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프랑스 리옹(Lyon) 사례를 중심으로 = Etude d’Intertextualité de la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 sur le cas de Lyon, F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4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tte étude porte sur le projet "Mural Village" similaire à de nombreux autres projets du même genre faits par le passé en Corée, qui se développe rapidement, et le rôle de la communication avec les résidents locaux, ainsi que le problème de ne pas être d’une grande aide pour revitaliser l’économie locale en attirant des spectateurs. Nous avons donc tenté de comprendre le problème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en Corée comme étant un problème de manque d’intertextualité des peintures murales urbaines, plutôt que de le considérer uniquement comme un problème d’insuffisance politique en matière de planification et de gestion des peintures murales. Comment les fresques urbaines peuvent-elles avoir une intertextualité ? Notre étude a essayé de suggérer une direction pour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 “Mural Village” en Corée, en analysant l’intertextualité du "projet de peinture murale" à Lyon, en France, en tenant compte de l’identité spatiale et de l’interaction constante des résidents locaux. Ainsi, en matière de marque régionale, nous avons analysé autour de quatre interactions concernant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s fresques murales à Lyon tenant compte de l’intertextualité : ① l’interaction avec des représentants de la région, ② l’interaction avec des industries représentatives de la région, ③ l’interaction avec les habitants du quartier et ④ l’interaction avec le milieu naturel. Cette recherche a confirmé qu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offre la possibilité de construire une identité arbitraire au-delà de l’identité culturelle collective définie comme l’espace premier par les limites naturellement données aux résidents locaux et aux spectateurs. Nous avons enfin trouvé que l’intertextualité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est le résultat d’une réflexion sur l’interaction qui s’est développée sans frontières entre les signes textuels, visuels, tactiles et olfactifs à travers l’histoire, la culture et la vie de la région.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dans régions coréennes doit également être conçue dans la dimension d’une stratégie de marque régionale à long terme considérant l’interactivité des textes basée sur une analyse approfondie de l’identité de chaque région.
      번역하기

      Cette étude porte sur le projet "Mural Village" similaire à de nombreux autres projets du même genre faits par le passé en Corée, qui se développe rapidement, et le rôle de la communication avec les résidents locaux, ainsi que le problème de ...

      Cette étude porte sur le projet "Mural Village" similaire à de nombreux autres projets du même genre faits par le passé en Corée, qui se développe rapidement, et le rôle de la communication avec les résidents locaux, ainsi que le problème de ne pas être d’une grande aide pour revitaliser l’économie locale en attirant des spectateurs. Nous avons donc tenté de comprendre le problème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en Corée comme étant un problème de manque d’intertextualité des peintures murales urbaines, plutôt que de le considérer uniquement comme un problème d’insuffisance politique en matière de planification et de gestion des peintures murales. Comment les fresques urbaines peuvent-elles avoir une intertextualité ? Notre étude a essayé de suggérer une direction pour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 “Mural Village” en Corée, en analysant l’intertextualité du "projet de peinture murale" à Lyon, en France, en tenant compte de l’identité spatiale et de l’interaction constante des résidents locaux. Ainsi, en matière de marque régionale, nous avons analysé autour de quatre interactions concernant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des fresques murales à Lyon tenant compte de l’intertextualité : ① l’interaction avec des représentants de la région, ② l’interaction avec des industries représentatives de la région, ③ l’interaction avec les habitants du quartier et ④ l’interaction avec le milieu naturel. Cette recherche a confirmé qu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offre la possibilité de construire une identité arbitraire au-delà de l’identité culturelle collective définie comme l’espace premier par les limites naturellement données aux résidents locaux et aux spectateurs. Nous avons enfin trouvé que l’intertextualité de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urbaine de Lyon est le résultat d’une réflexion sur l’interaction qui s’est développée sans frontières entre les signes textuels, visuels, tactiles et olfactifs à travers l’histoire, la culture et la vie de la région. La stratégie de communication murale dans régions coréennes doit également être conçue dans la dimension d’une stratégie de marque régionale à long terme considérant l’interactivité des textes basée sur une analyse approfondie de l’identité de chaque ré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후죽순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지역의 ‘벽화마을’ 프로젝트의 유사한 진행 현황과 지역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물론, 관람자들의 흡인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문제를 벽화의 기획 및 관리 차원의 정책 미비 문제만으로 간주하기보다는 도시벽화의 상호텍스트성의 부족 문제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도시벽화는 어떻게 상호텍스트성을 가질 수 있을까? 본 연구는 공간의 정체성과 지역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도시벽화를 브랜드화시켜온 프랑스 리옹(Lyon)시의 ‘벽화프로젝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여 한국의 ‘벽화마을’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브랜딩 차원에서 ① 지역의 대표적 인물과의 상호작용, ② 지역의 대표적 산업과의 상호작용, ③ 지역민과의 상호작용, ④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 등에 기반한 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한 리옹시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지역민 및 관람자에게 자연적으로 주어진 경계에 의한 일차적 공간으로 규정된 집단적 정체성을 벗어나 자의적 도시 정체성 구축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상호텍스트성이 지역의 역사, 문화, 삶 전반에서 텍스트적, 시각적, 촉각적, 더 나아가 후각적 기호들 사이에 경계 없이 전개되는 거시 텍스트와 미시 텍스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의 결과임을 발견하였다.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 역시 각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들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지역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후죽순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지역의 ‘벽화마을’ 프로젝트의 유사한 진행 현황과 지역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물론, 관람자들의 흡인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

      본 연구는 우후죽순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지역의 ‘벽화마을’ 프로젝트의 유사한 진행 현황과 지역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물론, 관람자들의 흡인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문제를 벽화의 기획 및 관리 차원의 정책 미비 문제만으로 간주하기보다는 도시벽화의 상호텍스트성의 부족 문제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도시벽화는 어떻게 상호텍스트성을 가질 수 있을까? 본 연구는 공간의 정체성과 지역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도시벽화를 브랜드화시켜온 프랑스 리옹(Lyon)시의 ‘벽화프로젝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여 한국의 ‘벽화마을’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브랜딩 차원에서 ① 지역의 대표적 인물과의 상호작용, ② 지역의 대표적 산업과의 상호작용, ③ 지역민과의 상호작용, ④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 등에 기반한 상호텍스트성을 고려한 리옹시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지역민 및 관람자에게 자연적으로 주어진 경계에 의한 일차적 공간으로 규정된 집단적 정체성을 벗어나 자의적 도시 정체성 구축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리옹시의 도시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상호텍스트성이 지역의 역사, 문화, 삶 전반에서 텍스트적, 시각적, 촉각적, 더 나아가 후각적 기호들 사이에 경계 없이 전개되는 거시 텍스트와 미시 텍스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의 결과임을 발견하였다. 한국 지역의 벽화커뮤니케이션 전략 역시 각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기반한 텍스트들의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지역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매일, "화순, 주민주도 마을공동체 사업 활발"

      2 음영철, "한국 ‘벽화마을’의 문제점과 디지털 콘텐츠 활용 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39-48, 2015

      3 주수원, "프랑스 도시 벽화 창작 협동조합 (Cité Création)" 한국협동조합연구소 (61) : 60-67, 2013

      4 박순우, "프랑스 공공 미술 둘러보기" 한국프랑스문화학회 47-52, 2004

      5 선미라, "표현문화로 풀어보는 벽화이미지의 원형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 : 83-132, 2006

      6 경남도민일보, "창원 내서읍 원계마을 벽화마을로 재탄생"

      7 "온리리옹 홈페이지"

      8 "온리리옹 벽화 공식 어플리케이션"

      9 시사매거진, "영암군, 안풍마을 ‘고향을 담은 사계절 테마’ 벽화 눈길"

      10 데일리안, "영남대 학생들 ‘벽화그리기 봉사활동’.. 동네분위기확바꿔"

      1 서울매일, "화순, 주민주도 마을공동체 사업 활발"

      2 음영철, "한국 ‘벽화마을’의 문제점과 디지털 콘텐츠 활용 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39-48, 2015

      3 주수원, "프랑스 도시 벽화 창작 협동조합 (Cité Création)" 한국협동조합연구소 (61) : 60-67, 2013

      4 박순우, "프랑스 공공 미술 둘러보기" 한국프랑스문화학회 47-52, 2004

      5 선미라, "표현문화로 풀어보는 벽화이미지의 원형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 : 83-132, 2006

      6 경남도민일보, "창원 내서읍 원계마을 벽화마을로 재탄생"

      7 "온리리옹 홈페이지"

      8 "온리리옹 벽화 공식 어플리케이션"

      9 시사매거진, "영암군, 안풍마을 ‘고향을 담은 사계절 테마’ 벽화 눈길"

      10 데일리안, "영남대 학생들 ‘벽화그리기 봉사활동’.. 동네분위기확바꿔"

      11 스마트에프엔, "영광군-건보 영광함평지사, ‘마을벽화 제작’ 업무협약 체결"

      12 경인신문, "여성 친화 안심마을 벽화 확대 조성"

      13 "아마존 프랑스"

      14 대한뉴스, "신천지 자원봉사단 인천지역 연합회, 지역 곳곳에서 벽화봉사 ‘눈길’"

      15 김성훈, "스마트월 기반 공간 영상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4 : 61-72, 2021

      16 줄리아 크리스테바, "세미오티케 : 기호분석론" 동문선 2005

      17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박이정 2005

      18 조준희, "벽화의 생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 고대와 중세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9 (9): 81-92, 2003

      19 주간함양, "백전면 서백마을 화가 오소영씨, 집들이 대신 마을벽화로 신고식합니다"

      20 중앙일보, "박원순 도시재생 롤모델? ‘월세전단’ 어지러운 이화벽화마을"

      21 경남데일리, "뮤지엄 남해 작가들, 창선면 연곡마을 벽화작업한창"

      22 최문희 ; 최문용, "문화관광 자원으로서 벽화에 대한 탐색적 방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437-446, 2009

      23 "리옹 문화유산 홈페이지"

      24 "리옹 공식 블로그"

      25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1995

      26 정민영, "디에고 리베라 벽화로 멕시코의 화합을 다지다" 대한토목학회 65 (65): 86-91, 2017

      27 고성종, "도시환경과 벽화디자인" 미진사 2003

      28 김성도, "도시인간학" 안그라픽스 2014

      29 수원화성신문, "대덕 상모산 마을, 아름다운 벽화거리 조성"

      30 매일일보, "당진시, 치매안심마을 벽화그림 조성"

      31 박문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한지역 공동체 이미지 개선을 위한 연구-대전 대동마을과 프랑스 리옹(Lyon) 벽화 마을 사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3) : 43-62, 2013

      32 이민아 ; 이정교, "공간 디자인에서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245-254, 2013

      33 한겨레, "“마을에 생기”.. ‘담이랑 가족봉사단’, 영동 담벼락 벽화로 물들이다"

      34 배정희, "‘텍스트’에서 ‘상호작용과 교섭의 공간’으로 - 문화개념의 변화와 그 함의" 독일어문화권연구소 (17) : 325-350, 2008

      35 경향신문, "‘구름이 머무는 담장’...종로에 조형벽화, 예술이 팔랑거린다"

      36 한겨레, "‘공수동에 벽화 꽃이 피었습니다’.. 고향마을 벽화로 물들인 자매"

      37 한국대학신문, "[찰칵! 현장] 벽화그리기, 농촌 일손돕기... 서원대, 다채로운 봉사활동 펼쳐"

      38 대구신문, "[영천 하송리 벽화마을] 맑은 도랑, 밝은 벽화 반기는 보현산 댐 상류 첫 동네"

      39 "Wikimedia"

      40 Lefebvre (Henri),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41 Le Progrès, "Mur’Art, l’aventure éphémère"

      42 Gambie (Gérald), "Murs peints de Lyon d’hier et d’aujourd’hui" Châtillon-sur-Chalaronne: La Taillanderie 2002

      43 Giradot (Julien), "Les Murs Peints des Premier et Quatrième Arrondissements de Lyon" Université Lumière Lyon2 2013

      44 "Le Progrès"

      45 Cité de la Création, "La fresque des Lyonnais, un patrimoine mis en scène" Lyonnaises d’art et d’histoire 2006

      46 Cité de la Création, "La Bibliothèque de la Cité :Ecrivains en Rhône-Alpes" Lyonnaises d’art et d’histoire 1998

      47 "Cité de la Création 홈페이지"

      48 "Bibliothèque municipale de Ly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ASSOCIATION CULTURELLE FRANC0-COREENN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1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