share a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Second, they recognized that doing a beauty job is very tough and then set a criteria to make a decision of their future job. Doing a Job shadowing made them being change in the area of job and their job perspective. Finally, they looked themselves back how they are satisfying with developing their career at the beauty depar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contextually showed how the college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job careers through an indirect job experience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Moreove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student’s direct work experiences such as the existing internship programs, which focused on exploring the student’s indirect work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their vicarious learning.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ding a basic perspective for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of colleg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숙, "청소년의 진로대리학습을 위한 역사적 인물조사 및 진로대리학습모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35-161, 2006

      2 김은석,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 실태 및 만족도 분석: 2011년도 수료자를 대상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39-55, 2012

      3 Creswell. J. W.,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박영스토리 2017

      4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박윤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5-183, 2016

      6 김세영, "직업탐색을 위한 조별학습체험: H 여자대학교 세무회계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질적연구학회 16 (16): 21-33, 2015

      7 정철영, "직업체험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발달, 학습동기, 창의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17, 2012

      8 한상근,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9 김지영, "지역사회 기반 직업체험이 중학생의 진로정보 탐색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10, 2016

      10 정연순, "지역사회 기반 중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17-240, 2012

      1 김병숙, "청소년의 진로대리학습을 위한 역사적 인물조사 및 진로대리학습모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35-161, 2006

      2 김은석,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 실태 및 만족도 분석: 2011년도 수료자를 대상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39-55, 2012

      3 Creswell. J. W.,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박영스토리 2017

      4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5 박윤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5-183, 2016

      6 김세영, "직업탐색을 위한 조별학습체험: H 여자대학교 세무회계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질적연구학회 16 (16): 21-33, 2015

      7 정철영, "직업체험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발달, 학습동기, 창의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17, 2012

      8 한상근,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9 김지영, "지역사회 기반 직업체험이 중학생의 진로정보 탐색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10, 2016

      10 정연순, "지역사회 기반 중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17-240, 2012

      11 장희선,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직업체험활동, 생애목표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71-292, 2016

      12 조현철, "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진로의식의 변화와 교직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243-262, 2005

      13 김기홍,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14 정애리,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535-558, 2011

      15 김종운,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23-141, 2013

      16 손강숙, "전문대학 여대생의 전공선택과 진로탐색과정 및 요구조사" 4 (4): 55-71, 2015

      17 김정아,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 22 (22): 135-157, 2013

      18 김진희,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스토리에 나타난 진로결정 경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19 성은모,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방안"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49-63, 2013

      20 이경미, "인턴십을 통한 대학생의 경력탐색과정과 경력인식의 분석과 함의"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41-266, 2011

      21 남민영, "인물탐구학습기반 모델링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91-119, 2016

      22 김현철, "아시아 청소년 진로체험활동 국제비교 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23 송지혜, "살고 싶어서 퇴사합니다"

      24 유지원,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의 잠재평균 비교"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83-202, 2017

      25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역량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6 김은애, "대학생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67-90, 2015

      27 김지현, "대학생 프로테제의 멘토와의 관계적 특성이 멘토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8 김지영, "대학생 진로발달에 있어서 인턴십 프로그램 경험의 학습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41-70, 2014

      29 최애경, "대학생 기업인턴십 현황과 과제" 한국상업교육학회 24 (24): 23-47, 2010

      30 정주원, "고등학생의 진로체험 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39-158, 2016

      31 김소라, "고등학생 진로체험과 프로그램 평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7-190, 2016

      32 Harpaz, I.,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work: A relative stability a midst change" 55 (55): 639-667, 2002

      33 Creed, P. A.,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in young adults" 74 (74): 219-229, 2009

      34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 Hall 1986

      35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36 Haimson, J., "Schooling in the workplace: Increasing the scale and quality of work-based learning" Mathematica Policy Research, Inc 2001

      37 Hughes, K. L., "School-to-work: Making a difference in education" Institute on Education and the Econom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1

      38 Yancey, A. K., "Role models, ethnic identity, and health-risk behaviors in urban adolescents" 156 (156): 55-61, 2002

      39 MacCallum, J., "Role models for young people: What makes an effective role model program" Australian Clearing House for Youth Studies 2002

      40 Cho. C, "Reflections on a Job-Shadowing Experience" 47 (47): 749-759, 2009

      41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42 조용선, "JOB SHADOWING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39-57, 2008

      43 Oyserman, D.,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Guilford 69-104, 2012

      44 Knight, P. T., "Employability and goo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8 (8): 3-16, 2003

      45 Saka, 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career-decision-making difficulties" 16 : 403-424, 2008

      46 Winship, G., "Effects of shadowing and supervised on-the-job inductions on mental health nurses" 21 : 379-382, 2014

      47 Savickas, M. 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research and theory to work" John Wiley & Sons 42-70, 2005

      48 Niles, S. G.,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An empirical guide to strategies that w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49 Hirschi, A.,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74 (74): 145-155, 2009

      50 Gilboa, S., "A meta-analysis of work demand stressors and job performance : Examining main and moderating effects" 61 : 227-27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