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roduction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dialects : 지역방언 어린이 화자들의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 발화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20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acoustic propertie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regional dialect speakers. A production test is developed to analyze acoustic manifestations of four phonetic parameters (F1, F2, vowel duration, and vowel distance) in English speech of Kyunggi Korean (KK) and North Kyungsang Korean (NKK) dialect speakers. The 184 collected data for the production test consisting of high vowels /i, ɪ, u, ʊ/ in CVC structure are taken from 20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for each dialect group). The resul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al dialects, which indicates similar features of acoustic properties are uttered by both groups. However, despite this similarity between two groups,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with native speakers show that NKK uses less vowel space from the calculated acoustic distance (Euclidean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discrepancy in overall acoustic properties between young NKK and KK is insignificant but still distinguishing acoustic space of vowel would be harder for NKK.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 for effective articulation training has been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acoustic propertie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regional dialect speakers. A production test is developed to analyze acoustic manifestations of four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acoustic propertie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regional dialect speakers. A production test is developed to analyze acoustic manifestations of four phonetic parameters (F1, F2, vowel duration, and vowel distance) in English speech of Kyunggi Korean (KK) and North Kyungsang Korean (NKK) dialect speakers. The 184 collected data for the production test consisting of high vowels /i, ɪ, u, ʊ/ in CVC structure are taken from 20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for each dialect group). The resul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al dialects, which indicates similar features of acoustic properties are uttered by both groups. However, despite this similarity between two groups,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with native speakers show that NKK uses less vowel space from the calculated acoustic distance (Euclidean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discrepancy in overall acoustic properties between young NKK and KK is insignificant but still distinguishing acoustic space of vowel would be harder for NKK.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 for effective articulation training has been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두 지역방언 화자들이 발화한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의 음향적 속성에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발화 실험에서는 4개의 음향적 변수를 (F1, F2, 모음 지속시간, 모음간의 거리) 사용하여 경기도와 경상북도 방언 화자들의 음향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발화 실험의 수집된 184개의 데이터는 고모음인 /i, ɪ, u:, ʊ/를 CVC의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20명의 초등학생들의 (각 10명의 방언화자로 구성) 발화에서 취합하였다. 실험 결과 발화된 음향적 변수값에 대한 두 지역 방언 화자들 간의 유의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으로 두 그룹 간의 발화된 음향적 속성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원어민 화자의 발화와 비교한 분석을 보면 경상북도 화자가 측정된 음향적 거리(유클리드 거리)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좁은 모음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지역방언 화자들 간의 전반적인 음향적 속성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어민 화자와의 음성학적 비교를 통해서 경상북도 화자들에게 모음공간을 활용하여 소리를 구분하여 발화하는 것이 경기도 화자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조음 훈련에 대한 교육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두 지역방언 화자들이 발화한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의 음향적 속성에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발화 실험에서는 4개의 음향적 변수를 (F1, F2, 모음 지속시간, 모음...

      본 연구는 한국의 두 지역방언 화자들이 발화한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의 음향적 속성에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발화 실험에서는 4개의 음향적 변수를 (F1, F2, 모음 지속시간, 모음간의 거리) 사용하여 경기도와 경상북도 방언 화자들의 음향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발화 실험의 수집된 184개의 데이터는 고모음인 /i, ɪ, u:, ʊ/를 CVC의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20명의 초등학생들의 (각 10명의 방언화자로 구성) 발화에서 취합하였다. 실험 결과 발화된 음향적 변수값에 대한 두 지역 방언 화자들 간의 유의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으로 두 그룹 간의 발화된 음향적 속성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원어민 화자의 발화와 비교한 분석을 보면 경상북도 화자가 측정된 음향적 거리(유클리드 거리)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좁은 모음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지역방언 화자들 간의 전반적인 음향적 속성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어민 화자와의 음성학적 비교를 통해서 경상북도 화자들에게 모음공간을 활용하여 소리를 구분하여 발화하는 것이 경기도 화자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조음 훈련에 대한 교육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General Discussion &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General Discussion &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