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토아철학 행복론의 철학상담적 함의: hegemonikon을 중심으로 = Stoic Happiness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 With a focus on hegemonik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6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Stoic happiness theory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right self-formation through hegemonikon. Hegemonikon is the most essential organ that makes up a soul, referring to something that leads and commands oneself. Each person is his or her own master. One can escape from his or her slavish ego and become free by developing hegemonikon, which is in charge of rule and control in his or her soul. It can be explained as a process of a participant discovering and forming his or her right ego in philosophical counseling. According to Epictetus, people can reach their true happiness by shedding off their slavish attitudes and getting their freedom.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participants reach for their respective happy lives by inspiring them to build their world views anew with rich concepts in philosophy. Suffering from the absence of self-examination, modern people will find a chance for the right self-formation if they have an encounter with the Stoic happiness concept.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Stoic happiness theory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right self-formation through hegemonikon. Hegemonikon is the most essential organ that makes up a soul, referring to something tha...

      This study set out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Stoic happiness theory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right self-formation through hegemonikon. Hegemonikon is the most essential organ that makes up a soul, referring to something that leads and commands oneself. Each person is his or her own master. One can escape from his or her slavish ego and become free by developing hegemonikon, which is in charge of rule and control in his or her soul. It can be explained as a process of a participant discovering and forming his or her right ego in philosophical counseling. According to Epictetus, people can reach their true happiness by shedding off their slavish attitudes and getting their freedom.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participants reach for their respective happy lives by inspiring them to build their world views anew with rich concepts in philosophy. Suffering from the absence of self-examination, modern people will find a chance for the right self-formation if they have an encounter with the Stoic happiness concep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스토아철학 행복론의 철학상담적 함의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스토아철학의 hegemonikon을 철학상담의 주제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hegemonikon은 영혼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관으로서 나를 이끌고 지휘하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각자의 주인은 자기 자신인데, 수동적인 자아를 벗어나 자유로운 자기가 되기 위한 과정은 영혼 중에서 지배하고 제어하는 부분인 hegemonikon의 계발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것은 철학상담의 참여자가 올바른 자기를 발견하고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에픽테토스에 따르면 노예적인 태도를 벗어나 자유를 얻게 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철학상담은 철학의 풍부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세계관을 새로이 구성함으로써 참여자들이 행복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자기성찰의 부재와 방황으로 고민하고 있는 현대인들이 스토아철학의 행복개념을 만나게 되면 올바른 자기형성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참여자들 각자의 행복한 삶에 힘과 위로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스토아철학 행복론의 철학상담적 함의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스토아철학의 hegemonikon을 철학상담의 주제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hegemonikon은 영혼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

      본 논문은 스토아철학 행복론의 철학상담적 함의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스토아철학의 hegemonikon을 철학상담의 주제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hegemonikon은 영혼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관으로서 나를 이끌고 지휘하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각자의 주인은 자기 자신인데, 수동적인 자아를 벗어나 자유로운 자기가 되기 위한 과정은 영혼 중에서 지배하고 제어하는 부분인 hegemonikon의 계발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것은 철학상담의 참여자가 올바른 자기를 발견하고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에픽테토스에 따르면 노예적인 태도를 벗어나 자유를 얻게 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철학상담은 철학의 풍부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세계관을 새로이 구성함으로써 참여자들이 행복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자기성찰의 부재와 방황으로 고민하고 있는 현대인들이 스토아철학의 행복개념을 만나게 되면 올바른 자기형성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참여자들 각자의 행복한 삶에 힘과 위로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성숙, "현대 상담이론 및 심리치료적 접근의 철학적 배경" 철학연구회 (99) : 209-244, 2012

      2 장영란, "헬레니즘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영혼 훈련 개념"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123-154, 2012

      3 한경자, "초기 스토아 자연학에서 ‘우주적 프네우마’ 연구 : 크뤼시포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4 랜 라하브,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이진남, "인지주의치료와 스토아철학" 인간학연구소 (39) : 47-75, 2019

      6 세네카, "인생이 왜 짧은가 : 세네카의 행복론" 숲 2005

      7 이창우,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 -에픽테토스의 메시지와 소크라테스-" 한국서양고전학회 (31) : 33-56, 2008

      8 에픽테토스, "왕보다 더 자유로운 삶 : 에픽테토스의 엥케이리디온, 대화록 연구" 서광사 2013

      9 장영란, "영혼의 역사" 글항아리 2010

      10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 : 도덕에 관한 작은 책" 까치글방 2003

      1 노성숙, "현대 상담이론 및 심리치료적 접근의 철학적 배경" 철학연구회 (99) : 209-244, 2012

      2 장영란, "헬레니즘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영혼 훈련 개념"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123-154, 2012

      3 한경자, "초기 스토아 자연학에서 ‘우주적 프네우마’ 연구 : 크뤼시포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4 랜 라하브, "철학상담의 이해와 실천" 시그마프레스 2013

      5 이진남, "인지주의치료와 스토아철학" 인간학연구소 (39) : 47-75, 2019

      6 세네카, "인생이 왜 짧은가 : 세네카의 행복론" 숲 2005

      7 이창우,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 -에픽테토스의 메시지와 소크라테스-" 한국서양고전학회 (31) : 33-56, 2008

      8 에픽테토스, "왕보다 더 자유로운 삶 : 에픽테토스의 엥케이리디온, 대화록 연구" 서광사 2013

      9 장영란, "영혼의 역사" 글항아리 2010

      10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 : 도덕에 관한 작은 책" 까치글방 2003

      11 이창우, "에픽테토스와 철학의 개념"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5) : 149-182, 2016

      12 김재홍, "에픽테토스 담화록" 7 (7): 2006

      13 이창우, "신을 닮는 것 : 스토아 윤리학 및 자연철학에 전해진 플라톤의 유산" 15 : 5-33, 2010

      14 장영란, "스토아학파의 영혼의 인식론적 훈련과 철학적 치유" 한국해석학회 (30) : 31-58, 2012

      15 장영란, "스토아학파의 영혼의 윤리적 훈련과 치유" 한국해석학회 (36) : 185-214, 2015

      16 이진남, "스토아학파와 철학상담" 대한철학회 150 : 207-235, 2019

      17 장바티스트 구리나, "스토아주의" 글항아리 2016

      18 이창우, "스토아적 감정 이론 : 추론적 구조, 동의 그리고 책임" 8 : 91-120, 2012

      19 이창우, "세네카의 자연 탐구Naturales Quaestiones : 스토아적 자연 이해" 13 : 227-254, 1999

      20 이창우,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1" 휴머니스트 2006

      21 이창우, "서양고대철학 2" 길 2016

      22 피터 라베,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철학의 역할" 학이시습 2016

      23 김진아, "삶의 철학을 위한 철학상담과 인성교육―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원리와 실천―" 인간학연구소 (40) : 35-60, 2020

      24 김진아, "고중세철학의 행복론을 통한 철학상담의 기초정립과 집단 프로그램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25 피에르 아도, "고대철학이란 무엇인가" 이레 2008

      26 Nussbaum, Martha, "What is an Emotion? :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