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에 있어 空間觀(공간관)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哲學(철학)的고찰 =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Historic Changes of View on Space in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5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술에 있어 중요한 공간(空 間)의 문제를 서양 회화사(繪畵史)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공간에 대한 인간의 2가지 이해태도를 철학적으로 규명해 본바, ...

      본 논문은 미술에 있어 중요한 공간(空 間)의 문제를 서양 회화사(繪畵史)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공간에 대한 인간의 2가지 이해태도를 철학적으로 규명해 본바, 첫째는 공간을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 실재 (實在)로 보고 그 안에 존재하는 사물들도 우리가 지각하는 그대로 있는 것이라고 생 각하는 상식적 일반적 공간관(空間觀)이다. 이른바 외재적(外在的) 공간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는 공간을 감성적(感性的)직 관(直觀)의 선천적(先天的a-priori)형식으로서 파악하고 경험적 사물을 인식하는데 있어서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으로 보는 사 고(思考)태도. 쉽게 말하면 공간을 나의 내 감(內感)의 순수형식(純粹形式)으로 이해하는 태도, 철학적이고 혁명적인 사고 태도이다. 칸트(I.Kant)가 ‘코페르니쿠스적 轉換(Kopernikanische Wendung)`` 이라고 命名한 관점이다. 이른바 내재적(內在的) 공간관(空 間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첫 번째의 관점에 의하면, 미술에 있어서 사물의 이미지를 묘사하는 것은 진실을 그린다고 하는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서양 회화사(繪畵史)의 오랜 기간을 지배했던 공간관 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공간을 나의 밖에 존재 하는 객관적 실재성으로 이해했던 시기에 도, 회화에 있어서 완전한 공간성의 표현에 도달했던 기간은 그리 길지가 않다. 역사적으로 볼 때, 상당히 긴 시간을 회화는 불완전한 공간 이해를 배경으로 하여 전개되었던 것이다. 고대 문화권(古代文化圈)과 근대 문화 권의 회화사(繪畵史)를 비교해 보면, 고대 문화권의 첫 시기인 이집트의 회화와 근대 문화권의 신화적(神話的) 여명기(黎明期)인 중세(中世)의 회화는 공간 표현을 항상 2차 원의 평면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 의 회화에서는 장면의 깊이감을 주는 원근 감이나 입체감등 공간성을 느끼게 하는 표 현 방법은 발견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고대 서양의 회화에서는 그리스의 헬레니즘(Hellenism) 시기에 들어서면 서 비로소 회화에 3차원의 공간 표현이 가 능해지고, 이러한 성과는 그대로 로마의 회 화로 이어진다. 그리고 근대 문화권에 있어 서는 르네상스 시대의 전성기 회화에서 비로소 3차원의 완전한 공간 표현에 성공하는 것이다. 사물을 실감나게 하는 탁월한 명암법(shading)과 놀라운 원근법(perspective)의 발견은 르네상스 회화의 사실주의 전 통을 이후에도 수세기 동안 이어지게 했다. 이러한 두 문화권의 회화의 흐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신권정치(神權政治) 체제하의 다소 폐쇄적 이고 神중심적인 사회에서는 불완전한 공간 이해를 배경으로 회화가 전개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가 보다 자유로워지고 인간 중심적인 시대로 이행 했을 때는, 두 문화 권의 회화 모두에서 비로소 3차원의 완전 한 공간 표현이 가능해진 것을 발견할 수 가 있다. 그런데 이제 현대회화에 들어서면 앞에 서 살펴본 변화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충격적이고 혁명적인 공간 관념의 전환을 경 험하게 된다. 공간(空間)은 이제 더 이상 나의 외부에 있는 3차원의 실재가 아니며, 또한 그렇기 에 그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이미지 도 객관적 진실일 수가 없다고 하는 자각 이다. 공간이란 나의 감성(感性)의 선천적(先天 的a-priori) 형식이며 모든 사물 인식의 전 제조건 이라고 하는 자각, 우리가 보고 있는 3차원의 세계상(世界像)이 한갓 현상(現 象)에 불과한 껍데기라고 하는 사실이 20세 기 미술의 혁명적 변화의 내면에 맥맥이 흐르고 있는 것이다. 입체주의(Cubism) 회화는 전통적 공간관 을 산산이 부수어 버림으로써 사실주의의 긴 터널에서 회화를 해방시킨 혁명의 첫 발걸음 이었다. 전통적 공간관(空間觀)이 거부되고 그에 따라 가시적 현상계(現象界)가 부동의 진 실 이라고 하는 믿음이 무너져 버린 이상, 화가들은 사물을 묘사하면서 더 이상 진실 을 드러낸다고 하는 신념을 표명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실주의적 전통의 틀에서 해방된 화가들은 유례없는 자유를 얻게 되었다. 20세기의 전위적 화가 들은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3차원의 실재 라고 하는 전통적 공간 관념을 거부함으로 써, 수많은 새로운 시도에 의한 조형의 모 험을 감행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입체주의 회화 이후에 나타난 20세기의 많은 회 화 경향들은 새로운 공간관을 기반으로 한 조형적 모험의 결과물 이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 to the issue of spac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with the main focus o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n understanding of human for the space are clarified in philosophical 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 to the issue of spac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with the main focus o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n understanding of human for the space are clarified in philosophical way. First is to consider the space as an objective existence existing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 objects existing within it also are the existen ces as we perceive them for the general view of space. This is so called external view of space. Second is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space as the a priori way of sensitive intuition and think of it as the critical prerequisite in perceiving the experimental object. In other words, it is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space as pure formation of inner sensitivity or philosophical and r evolutionary attitude. This is the point of view that Immanuel Kant named as ``Kop ernikanische Wendung``. It is so called the view of inner spatial concept. Under the first point of view on space, describing the images of object in art means to have the belief of drawing the tru th. It has been the view on space that ha d been controll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However, even in the period when th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 to the issue of spac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with the main focus o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n under standing of human for the space are clarified in philosophical way. First is to consider the space as an objective existence existing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 objects existing within it also are the existences as we perceive them for the general view of space. This is so called external view of space. Second is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space as the a priori way of sensitive intuition and think of it as the critical prerequisite in perceiving the experimental object. In other words, it is the attitude t o understand the space as pure formation of inner sensitivity or philosophical and r evolutionary attitude. This is the point of view that Immanuel Kant named as ``Kop ernikanische Wendung``. It is so called the view of inner spatial concept. Under the first point of view on space, describing the images of object in art means to have the belief of drawing the truth. It has been the view on space that ha d been controll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However, even in the period when the Under the flow of the paintings in two cultural spheres, the common point was that the deicratism system had somewhat more closed nature while the god-oriented society had the paintings done in incomplete spatial understanding as backgrou nd. However, when the society has become more liberal and human-oriented era, the paintings in both cultural spheres were possible for complete spatial expression of three-dimension. However, entering into the modern pain ting, it brings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into the shocking and revolutionary spatial concept that is non-parallel to the change described earlier. Space is no longer the existence of three-dimension outside of our presence, and because of that, the images of all objects exist within is recognized as not objective truth. There is a flow in our inner aspect of revolutionary change in 20th century arts with the facts that perception of space being in the form of a priori form of our sensibility and is the precondition of all object recognition, and the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world that we see is only a phenomenon. The cubism painting completely breaks down the traditional view of space as the first stem of revolution that liberated the painting from the long tunnel of realism. The traditional view of space is rejected, and accordingly, the faith that the visual phenomenal world is the unyielding true had collapsed that, painters no longer are able to say their belief that the truth is demonstrated in their description of reality. And, accordingly, painters who are li berated from the frame of tradition under the realism earned unprecedented freedom. The painters of the 20th century rejected the traditional spatial concept in three-dimensional existence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y were able to undertake the adve nturement the formativeness with numerous new attempts. Numerous painting tendency of the 20th century shown after the dimensional painting were the outcome of the formative adventure based on the new view on spa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