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 정부는 새로운 경제성장의 신 동력을 찾기위한 해법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창조경제의 6대 전략으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유럽에서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21047
서울 :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 창업컨설팅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서울
Effect of creativity and tenacity to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iv, 76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강병오
참고문헌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 정부는 새로운 경제성장의 신 동력을 찾기위한 해법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창조경제의 6대 전략으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유럽에서도 ...
현재 우리 정부는 새로운 경제성장의 신 동력을 찾기위한 해법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창조경제의 6대 전략으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유럽에서도 창조경제를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며 창조산업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
창조산업의 핵심적 요소는 창의성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혁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성은 단순히 독창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새로움 외에 적절성 혹은 유용성이 함께 해야 진가를 발휘한다. 6개의 하위요인에는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재구성력이 있는데, 경영과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는 요인은 재구성력이다.
하지만 창의성만 가지고 큰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 창의적 산출물을 내기 위해서는 끈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끈기는 특정 상황을 버티는 인내심과 어느 목표지점까지 도달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수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끈기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창의성과 끈기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창업교육도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지만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창의성이 높다고해서 창업교육의 니즈가 높아진다고 볼 수는 없지만 교육을 통해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상공인 소기업의 경우에는 끈기가 경영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 창조경제에서 창업교육을 실시한다면 창의성교육과 함께 끈기를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도 필요하다.
한국산업이 성장하고 혁신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살아나야한다. 특히, 창업초기 소기업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들을 잘 관리하고 지원해야 다양한 산업이 육성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