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회귀(回歸) 이론과 예술 실천 두 부분으로 나누어 귀속감(歸屬感)의 상실과 정신적 회귀를 논의한다. Ⅱ장에서는 하이데거의 ‘고향 상실’과 ‘사방 세계’ 이론을 연구하여 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595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9-112(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회귀(回歸) 이론과 예술 실천 두 부분으로 나누어 귀속감(歸屬感)의 상실과 정신적 회귀를 논의한다. Ⅱ장에서는 하이데거의 ‘고향 상실’과 ‘사방 세계’ 이론을 연구하여 귀...
본 연구는 회귀(回歸) 이론과 예술 실천 두 부분으로 나누어 귀속감(歸屬感)의 상실과 정신적 회귀를 논의한다. Ⅱ장에서는 하이데거의 ‘고향 상실’과 ‘사방 세계’ 이론을 연구하여 귀속감 상실의 원인과 회귀의 방법을 밝힌다. 하이데거는 현대인이 기술화와 물질화된 세계 속에서 자연, 사회, 신성(神性)과의 연결을 상실했다고 주장하며, 회귀의 길은 사방 세계에서 인간의 위치를 재발견하고 자연과 존재의 조화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회귀는 현세적 차원에서 세계와의 관계를 재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적 차원에서 초월자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회귀 이론을 재해석하여 현세적 및 영적 차원의 이중적 회복을 통합한다. Ⅲ장은 연구자의 작품 분석으로 뼈를 도자로 조형화하여 귀속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슈를 다루었다. 뼈는 신체의 구조로서 물질적 세계에서 인간을 지탱하는 동시에 인간 내면의 본질을 상징한다. 연구자의 세 단계 작품인 ‘이향’, ‘타향으로의 방황(彷徨)’, ‘회귀’는 ‘근원인 고향을 떠남으로써 고향을 인식하는 과정’, ‘타향으로의 방황을 통해 다층적인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 ‘초월자와의 대화를 통해 자아의 본질을 확립하는 회귀 과정’을 순차적으로 표현한다. 회귀 이론과 예술 실천의 결합을 통해 본 논문은 현대성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개인이 자아와 세계, 자아와 초월자 간의 조화를 이루어 상실된 귀속감을 회복하는 과정을 밝혀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ory and artistic practice to discuss the loss of their sense of belongingness and mental return. In the first part, Martin Heidegger's theories of ‘rootlessness' (Heimatlosigkeit) and ‘Quad’ (Geviert-Welt...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ory and artistic practice to discuss the loss of their sense of belongingness and mental return. In the first part, Martin Heidegger's theories of ‘rootlessness' (Heimatlosigkeit) and ‘Quad’ (Geviert-Welt) are interpreted to reveal the causes of loss, the sense of belongingness, and the way of return. Heidegger argues that modern people have lost their connection to nature, society, and the divine in a technologized and materialized world and that the way of return is to rediscover people's place in the Quad and restore the harmony of nature and existence. Return requires not only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n the worldly dimension but also resto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transcendent in the spiritual dimension. This study reinterprets Heidegger's theory of return to integrate this dual recovery of the worldly and spiritual dimensions. In the second part, the researcher's work is analyzed to address the issues of how to restore attribution through the sculpture of bones. As the structure of the body, bones support humans in the material world while symbolizing the essence of humanity's inner being. The three stages of the researcher's work, ‘Departure’, ‘Wandering to a Foreign Land’, and ‘Return’, sequentially express the process of recognizing one's homeland by leaving the origin, homeland, ‘the process of confirming a multi-layered identity through wandering to a foreign land', and ‘the process of returning to establish the essence of the self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transcend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theory of homing and artistic practice, this study reveals the process of how an individual restores dejected and a lost sense of belongingness by achieving harmony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 self and the transcendent in the context of modernity.
중국 『주역』에 나타난 기호를 활용한 도자작품 사례연구
중국 현대 도자 예술 소재의 확장에 관한 연구 -경덕진 국제도예비엔날레 공모전 작품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