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레미야 17:5-8과 시편 1:1-3의 관련성에 관한 언어학적 및 수사학적 연구 = A Linguistic and Rhetorical Approa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eremiah 17:5-8 and Psalm 1:1-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2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ok of Jeremiah is free to use poetry and prose style freely, regardless of form in style, and, if necessary, the style of wisdom psalm.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various poetic images and metaphors from Psalm 1:1-3 are found in Jeremi...

      The book of Jeremiah is free to use poetry and prose style freely, regardless of form in style, and, if necessary, the style of wisdom psalm.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various poetic images and metaphors from Psalm 1:1-3 are found in Jeremiah 17:5-8. In this study, I want to see how the style of wisdom psalm was used and how it was developed one step further in Jeremianic wisdom poetry.
      Ultimately, the message of Psalm 1 states that the wicked move hurriedly and decide entirely according to the human thought, but the righteous are those who move to God's wisdom, memorizing the Torah of God. In the book of Jeremiah, however, the speaker's attention shifts from ‘the life of the happy’ mentioned in Psalm 1 to the person who will receive God's blessing. Jeremiah 17:5-6 speaks of the cursed, and then verses 7-8 speak of the life of the blessed. in this respect, the cohesive structure of Jeremiah 17:5-8 is well organized rather then the text of Psalm 1. From the point of view of meaning, Psalm 1:1-3 is the focu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In Jeremiah chapter 17,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depends on what they believe and trus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the action of the mind. So, if the description of the righteous in Psalm 1:3 focuses on describing the condition of the tree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Jeremiah diagnoses and judges the action of the mind. In Jeremiah 17, Torah is no longer acting as a criter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The focus was only on trusting Yahweh or not.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that why the linguistic devices and the metaphors of Psalm 1:1-3 were used with the words of prophetic oracles in Jeremiah 17:5-8. The purpose is to emphasize the meaning of trusting Yahweh in the remnant of Judah and the children of the next 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레미야서는 문체에 있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시와 산문체를 자유자재로 쓰고 있으며 지혜시의 양식도 발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혜(토라)시라 알려져 있는 시편 1편에 나오는 ...

      예레미야서는 문체에 있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시와 산문체를 자유자재로 쓰고 있으며 지혜시의 양식도 발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혜(토라)시라 알려져 있는 시편 1편에 나오는 다양한 시적 이미지들과 은유적 장치들(metaphors)이 예레미야 17:5-8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신탁을 선포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는 예레미야서에 이러한 지혜시의 양식이 어떻게 쓰였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시편 1편의 메시지는 의인과 악인의 대비를 통하여, 악인들은 분주하게 움직이며, 전적으로 인간의 지혜를 믿고 판단하지만, 의인은 하나님의 토라를 읊조리며, 하나님의 지혜로 움직이는 자들이라고 진술한다. 예레미야서에서는 시편 1편에서 말하던 ‘행복한 자’의 삶으로부터 화자의 관심이 하나님의 복(בּרךְ,바라흐)을 받을 자에게로 전환해간다. 예레미야 17:5-6은 먼저 저주받을 자에 대해 진술하고 있으며, 7-8절은 복을 받을 자의 삶에 대해서 말한다. 따라서 담화 구조에 있어서 예레미야서 17장이 시편 1편보다 어휘결속이 더 잘 되어 있는 문장이라 말할 수 있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볼 때, 시편 1:1-3은 악인과 의인의 대비를 통해 의인은 특별히 토라와 연결시킨 것이 초점이었다면, 예레미야 17장에서 저주 받을 자와 복 받을 자의 구분은 무엇을 믿고 신뢰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즉 마음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편과 비교했을 때, 발전해나간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편 1편에서는 인간이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죄인들의 삶의 방식을 규정했다면, 의인은 시냇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나무에 비유한다. 그래서 시편 1:3에서 의인에 대한 묘사는 관찰자의 시각에서 나무의 상태를 묘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예레미야서는 마음의 작용에 대해서 진단하고 판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레미야 17:5은 저주받을 자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는 전적으로 인간을 신뢰하는 자이다. 한편 예레미야 17:7에서는 복 받을 자를 여호와를 신뢰하는 자로 묘사한다. 토라는 더 이상 저주받을 자와 복 받을 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담화의 초점은 여호와를 신뢰하느냐에 달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여호와의 신탁을 주로 기록하고 있는 예레미야서 본문 속에 예레미야 17장과 같이 지혜서의 장르와 문예적 장치들이 신탁의 말씀들과 함께 쓰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성전 파괴와 예루살렘의 멸망이 임박한 시점에 이르러 남은 유다 백성들과 다음 시대를 위해 심판을 통한 회복의 메시지를 남기기 위한 목적에서다. 무엇이 이러한 파괴와 멸망을 지초하게 했는가를 미래의 세대가 분석하고 되새기도록 하기 위해서 지혜서의 장르를 쓴 것이며, 특별히 예레미야 17장은 시편 1편의 시적 담화의 구성과 이미지들을 겹쳐 사용함으로써 본문의 이해를 돕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정열, "토라로서의 시편" 대서 2017

      2 Longman, Tremper, "예레미야/예레미야애가" 성서유니온 2017

      3 김정우, "시편주석 I" 총신대학교출판부 2005

      4 이성혜, "시편의 통일성과 시편암송의 상관성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76 : 35-65, 2015

      5 김성수, "시편의 복음과 상황: 시편 1, 2편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9 : 1-36, 2011

      6 우상혁,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17 : 41-73, 2011

      7 장성길,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4 : 1-34, 2010

      8 Gunkel, André, "“Walk”, “Stand”, and “Sit” in Psalm I 1-2" 32 : 327-, 1982

      9 Brown, Michael L.,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Zondervan 2010

      10 Kaiser, Walter C. JR., "Walking The Ancient Paths: A Commentary on Jeremiah" Lexham Press 2019

      1 방정열, "토라로서의 시편" 대서 2017

      2 Longman, Tremper, "예레미야/예레미야애가" 성서유니온 2017

      3 김정우, "시편주석 I" 총신대학교출판부 2005

      4 이성혜, "시편의 통일성과 시편암송의 상관성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76 : 35-65, 2015

      5 김성수, "시편의 복음과 상황: 시편 1, 2편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9 : 1-36, 2011

      6 우상혁,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17 : 41-73, 2011

      7 장성길,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4 : 1-34, 2010

      8 Gunkel, André, "“Walk”, “Stand”, and “Sit” in Psalm I 1-2" 32 : 327-, 1982

      9 Brown, Michael L.,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Zondervan 2010

      10 Kaiser, Walter C. JR., "Walking The Ancient Paths: A Commentary on Jeremiah" Lexham Press 2019

      11 Wright Christopher J. H., "The Message of Jeremiah" IVP 2014

      12 Koehler, Ludwig,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vol.1" Brill 2001

      13 유윤종, "The Dynamics when Prophecy Encounters Wisdom: A case of Jeremiah 17:5-11" 한국기독교학회 (78) : 79-92, 2011

      14 Berlin, Adele, "The Dynamics of Biblical Parallelism" Eerdmans 2008

      15 Berlin, Adele, "The Dynamics Of Biblical Parallelism" Eerdmans 2008

      16 Searle, John, "The Classification of Illocutionary acts" 8 : 137-151, 1979

      17 deClaissé-Walford, Nancy, "The Book of Psalms. NICOT" Eerdmans 2014

      18 Searle, John,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19 Brown, William P., "Seeing the Psalms: A Theology of Metaphor"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

      20 Allen, Leslie C., "Riddles and Revelations" T&Tclark 2018

      21 Brueggemann, W., "Psalms. New Cambridge Bible Comment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2 Goldingay, John, "Psalms 1-41 vol.1" Baker Academic 2006

      23 Thomas, Marlin E., "Psalms 1 and 112 as a Paradigm for the Composition of Wisdom Motifs in the Psalms" 29 (29): 15-24, 1986

      24 Marlin E. Thomas, "Psalms 1 and 112 as a Paradigm for the Composition of Wisdom Motifs in the Psalms" 29 (29): 15-24, 1986

      25 Collins, C. J., "Psalm 1: Structure and Rhetoric" 31 (31): 37-48, 2005

      26 Jones, Scott C., "Psalm 1 and the Hermeneutics of Torah" 974 : 537-551, 2016

      27 Tuell, Steven, "Psalm 1" 63 (63): 278-280, 2009

      28 Grogan, Geoffrey W., "Psalm" Eerdmans 2008

      29 Biddle, Mark E., "Polyphony and Symphony in Prophetic Literature Reading Jeremiah 7-20" Mercer University Press 1996

      30 Judge, Thomas A., "Other Gods and Id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ship of Other Gods and the Worship of Idols within the Old Testament" T&TClark 2019

      31 VanGemeren, Willem,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Zondervan 2002

      32 Carroll, R. P., "Jeremiah. OTL" SCM Press 1986

      33 Mckane, William, "Jeremiah. ICC" T&T Clark 1986

      34 Holladay, William L., "Jeremiah I" Fortress Press 1986

      35 Lundbom, Jack R., "Jeremiah 1-20: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nchor Bible" Doubleday 1999

      36 Stulman, Louis, "Jeremiah" Abingdon 2005

      37 Fretheim, T. E., "Jeremiah" Smyth & Helwys Publishing 2002

      38 Mark D. Futato, "Cornerstone Biblical Commentary" Tyndale House Publishers 2009

      39 Futato, Mark D., "Cornerstone Biblical Commentary" Tyndale House Publishers 2009

      40 Vanparys, J., "Categories and Complements of Illocutionary Verbs in a Cognitive Perspective" Eupoäi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Peter Lang 1996

      41 Dotan, Aron, "Biblical Hebraica Leningradensia" Hendrickson Publisher 2001

      42 McCann, J. Clinton, "A Theological Introduction to the Book of Psalms: the Psalms as Torah" Abingdon 1993

      43 Gillingham, Susan, "A Journey of Two Psal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4 Ross, Allen P., "A Commentary on the Psalms Volume 1 (1-41)" Kregel 2011

      45 Brueggemann, W., "A Commentary on Jeremiah: Exile & Homecoming" Eerdmans 1998

      46 박동현, "<아쉬레 하이쉬> 히브리어 시편 읽기"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7-02-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Old Testament Department of the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 Korea evangelical old testament socie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