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ealing Pictorial Expression of life Suffering from Disease -Focused on my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theme and form of my artworks, which focus on compassion for creatures suffering from diseases(疾苦) and the severity of environ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86193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동양화전공 , 2025. 2
2025
한국어
759 판사항(22)
서울
A healing pictorial expression of life suffering from disease focused on my works
vii, 91 p. : 삽화
지도교수: 이은호
참고문헌 : p
I804:11064-0000000337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ealing Pictorial Expression of life Suffering from Disease -Focused on my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theme and form of my artworks, which focus on compassion for creatures suffering from diseases(疾苦) and the severity of environm...
A Healing Pictorial Expression of life Suffering from Disease
-Focused on my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theme and form of my artworks, which focus on compassion for creatures suffering from diseases(疾苦) and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human selfishness.
In order to explain the thematic awareness inherent in my work, I examined it based on the ‘thoughts of life’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theme of my work is creatures sufferring from disease, and it is the expression of life that heals pain with the will of inner power, regenerates, and continues to circulate.
Materials containing this meaning are animals and plants that have suffered from diseas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ternal factors of nature.
Therefore, in order to interpret the theme of my work, this paper use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auses and healing mechanisms of diseases, and the cycle of lif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generative philosophy.
In Eastern philosophy, Lao and Zhuangzi identified the 'thought of life(生命)' which is changing and cyclical, as Tao(道) The disease thoughts of Lao and Zhuangzi contained in the Huangdi Neijing(黃帝內經) include diseases caused by energy(氣) and treatment methods, Through Generative Philosophy,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ivation of ‘Wu Wei Zi Ran’, characterized by innocence (天眞無垢), ignorance (無知), and desirelessness (無慾), is capable of curing diseases.
In Western philosophy, Bergson viewed life(生命) as a characteristic of changing continuity. 'Free will', which is the inner will, is the power to live continuously, and the destruction of habit memory and image memory is caused by the occurrence of disease. In addtion, it has been proven through Generative philosophy that these diseases can be healed through internal will. And the issue of the normality of life(生命) was proven as the 'normative' value of the entity, and the medical view that diseases change and circulate like life was identified through Canguilhem's Generative philosophy of creation.
By examining the Beauty of ’Wu Wei Zi Ran‘(無爲自然) as an aesthetic
foundation, and the mental boundary of 'infinite freedom' that must return artificial human reason to nature, Criticism of environmental pollution, I visualized coexistence with animals by applying it as an aesthetic method in my work.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ife,’ which is the thematic feature of this paper, we will look into the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reasons why animals develop diseases. And with Lao Zhuang's monistic ideas, we will criticize anthropocentric ideas, recogniz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reveal the preciousness of life. In ‘Healing through Nature’, it is revealed that nature(自然) itself has a healing function even though it gets disease due to unpredictabl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I considered that my artistic actions received from communication with animals and plants, which are pure natural nature, were healed through an inner purification process. In the 'circularity of life,' life is seen as existing within an order that constantly changes, continues, and circulates. The diseased trees that arise in this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Laozi and Zhuangzi's philosophy of 'Tao and Circulation' and Bergson's philosophy of 'Continuity. As a result, I learned that my psychological ego and my traumatic emotions, which were affected by animals and plants, were expressed during my work. It was found that such a psychological expression is the spirit of 'infinite freedom' of ‘Wu Wei Zi Ran(無爲自然)’, and this spirit also has the effect of healing to overcome diseas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terms of formal analysis, early works depicted natural forms as figurative shapes, while later works depicted them as non-figurative shapes.
This revealed that the strong inner will of creatures afflicted by disease is a form that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meaning of the circular(圓) form used in the artwork is a symbolic sign of life, representing 'nature that creates' and 'inner life force’ The large circle represents the vast cosmic space, and the small circle the expression of inner will life. The numerous circles in the artwork may appear as a form of chaos, but explain that all things have a generative order in which all things are born, grow, and perish. Layering the mineral pigments used in East Asian painting is a repetitive act of adding color, which brings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and expresses focus and depth in relation to plants and anima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ayering from repetition contains the meaning of change, continuance, and circulation. The composition of the scene, imag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sect flying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n ant, is an expression of the intrinsic will of life. The use of this bird's-eye view method(鳥瞰法) is an expression of the principle of motion in visual composition, representing the ascending flow of life and conveying a lively, dynamic movement of life. It was found that these various angles of view are an expression that can capture the huge world of life on a single screen.
This paper was able to reveal the invisible dynamic power of lives suffering from disease to overcome it, as well as the circularity and continuous nature inherent in that life,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the work. In this process, the Taoist ideas of Lu and Zhuangzi and the generative theories of Bergson and Canguilhem were derived and used as the on basis. And, from a monistic perspective,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experienced by humans, human efforts to restore it, and the need for diseased animals and plants to coexist and live together.
Philosophical thinking and traditional material techniques became motivation to connect with new techniques and creation. and I was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my work in depth and expand the world of my work.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질고(疾苦)로 고통 받는 생명체에 대한 연민과 인간의 이기심으로 파생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내용으로 한 본인 작품의 주제와 형식을 분석한 것이다. 본인 작품에 내재한 주제 ...
본 논문은 질고(疾苦)로 고통 받는 생명체에 대한 연민과 인간의 이기심으로 파생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내용으로 한 본인 작품의 주제와 형식을 분석한 것이다. 본인 작품에 내재한 주제 의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동서양의 생명 사상에 근거를 두고 고찰하였다.
본인 작품의 주제는 질병으로 고통 받은 생명들이며, 아픔을 내적인 힘의 의지로 치유하고, 다시 생성하며 계속 순환하는 생명들의 표현이다. 이런 의미를 담은 소재는 환경오염과 자연의 외적 요인으로 질병에 걸린 동·식물이다. 따라서 본인 작품 주제를 해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환경오염, 질병 원인과 치유 작동, 생명의 순환의 내용을 생성론적 철학을 근거하여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동양철학은 노·장자의 변화하고 순환하는 생명(生命)사상을 도(道)로 규명하였고, 황제내경에 담긴 노·장자의 질병사상은 기(氣)로 인한 질병과 치료방법을, 천진무구(天眞無垢), 무지(無知), 무욕(無慾)하는 무위자연의 수양은 질병 치유(治癒)가 가능함을 생성철학으로 규명하였다.
서양철학의 베르그송은 생명(生命)을 변화하는 지속의 특성으로 보았고, 내적의지인 ‘자유의지’는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힘이며, 습관기억과 이미지 기억의 파괴는 질병의 발생이 원인이며, 또한 내적의지로 치유 될 수 있음을 생성철학으로 입증하였다. 그리고 생명(生命)의 정상성의 문제를 개체의 ‘규범성’ 가치(價値)로 증명하고, 질병도 생명처럼 변화하며 순환한다는 의학관을 깡길렘의 생성 철학으로 규명하였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미를 미학적 토대로 고찰해봄으로서 인위적인 인간의 이성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무한자유’의 정신적 사유와 환경오염에 대한 비판, 동물들과 상생을 본인 작품의 미학적 심미 방식으로 적용하여 시각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주제적 특징인 ‘환경오염과 생명’에서는 환경오염 원인과 동물들의 질병에 걸린 이유를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노장자의 일원론적 사상으로 인간중심주의 사상 비판과 환경 위기의 인식과 생명의 소중함을 밝힐 수 있었다.
‘자연을 통한 치유’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자연환경으로 질병에 걸리지만 자연(自然)은 그 자체로 치유 기능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순수한 자연 본성인 동·식물과의 교감으로부터 받은 본인의 예술적 행위는 내면의 정화 과정으로 치유가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생명의 순환성’에서는 생명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지속되며 순환하는 질서 속에 있다고 보고, 그 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든 나무들을 노·장자의 ‘도와 순환’철학 관점과 베르그송의 ‘지속’ 철학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인작업 과정에서 동·식물로 감응된 심리적 자아와 본인의 트라우마 감정이 표출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심리적 표출은 무위자연의 ‘무한자유’의 정신이며 이 정신은 질병의 극복의지와 심리적 안정을 찾는 치유의 효과도 얻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형식적 분석의 특징에서 초기 작품은 자연의 형태를 구상적 형상으로 그렸다면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비구상 형상으로 그렸다. 이는 질병에 걸린 생명의 강한 내적의지를 시간의 흐름으로 변화된 형태임을 밝혔다. 작품에 그려진 원(圓) 형태의 의미는 생성하는 자연과 내재적 생명 운동력에 대한 순환하는 생명의 상징적 기호다. 큰 원형은 우주 거대한 공간을 작은 원형은 생명의 내적 의지 표현이다. 화면속의 수많은 원형은 혼돈의 모습처럼 보이지만 만물의 탄생, 성장. 소멸하는 생성하는 질서를 갖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동양화 안료인 분채를 중첩함은 색을 올리는 반복적 행위로서 오는 심리적 치유 효과와 동·식물에 대한 집중과 깊이감의 표현이였다. 그리고 반복에서 오는 중첩은 변화와 지속하며 순환하는 의미가 담겨있음을 확인하였다. 곤충이 날아다니며 보는 시점과 개미가 보는 시점을 상상하여 구성한 화면은 생명내적 의지 표현이다. 이와 같은 조감법(鳥瞰法)의 사용은 조형원리 요소인 운동성의 표현으로 생명의 상승하는 흐름이며 활기찬 생명의 움직임으로 생동감을 주는 표현이다. 이러한 다양한 각도의 시점은 거대한 규모의 생명세계를 하나의 화면에 담아낼 수 있는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질병으로 고통 받은 생명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역동적인 힘과, 그 생명에 내재된 순환성과 지속적인 속성을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밝힐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노·장자의 도가 사상과 베르그송과 깡길렘의 생성이론을 도출하여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인간이 겪는 환경오염의 문제성과 이를 다시 회복하려는 인간의 노력, 질병에 걸린 동·식물도 같이 상생하고 살아가야함을 일원론적 관점으로 알아 볼 수 있었다. 철학적 사유와 전통적 재료 기법은 새로운 기법과 창작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고, 본인의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작업에 대한 세계를 넓혀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