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호규, "광개토왕릉비 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對中認識)과 대외정책" 55 : 31-32,
2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50-157, 1966
3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 공격로 고찰" 38 : 2006
4 공석구, "고구려와 모용 ‘연’의 전쟁과 그 의미" 동북아역사재단 (15) : 57-101, 2007
5 "魏書"
6 지배선, "高句麗와 鮮卑의 전쟁 -慕容?와 慕容?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4 : 71-88, 2006
7 姜 仙, "高句麗와 北方民族의 관계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2003
8 李龍範, "韓滿交流史硏究" 同和出版公社 125-126, 1989
9 "資治通鑑"
10 신정훈, "百濟 枕流王·辰斯王代의 정국과 高句麗의 동향" 백산학회 90 (90): 159-183, 2011
1 여호규, "광개토왕릉비 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對中認識)과 대외정책" 55 : 31-32,
2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50-157, 1966
3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 공격로 고찰" 38 : 2006
4 공석구, "고구려와 모용 ‘연’의 전쟁과 그 의미" 동북아역사재단 (15) : 57-101, 2007
5 "魏書"
6 지배선, "高句麗와 鮮卑의 전쟁 -慕容?와 慕容?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4 : 71-88, 2006
7 姜 仙, "高句麗와 北方民族의 관계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2003
8 李龍範, "韓滿交流史硏究" 同和出版公社 125-126, 1989
9 "資治通鑑"
10 신정훈, "百濟 枕流王·辰斯王代의 정국과 高句麗의 동향" 백산학회 90 (90): 159-183, 2011
11 "漢書"
12 "晋書"
13 "廣開土王陵碑"
14 池培善, "中世東北亞史硏究" 一潮閣 231-356, 1986
15 池培善, "中世 中國史 硏究" 연세대학교 출판부 21-95, 1998
16 "三國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