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과서 문법 단원의 문제 인식 - ‘단어 형성’ 단원을 중심으로 - = A Discussion on Grammar Uni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0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grammar education is geared towards learners’ meaningful language experiences and also aims to enhance language abilities in the real-life. This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it is...

      Current grammar education is geared towards learners’ meaningful language experiences and also aims to enhance language abilities in the real-life. This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it is realiz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learning content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is process and attempts to analyze textbooks, that is, Vocabulary sections in Korean Language and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unit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concepts, and the confusion of levels. As a result, research findings confirmed several problems as follows.
      First, it is indicated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still concentrated on the internalization of grammar knowledge whil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enhance creative thinking of a learner. Second, for the construction of concepts, morphemes are not utilized for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such as words, simplex, and compounds(compounds and derivatives) whereas they are dealt with relatively great importance in texts. Lastly, due to the confusion of levels, different levels in ‘words, simplexes, compounds, and derivatives’ and ‘morpheme, root and affix’ are considered as equivalent and constructed as flat structur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 learning model is suggested to fully explain the concepts of compounds and simplexes without utilizing the concepts of a morpheme or root. Through enabling a learner to understand the word formatio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utilize and explore this process and furth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inquiry skil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진수, "형태소의 ‘자립성’과 ‘의존성’에 대한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269-306, 2014

      2 김은성, "학습자들은 왜 문법학습을 꺼리는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0) : 35-72, 2007

      3 남가영,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어형성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57 : 109-137, 2013

      4 조진수,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52 (52): 463-493, 2017

      5 이동석,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음운 단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161-184, 2015

      6 이진호, "음운 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35-59, 2012

      7 전영주, "서답형 문항 분석을 통한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오개념 양상 연구 -국어 음운 개념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2 (52): 149-180, 2017

      8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1-34, 2012

      9 이관희,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07-152, 2015

      10 오현아,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단어 단위에서 품사 분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219-254, 2016

      1 조진수, "형태소의 ‘자립성’과 ‘의존성’에 대한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269-306, 2014

      2 김은성, "학습자들은 왜 문법학습을 꺼리는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0) : 35-72, 2007

      3 남가영,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어형성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57 : 109-137, 2013

      4 조진수,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52 (52): 463-493, 2017

      5 이동석,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음운 단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161-184, 2015

      6 이진호, "음운 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35-59, 2012

      7 전영주, "서답형 문항 분석을 통한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오개념 양상 연구 -국어 음운 개념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2 (52): 149-180, 2017

      8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1-34, 2012

      9 이관희, "문법 교사의 오개념 유형화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2) : 107-152, 2015

      10 오현아, "문법 교과서의 언어 단위별 교육 내용 구성과 범위 검토 - 단어 단위에서 품사 분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219-254, 2016

      11 김호정,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11-238, 2009

      12 신지영, "국어 음운론 지식의 교과서 수용 실태와 문제점: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3 : 1-36, 2006

      13 신호철, "교육 내용으로서 문법 지식에 대한 재고"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5 : 75-94, 2014

      14 김부연, "교수학적 변환론 관점에서 본 국어사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독서와 문법 II≫ 국어 변천사 단원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213-244, 2014

      15 박종미, "고등학교 학습자의 문법 오개념 조사 연구 - 음운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59-8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6 1.79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