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는 동 시대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집단이면서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이다. 그러나 세대간 비교연구는 극히 부족할 뿐 아니라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74796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41(25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는 동 시대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집단이면서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이다. 그러나 세대간 비교연구는 극히 부족할 뿐 아니라 주...
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는 동 시대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집단이면서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이다. 그러나 세대간 비교연구는 극히 부족할 뿐 아니라 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계경제구조, 자산 구성 및 투자 성향, 소득 및 소비생활 특성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베이비붐 세대, 2차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에코세대를 모두 포함하여 이들의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 베이비붐 세대 97명, 2차 베이비붐 세대 99명, 에코세대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일에 대한 내재적, 외재적 가치를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에코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여가에 대한 일반적 지식과 신념이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세 집단간 은퇴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준비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세대의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변수는 행동적 여가태도인 반면, 이 두 변인 외에도 2차 베이비붐 세대는 월평균소득과 결혼여부가, 에코세대는 성별과 인지적 여가태도가 은퇴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별로 일, 여가, 은퇴 등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ork values, leisure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1st babyboomers, 2nd babybmoomers, and echo generations. The data came form 97 first babyboomers, 99 second babyboomers, and 96 echo ge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ork values, leisure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1st babyboomers, 2nd babybmoomers, and echo generations. The data came form 97 first babyboomers, 99 second babyboomers, and 96 echo generations.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both work values,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increased steadily over the generations. (b) echo generations rated more positive cognitive leisure attitude than previous generations. (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generations. The first babyboomers were better prepared for retirement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d) behavioral attitude toward leisure has been shown to influence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all generations. However, other factors also influenced each generation separately, that is, income and marital status for the second babyboomers, and gender and cognitive leisure attitude for echo generation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among work, leisure, and retirement with consideration of generation as an distinguishing factor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언, "한국인의 직업의식 직업윤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2 최현자, "한국의 은퇴준비지수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0 (20): 189-214, 2009
3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2015
4 박장근,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 차이"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1333-1342, 2008
5 박주영, "통제위치성향과 은퇴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89-112, 2012
6 이지연, "청소년이 인식하는 일 가치의 변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63-181, 2006
7 이은희, "청소년 소비자의 여가태도와 여가제약이여가활동 선호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141-165, 2005
8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5 (5): 102-126, 2013
9 변진숙, "중년여성의 사회적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연구 : 베이비붐 세대, X세대, 에코세대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3402-3419, 2015
10 이남,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충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74-399, 2014
1 임언, "한국인의 직업의식 직업윤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2 최현자, "한국의 은퇴준비지수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0 (20): 189-214, 2009
3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2015
4 박장근,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 차이"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1333-1342, 2008
5 박주영, "통제위치성향과 은퇴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89-112, 2012
6 이지연, "청소년이 인식하는 일 가치의 변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163-181, 2006
7 이은희, "청소년 소비자의 여가태도와 여가제약이여가활동 선호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141-165, 2005
8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5 (5): 102-126, 2013
9 변진숙, "중년여성의 사회적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연구 : 베이비붐 세대, X세대, 에코세대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3402-3419, 2015
10 이남,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충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74-399, 2014
11 배문조,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107-1122, 2009
12 이현숙,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 한국FP학회 7 (7): 1-32, 2014
13 나혜림, "자기통제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FP학회 6 (6): 27-60, 2013
14 장형석,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1 : 81-117, 2000
15 조선일보, "은퇴후 月 226만원 필요한데… 준비해둔 돈은 110만원"
16 홍성희,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89-104, 2007
17 배문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89-102, 2004
18 정운영, "은퇴에 대한 인식, 은퇴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5 (25): 115-139, 2009
19 박주영, "은퇴 준비와 은퇴 후 재무걱정" 한국소비문화학회 17 (17): 183-204, 2014
20 손정민, "에코붐 세대의 심리사회적기능궤적과 예측요인 -사회적 스트레스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7-53, 2015
21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2012
22 신주영, "실버소비자의 여가태도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 (2): 2002
23 이은희,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1 (11): 197-227, 2015
24 이현정, "세대 간 가계 자산구성 및 주택자산의 투자 성향 분석 - 수도권 거주 베이비부머와 에코세대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6 (26): 109-118, 2015
25 최은영, "성공적 노화인식과 은퇴기대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1, 2차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FP학회 8 (8): 23-57, 2015
26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비엠엔북스 2003
27 최혜지, "사회·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중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415-434, 2005
28 손지연,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소득 및 소비생활 특성과 시사점" 65 : 27-44, 2015
29 김우성,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31-53, 2007
30 김시월, "베이비붐 세대의 재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자와 비취업자의 비교 분석 -" 한국FP학회 6 (6): 1-33, 2013
31 여관현,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 지역정책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31-55, 2014
32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재정현황과 주택자산이 은퇴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141-160, 2012
33 삼성경제연구소,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파급효과" 삼성경제연구소 2010
34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357-383, 2011
35 남순현,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4 (34): 183-203, 2014
36 곽인숙,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47-172, 2013
37 강은나,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5) : 159-182, 2012
38 정영금,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61-77, 2014
39 박태정,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29-57, 2013
40 통계청,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 사회적 특성분석 : 2010년 인구주택 총 조사를 중심으로" 통계청 2012
41 동아일보, "베이비부머 3명 중 1명이 가입 5년 미만, 국민연금 미아 우려"
42 이세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성향연구 : 현재의 X세대를 중심으로" 23 (23): 83-112, 2009
43 조민정, "대학생의 직장선택기준 유형별 일, 여가, 가족가치관 및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요구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4 이은하,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태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265-274, 2005
45 이남미, "대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과 여가태도, 생활만족도 그리고 자아실현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837-849, 2010
46 이혜정, "다수준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47 신경아, "뉴시니어로서의 베이비붐세대: 은퇴 후 삶에 대한 지향과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콘텐츠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5) : 113-144, 2013
48 윤옥종, "노인의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7 (17): 400-408, 2010
49 김나연, "남성노인의 은퇴 후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253-288, 2007
50 신수민,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57-83, 2013
51 원서진, "경상북도 거주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은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농촌사회학회 24 (24): 85-112, 2014
52 이혜정,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 및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13 (13): 1-31, 2013
53 Super, D. E, "Work values inventory" Houghton Mifflin 1970
54 Dose, J, "Work values : an integrative framework and illustrative application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70 : 219-241, 1997
55 Ciulla, J. B, "The working life : The promise and betrayal of modern work" Three Rivers Press 2000
56 Kosloski, K, "The role of job-related rewards in retirement planning" 56 (56): 160-169, 2000
57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s" John Wiley 1957
58 Dhar S, "The meaning of work : A study of future managers and technocrats" 18 : 20-, 2013
59 Miller, M. J,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work ethic :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inventory" 60 : 451-489, 2002
60 Mobily, K, "The idea of leisure repertoire" 10 (10): 208-223, 1991
61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62 Dorfman, L. T, "Retirement satisfaction in married and widowed rural women" 27 (27): 215-221, 1987
63 Rosenkoetter, M, "Retirement planning, use of tim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22 (22): 703-722, 2001
64 Ajzen, I, "Nature and operation of attitudes" 52 : 27-58, 2001
65 Hornstein, G,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ment" 21 (21): 291-315, 1985
66 Ragheb, M. G, "Measuring leisure attitude" 14 (14): 155-167, 1982
67 Porter, L. W, "Managerial attitudes and performance" Dorsey Press 1968
68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69 Cennamo, L,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values, outcomes and person-organisation values fit" 23 : 891-906, 2008
70 Twenge, J. M,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values : Leisure and extrinsic values increasing, social and intrinsic values decreasing" 36 (36): 1117-1142, 2010
71 Wollack, S, "Development of the survey of work values" 55 : 331-338, 1971
72 Peacock, W, "Developing leisure competence : A goal for late adulthood" 11 (11): 261-276, 1985
73 Brief, A, "Attitudes in and around organizations" Sage 1998
74 Ajzen, I, "Attitude-behavior relations :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84 (84): 888-918, 1977
75 Laslett, P, "A fresh map of life : The emergence of a third age" Weidenfeld and Nicolson 1989
76 차경욱,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49-164, 2008
어르신전담 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 직무역량이 조직충성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형 여가중독 척도의 표준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여가동기와 여가권태 유형별 여가활동 참여 비교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5 | 1.25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5 | 1.30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