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묘제례악 정대업지곡 중 여덟 번째 곡명(曲名)에 대한 소고(小考) = On the Title of the Eighth Chongdaeop chigok Piece in Chongmyo Cherye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79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후, 그 가치가 인정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근래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정대업(定大業) 중 여덟 번...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후, 그 가치가 인정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근래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정대업(定大業) 중 여덟 번째 곡명이 “총유”(寵綏)에서 “총수”(寵綏)로 각종 인쇄매체에서 탈바꿈하기 시작하면서 국악계에 혼동을 야기하게 된 것이다. 이에 양명석(梁明錫)의 “총유의 음독에 관하여”라는 논문이 나오게 되어 약간의 의혹은 해소되었으나, 그 곡명이 바뀌게 된 동기와 배경에 대한 설명이 없던 터라 이에 대한 시원스러운 해답을 구할 수 없었다. 이를 밝히는 일은 관련 자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음운변천과 한문의 변천에 관한 해박한 언어학적 지식을 요하므로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는 세종 때 『동국정운(東國正韻)』과 정조 때 『규장 전운(奎章 全韻)』·『전운옥편(全韻玉編)』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양명석이 밝힌 『천자문』의 내용 중에 유(綏)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1575년판 『천자문』에 ‘편할 유’로 훈독이 달린 것을 고려할 때 이왕직아악부 교과철(李王職雅樂部 敎科綴)의 ‘綏 편안 유’라고 한 것이 잘못이 아님을 밝힌 것은 상당 부분 의문이 해결이 된 셈이다. 더욱이 서한범(徐漢範) 교수의 『세조실록』과 『악학궤범』에는 “총수”로 되어있다는 언급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왕직아악부교과철』 이전에 “총 유”의 훈독이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종묘제례악의 곡명과 가사가 한문과 한글로 병기된 『악장가사(樂章歌詞)』 세 이본과 『악장요람(樂章要覽)』 이본을 통해 모두 “총유”로 표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렇다면 『악장가사』와 『악장요람』의 유(綏)자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를 증명할 방법은 한자입문서인 『천자문』의 훈독에 관건이 달린 문제로서 필자는 20여종의 『천자문』을 검토해 보았다. 이 가운데 훈독은 ‘편안 수’와 ‘편안 유’ 두 가지로 나뉘는데, ‘편안 수’는 『동국정운』과 『규장전운·전운옥편』의 내용과 일치하고, ‘편안 유’는 1575년 『천자문』 이후, 1804년부터 1935년 판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일제강점기인 1935년 판에는 일본어와 함께 ‘편안 유’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그 『천자문』내용에는 평성(平聲)표를 비롯해 화음(華音: 중국 본토 음)과 동음(東音: 조선의 음)에 관한 설명이 명시되어 있어서 ‘수’자는 화음(중국 음)을 뜻하고 ‘편안 유’는 동음(東音) 즉, 조선의 음(音)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악장가 사』(樂章歌詞)와 『악장요람』(樂章要覽)의 “총유”(寵綏)는 조선의 훈독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명백하고, 『서경』(書經)의 총수사해(寵綏四海)는 중국식 표기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국과 조선은 같은 한자문화권이지만 글자에 따라서는 달리 사용하는 사례가 분명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ngmyo cheryeak 宗廟祭禮樂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has been designated as Kore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1, and was more recently proclaimed to be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Chongmyo cheryeak 宗廟祭禮樂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has been designated as Kore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1, and was more recently proclaimed to be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However, a recent dispute concerning the tide of the eighth piece in Chongmyo cheryeak has generated much confusion. Even though the recent publication of Strait Reading of Chongyu 寵綏,” written by Yang Myong-sok 梁明錫, indicates the problems, still more study of the issue is required. This is made difficult by a shortage of related materials and the need for knowledge of phonetic changes and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Choson 朝鮮 Dynasty and of linguistics. Thus, in this paper, I wi1l discuss the title of the eighth piece, Chongyu, based on several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Tongguk chongum, 『東國正韻』, published during the Sejong`s 世宗 reign, and Kyujang chonum『奎章全韻』 chonum okpyon 『全韻玉編』, from the time of Chongjo正祖. In his paper, Yang clarified that ``yu`` 綏 in Chongyu`` from Yiwangjik aakpu kyogwachol 李王職雅樂部 敎科綴 should be read as such, based on the Korean reading of a Chinese character in Chonjamun 『千字文』 (The Thousand Sino-Chinese Characters). Another opinion, which insists that (Chongyu in Sejo sillok 『世祖實錄』 and Akhak kwebom 『樂學軌範』 (Guide to the Study of Music) should read as Chongsu, cannot be corroborated because of insufficient evidence. Even-earlier publications of three versions of Akchang kasa 『樂章歌詞』and Akchang yoram 樂章要覽 all transcribed the title as Chongyu. Then, how should this reading of ``yu`` be understood? Twenty versions of Chonjamun read this specific Chinese character as either ``yu`` or ``su`` Tongguk chongun and Kyujiang chonum okpyon read it as ``su`` while versions of Chonjamun after 1575 and between 1804 and 1935 all read it as ``yu`` At the same time, Chonjamun also introduces huaum 華音 (huayin, Chines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with indication of tones, and tongum 東音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se indicate that ``su`` is the Chinese pronunciation while ``yu`` is the Korean pronunciation. Thus, Chongyu in Akchang kasa and Akchang yoram should in fact be read as Chongyu, while Chongyu sahae 寵綏四海 in sogyong 『書經』 is a Chinese pronunc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2004

      2 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권2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양명석, "총유(寵綏) 음독(音讀)에 관하여" 국립국악원 (20) : 2009

      4 "천자문. 필사본"

      5 "천자문. 필사歲在丁巳主"

      6 "천자문. 필사, 한지"

      7 "천자문. 필사, 한지"

      8 "천자문. 인쇄본, 갱지"

      9 "천자문. 목판본 乙丑松溪書"

      10 "천자문. 목판본"

      1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2004

      2 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권22" 웅진출판주식회사 1993

      3 양명석, "총유(寵綏) 음독(音讀)에 관하여" 국립국악원 (20) : 2009

      4 "천자문. 필사본"

      5 "천자문. 필사歲在丁巳主"

      6 "천자문. 필사, 한지"

      7 "천자문. 필사, 한지"

      8 "천자문. 인쇄본, 갱지"

      9 "천자문. 목판본 乙丑松溪書"

      10 "천자문. 목판본"

      11 "천자문. 목판본"

      12 필사 鄭載奉, "천자문"

      13 김명준, "악장가사 주해" 다운샘 2004

      14 "세종실록 권 제122"

      15 "세조실록 31"

      16 서한범, "서한범의 우리음악 이야기-궁궐의 음악이 들린다" 태림출판사 2007

      17 이기동, "서경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18 정인승, "동국정운해제(東國正韻解題)" 건국대학교출판부 17-, 1972

      19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1971

      20 "韓國漢字語辭典, 권2"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7

      21 "註解千字文. 목판본"

      22 "註解千字文. 목판본"

      23 "註解千字文 .목판본"

      24 "註解千字. 인쇄본"

      25 김학수, "現代中朝韓日通用字典" 연변대학 출판사 1993

      26 "東國正韻"

      27 "新釋漢日朝文, 註解千字"

      28 "懸吐千字文. 필사본"

      29 "奎章全韻"

      30 "大漢和辭典卷三. 諸橋轍次"

      31 "四體千字文. 인쇄본"

      32 "千字文. 인쇄본"

      33 "千字文. 白首文, 필사"

      34 "千字文. 周興嗣耀學古堂書. 목판본"

      35 "全韻玉編"

      36 "中韓大辭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6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