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대국으로부터의 권력공백(Power Vacuum)과 권력투사(Power Projection)에 의한 약소국간 전쟁 발발의 시기적 조건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권력 형태에 따른 인도-중국 전쟁, 2-3차인도-파키스탄 전쟁의 발발, 억제, 재발, 종결 = The Timing Conditions of the outbreak of war between Small States by the Power Vacuum and the Power Projection from Super Pow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8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three critical minds. first, why have not we been interested in the external conditions for small nations to initiate the war, focusing on an internal dispute between small nations? Second, if the causes of the war between small nations are the...

      I have three critical minds. first, why have not we been interested in the external conditions for small nations to initiate the war, focusing on an internal dispute between small nations? Second, if the causes of the war between small nations are the internal problems like a territorial dispute, a religious dispute and a race problem, why have not some small nations that had have the internal disputes like a territorial dispute, a religious dispute and a race problem waged the war or why have some small nations? Third, after the small nations had gone through the war, why did they bring the war to an end despite not settling the internal disputes. These critical minds are corrected in the research questions. (1) When do small nations determine to initiate the war and give up the idea of waging the war? (2) What are the external conditions the policy makers think to initiate and bring the war to a conclusion? To get an answer about like research questions, I have two hypotheses.


      Hypothesis: (1) If the small nations undergo the power vacuum which is the situation that the great nations do not project the power into the area in small nations, the possibility that the small nations initiate the war will increase.
      Hypothesis: (2) If the great nations project the power into small nations, the possibility that the small nations initiate the war will decrease.
      To test the hypotheses as above, I selected the cases such as the India-China War, the India-Pakistan War of 1965, and the India-Pakistan War of 1971. Through the testing process, I look forward to acquiring the answer about the timing conditions of the war in the small n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세 가지 문제의식을 갖는다. 첫째, 왜 학문적 경향은 강대국과는 달리 약소국 간의 전쟁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내재적 갈등에 초점을 맞춘 단일 사례연구에만 치중할 뿐 약소국이 ...

      본 논문은 세 가지 문제의식을 갖는다. 첫째, 왜 학문적 경향은 강대국과는 달리 약소국 간의 전쟁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내재적 갈등에 초점을 맞춘 단일 사례연구에만 치중할 뿐 약소국이 전쟁을 개시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는가? 둘째, 약소국들의 전쟁의 원인이 내재적 갈등요인이라면 왜 어떠한 약소국 들 간에는 영토분쟁, 종교분쟁, 인종분쟁, 이념분쟁 등 미시적 갈등요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발생하지 않는가? 셋째, 약소국 간에 전쟁이 발생한 후 내재적인 갈등요인이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지역은 전쟁이 종결되고 전쟁이 억제되지만, 어떤 지역은 전쟁이 종결되고 또다시 전쟁이 발발하는가? 이러한 세 가지 문제의식은 “약소국들은 전쟁의 촉발요인이 충족된 상태에서 전쟁의 개시를 언제 결심하고 언제 단념하는가? 즉 약소국의 정책결정자는 어떤 시기적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전쟁을 개시하고 단념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답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이 설정된다.
      가설1. 내재적 갈등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약소국들에게 강대국의 권력공백이 생기면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가설2. 약소국들이 내재적 갈등요인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강대국의 권력투사가 이루어지면 전쟁이 억제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위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1962년 발생한 인도와 중국의 전쟁, 2-3차인도-파키스탄 전쟁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 과정을 통해서 약소국 전쟁의 시기적 조건에 대한 해답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규섭, "중소분쟁에 대한 북한의 대응: 1960년대를 중심으로" 4 (4): 1998

      2 고경희, "인도의 외교관계와 국제관계" 인간사랑 2000

      3 라윤,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 연구: 미국의 개입과 영향력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1999

      4 조길태, "인도와 파키스탄" 민음사 2009

      5 오세정, "인도, 중국, 미국의 로맨틱 삼각관계: 9.11 이후 인도와 중국의 외교적 갈등과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도학회 12 (12): 101-135, 2007

      6 장준갑, "닉슨의 외교정책 읽기: 탈냉전적 국제주의" 한국미국사학회 28 : 179-205, 2008

      7 박인숙, "‘전환’과 ‘연속’: 닉슨(Richard Nixon)행정부 ‘데땅트’정책의 성격" 한국아메리카학회 38 (38): 117-154, 2006

      8 Hendel, Micheal, "Wee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rank cass and company 1981

      9 Porter, Gareth, "Vietnam: A History in Documents" Meridian 1981

      10 Kaul, Lt, "The Untold Story Bobay" Allied Publishers 1967

      1 정규섭, "중소분쟁에 대한 북한의 대응: 1960년대를 중심으로" 4 (4): 1998

      2 고경희, "인도의 외교관계와 국제관계" 인간사랑 2000

      3 라윤,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 연구: 미국의 개입과 영향력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1999

      4 조길태, "인도와 파키스탄" 민음사 2009

      5 오세정, "인도, 중국, 미국의 로맨틱 삼각관계: 9.11 이후 인도와 중국의 외교적 갈등과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도학회 12 (12): 101-135, 2007

      6 장준갑, "닉슨의 외교정책 읽기: 탈냉전적 국제주의" 한국미국사학회 28 : 179-205, 2008

      7 박인숙, "‘전환’과 ‘연속’: 닉슨(Richard Nixon)행정부 ‘데땅트’정책의 성격" 한국아메리카학회 38 (38): 117-154, 2006

      8 Hendel, Micheal, "Wee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rank cass and company 1981

      9 Porter, Gareth, "Vietnam: A History in Documents" Meridian 1981

      10 Kaul, Lt, "The Untold Story Bobay" Allied Publishers 1967

      11 Brands, H. W., "The Devil We Know : Americans and the Cold War" 1993

      12 Whiting, Allen S., "The Chinese Calculus of Deterence : India and Indochina"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75

      13 Gwyer, M., "Speeches and Documents on the Indian Constitution 1921-1947. Vol.Ⅱ" Oxford University Press 1947

      14 Drew, Elizabeth, "Richard M. Nixon" Times Books 2007

      15 Garver, John W., "Protracted Contest: Sino-Indian Rivalry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1

      16 Hoff, Joan, "Nixon Reconsidered" Basic Books 1994

      17 Mansingh, Surjit, "India's Search for Power : India Gandhi's Foreign Policy 1966-1982" Sage Publications 1984

      18 Feldman, H, "From Crisis to Crisis: Pakistan 1962-1969"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19 Francine R, "Frankel and Harding, Harry, The India-China Relationship: What the United States Need to Know"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

      20 Ganguly, Sumit, "Conflict Unending: India-Pakistan Ten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7 0.93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