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극을 통한 신화의 재현과 확장: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on and expansion of myth through a stage performance : in regard of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Munjeon Bonpu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9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ths have been continuously made into plays since the 1980s. However, in plays, myths are often used as material. However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utilizes the entire story of the myth. The author found the subject of the myth.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recter was given based on the this. As a result, the topic was effectively communicate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s of unreality was solved.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says that the narrative of the performance is same as the myth. However, there is a part that is not consistent with the grammar of mythology. But these changes have given modern meaning to myths. This work has reborn the myth as a meaningful story in the present era beyond a fresh story. As a result, not only can the audience understand "Moonjeon bonpuri" through the play, but also think that the myth is a meaningful story for them. I think such an adapt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mythology becoming an epic enjoyed by people.
      번역하기

      Myths have been continuously made into plays since the 1980s. However, in plays, myths are often used as material. However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utilizes the entire story of the myth. The author found the subject of the myth. And the ch...

      Myths have been continuously made into plays since the 1980s. However, in plays, myths are often used as material. However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utilizes the entire story of the myth. The author found the subject of the myth.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recter was given based on the this. As a result, the topic was effectively communicate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s of unreality was solved.
      "Over the crowed-singing of Pansori" says that the narrative of the performance is same as the myth. However, there is a part that is not consistent with the grammar of mythology. But these changes have given modern meaning to myths. This work has reborn the myth as a meaningful story in the present era beyond a fresh story. As a result, not only can the audience understand "Moonjeon bonpuri" through the play, but also think that the myth is a meaningful story for them. I think such an adapt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mythology becoming an epic enjoyed by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의 인물 구현 방식을 중심으로 신화의 재현과 확장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신화는 19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연극으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 그러나 연극에서 신화는 전복⋅해체되어, 제재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버더떼창>은 신화의 서사구조를 따르되 서사를 수정⋅복원⋅확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개작이 인물에 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바, 먼저 인물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작가는 신화 속 소통 부재의 문제를 ‘속 나누고 사는 삶’으로 발전시켜 이를 주제로 삼았고, 인물의 구현 또한 이러한 주제 의식 하에 이루어져 남선비의 가족들은 소통에 있어 각기 다른 욕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노일저대는 오동국에 부여된 신비한 섬, 버려진 섬이라는 성격을 토대로 그의 신이한 능력과 비뚤어진 욕망의 맥락이 설명된다. 이러한 개성적 인물 구현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시에 인물의 성격을 통해 신화가 갖고 있는 비현실적 요소와 현대의 윤리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장면을 설명함으로써 신화를 연극화함에 있어 중요한 과제인 비현실성과 개연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오버더떼창>에서는 극의 이야기가 곧 <문전본풀이>라고 말하며, 무대장치를 통해서도 신화와 극의 거리를 좁힌다. 한편 여산부인의 서사가 변개함에 따라 신의 좌정 경위가 모호해지며, 신적 질서가 변모한다는 점에서 본 극은 신화의 재현에 있어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는 현대의 가치관에 보다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신화에 현대적 의미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작품은 신화를 신선한 이야기를 넘어 현시대에도 유의미한 이야기로 재탄생 시켰다. 그 결과 관객들은 본 공연을 통해 <문전본풀이>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신화가 자신들의 삶과 닿아있는 이야기임 또한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작은 한국 신화가 사람들이 즐기는 서사로 자리 잡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의 인물 구현 방식을 중심으로 신화의 재현과 확장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신화는 19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연극으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 그...

      본 논문은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의 인물 구현 방식을 중심으로 신화의 재현과 확장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신화는 19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연극으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 그러나 연극에서 신화는 전복⋅해체되어, 제재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버더떼창>은 신화의 서사구조를 따르되 서사를 수정⋅복원⋅확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개작이 인물에 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바, 먼저 인물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작가는 신화 속 소통 부재의 문제를 ‘속 나누고 사는 삶’으로 발전시켜 이를 주제로 삼았고, 인물의 구현 또한 이러한 주제 의식 하에 이루어져 남선비의 가족들은 소통에 있어 각기 다른 욕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노일저대는 오동국에 부여된 신비한 섬, 버려진 섬이라는 성격을 토대로 그의 신이한 능력과 비뚤어진 욕망의 맥락이 설명된다. 이러한 개성적 인물 구현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시에 인물의 성격을 통해 신화가 갖고 있는 비현실적 요소와 현대의 윤리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장면을 설명함으로써 신화를 연극화함에 있어 중요한 과제인 비현실성과 개연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오버더떼창>에서는 극의 이야기가 곧 <문전본풀이>라고 말하며, 무대장치를 통해서도 신화와 극의 거리를 좁힌다. 한편 여산부인의 서사가 변개함에 따라 신의 좌정 경위가 모호해지며, 신적 질서가 변모한다는 점에서 본 극은 신화의 재현에 있어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는 현대의 가치관에 보다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신화에 현대적 의미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작품은 신화를 신선한 이야기를 넘어 현시대에도 유의미한 이야기로 재탄생 시켰다. 그 결과 관객들은 본 공연을 통해 <문전본풀이>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신화가 자신들의 삶과 닿아있는 이야기임 또한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작은 한국 신화가 사람들이 즐기는 서사로 자리 잡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자, "한국 무속신화에 나타난 모신상과 신화적 의미" 이화어문학회 16 : 1998

      2 최수웅, "주호민의 <신과 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회 (41) : 71-99, 2017

      3 송인자, "조선시대 가족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학회 40 (40): 4-87, 2002

      4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5 류정월, "제주도 신화에서 경합하는 가치의 재현 방식- <할망본풀이>와 <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44) : 35-62, 2017

      6 정진희, "제주도 무속 신화 <문전본풀이>의 가부장제와 ‘어머니로 살기’" 국문학회 (35) : 149-182, 2017

      7 고은영, "제주도 가신(家神)의 체계와 의미 -오춘옥 심방 <문전본풀이>를 예증 삼아" 한국구비문학회 (64) : 163-204, 2022

      8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 : 2012

      9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 『신과 함께』<신화편>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학회 31 : 37-62, 2015

      10 박수현 ; 장경남, "웹툰 바리공주 에 수용된 <콩쥐팥쥐> 이야기"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09-124, 2021

      1 이수자, "한국 무속신화에 나타난 모신상과 신화적 의미" 이화어문학회 16 : 1998

      2 최수웅, "주호민의 <신과 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회 (41) : 71-99, 2017

      3 송인자, "조선시대 가족문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학회 40 (40): 4-87, 2002

      4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5 류정월, "제주도 신화에서 경합하는 가치의 재현 방식- <할망본풀이>와 <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44) : 35-62, 2017

      6 정진희, "제주도 무속 신화 <문전본풀이>의 가부장제와 ‘어머니로 살기’" 국문학회 (35) : 149-182, 2017

      7 고은영, "제주도 가신(家神)의 체계와 의미 -오춘옥 심방 <문전본풀이>를 예증 삼아" 한국구비문학회 (64) : 163-204, 2022

      8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 : 2012

      9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 『신과 함께』<신화편>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학회 31 : 37-62, 2015

      10 박수현 ; 장경남, "웹툰 바리공주 에 수용된 <콩쥐팥쥐> 이야기"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09-124, 2021

      11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사 2006

      12 "오버더떼창:문전본풀이 프로그램"

      13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 2022

      14 김성희, "연극으로 사유하는 한국신화" 연극과인간 2021

      15 신현숙, "신화와 공연예술(1) 신화 재창작과 소재 탐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78 : 2015

      16 정제호, "서사무가의 콘텐츠 활용 유형과 스토리텔링 양상" 일본연구소 52 : 113-136, 2017

      17 김윤희,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극 수용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8 서연호, "바리데기신화의 무대화와 ≪엘렉트라≫ 비교연구" 한국연극학회 (33) : 353-374, 2007

      19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20 오세정, "무속신화 속 탐색 가치와 여성주체의 의미" 한국기호학회 26 : 249-273, 2009

      21 김성희, "동시대 희곡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신화 다시쓰기 방식- <에비대왕>과 <처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 (1): 5-46, 2018

      22 류정월, "고전서사교육에서 문화적 격차의 인식과 해소 방안 - 무속신화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3 (13): 447-472, 2022

      23 이경화, "가신의 성격과 의례적 문학적 형상화" 고려대학교 2021

      24 박재인, "「문전본풀이」의 현대적 활용 양상과 의미" 인문사회 21 10 (10): 221-232, 2019

      25 이명현, "《신과 함께》신화편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의 재편 - 신화의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40) : 167-192, 2015

      26 권복순, "‘문전본풀이’의 대립적 인물성격 연구" 실천민속학회 13 : 153-176, 2009

      27 최기숙, "Daum 웹툰 <바리공주>를 통해 본 고전 기반 웹툰 콘텐츠의 다층적 대화 양상—서사구조와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5 (25): 303-345, 2019

      28 송소라,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판소리 합창의 양상과 의미" 국립국악원 (45) : 353-378, 2022

      29 류정월, "<성주풀이>와 <문전본풀이>에 나타난 가정관" 시학과언어학회 (29) : 31-59, 2015

      30 이지영, "<문전본풀이>에 나타난 악인형 여성의 전형성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99-234, 2006

      31 진은진, "<문전본풀이>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4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