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17658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1-99(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3,731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결혼이민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 30대, 고졸 이하, 5∼10년 미만의 혼인 기간, 4~5명의 가구원 수, 13.5/20점의 한국어 실력을 보인다. 둘째, 결혼이민자들은 언어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낮고, 사회적 활동참여가 적으며, 생활만족도는 보통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가족과의 관계, 사회적 지위, 우울증 경험 정도, 자녀와의 관계였다. 즉, 결혼이민자 중 가족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증 경험이 적을수록, 자녀와의 관계자 좋을수록 이들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활동참여가 많을수록 이들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가족과의 관계라는 매개변수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 박정은, "초기노인여성의 사회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4
3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4 강승엽 ; 전희정,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자와 방문취업자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5 (15): 1-33, 2020
5 유정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원봉사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103-137, 2012
6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229-256, 2012
7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33-54, 2013
8 김민수 ; 이현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6) : 225-250, 2017
9 김경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5 (35): 185-208, 2012
10 이오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25-56, 2009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 박정은, "초기노인여성의 사회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4
3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4 강승엽 ; 전희정,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자와 방문취업자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5 (15): 1-33, 2020
5 유정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원봉사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103-137, 2012
6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229-256, 2012
7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33-54, 2013
8 김민수 ; 이현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6) : 225-250, 2017
9 김경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5 (35): 185-208, 2012
10 이오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25-56, 2009
11 이창식, "여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717-742, 2010
12 이영분 ; 최승희 ; 송인석,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복지욕구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63-191, 2010
13 이영희 ; 심영미 ; 강갑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철원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회 12 (12): 129-148, 2015
14 남부현 ; 김영인 ; 김옥남, "공공기관 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융합사회연구소 10 (10): 101-132, 2016
15 김한성 ; 이유신,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 특성과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7 (47): 177-209, 2013
16 이영균 ; 이민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관계"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53-76, 2016
17 김유균 ; 손인서 ; 김승섭,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1-452, 2015
18 이주재 ; 김순규, "결혼이민 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0) : 299-322, 2010
19 Piper, J., "Wife or Workers?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Pub., Inc 2003
20 Blanchflower, D. G., "Well-being over Time in Britain and the USA" 88 (88): 1359-1386, 2004
21 Pavot, W.,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the Emerging Construct of Life Satisfaction" 3 (3): 137-152, 2008
22 United Nations, "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port 2017" UN Department of Social and Economic Affairs 2017
23 Bjørnskov, C., "The Happy Few : Cross–country Evidence o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56 (56): 3-16, 2003
24 Rowe, J. W., "Successful Aging" Pantheon 1998
25 Palmore, E. B., "Social Patterns in Normal Aging : Findings from the Duke Longitudinal Study" Duke University Press 1981
26 Douglas, H., "Social Participation as an Indicator of Successful Aging :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 41 (41): 455-462, 2016
27 Phillips, D. L., "Social Participation and Happiness" 72 (72): 479-488, 1967
28 Hagan, J. M., "Social Networks, Gender, and Immigrant Incorporation: Resources and Constraints" 55-67, 1998
29 Fong, 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cial Contact of Immigrants in Canada" 60 (60): 617-636, 2016
30 Fernandez, R. M., "Networks, Race, and Hiring" 71 (71): 42-71, 2006
31 Vohra, N., "Life Satisfaction of Indian Immigrants in Canada" 12 (12): 109-138, 2000
32 Angelini, V.,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s : Does Cultural Assimilation Matter?" 28 (28): 817-844, 2015
33 Piper, N., "International Marriage in Japan : Race and Gender Perspective" 4 (4): 321-338, 1997
34 Lee, Hye-Kyung,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State in South Korea : Focusing on Governmental Policy" 12 (12): 107-123, 2008
35 Safi, M.,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in Europe : Between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26 (26): 159-176, 2010
36 Helliwell, J. F.,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20 (20): 331-360, 2003
37 Gold, S. J., "Gender, Class, and Network : Social Structure and Migration Patterns among Transnational Israelis" 1 (1): 57-78, 2001
38 Lee, Hye-Kyung, "Family Migration Issues in North East Asia Reg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0
39 Lai, D. W.,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nese Older Immigrants’ Social Engagement" 67 (67): S571-S576, 2019
40 Lee, Hye-Kyung,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Marriage : Migrants in South Korea" 22 (22): 199-230, 2013
41 Amit, K.,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s from Western Countries and from the FSU in Israel" 96 (96): 515-534, 2010
42 Clark, A., "Deliver us from Evil: Religion as Insurance" European Center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Researchs 2005
43 Bjørnskov, C., "Cross-country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 Exploring Different Determinants across Groups in Society" 30 (30): 119-173, 2008
44 Moons, P., "Critique on the Conceptualisation of Quality of Life : a Review and Evaluation of Different Conceptual Approaches" 43 (43): 891-901, 2006
45 Mitra, S. K., "Carless in California : Green Choice or Misery?" 65 : 1-12, 2017
46 McCaffery, E. J., "Behavioral Public Finance" Russell Sage Foundation 2006
47 Shin, D. C.,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5 (5): 475-492, 1978
48 Veenhoven, R.,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Europe" Eotvos University Press 1996
49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통해 본 ‘사회적 가치’ 대응 활동 분석: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를 중심으로
공공조직 내에서의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비영리민간단체 종사자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조직신뢰와 사회문제의 영향을 중심으로
통제의 역설: 공공조직의 통제는 조직혁신성과에 항상 부정적일까? 제도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2-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31 | 1.454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