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건천마와 발효천마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Using Dried Gastrodia and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4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천마와 발효천마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건천마와 발효천마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하지 않은 건천마 추출물보다 발효과정을 거친 발효천마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와 xanthine oxidase(XO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DW 추출에서 DPPH가 건천마 64.14 ± 0.89%, 발효천마 66.21 ± 1.03%으로 나타났고, ABTS가 건천마 54.15 ± 1.37%, 발효천마 60.24 ± 2.25%로 나타났다. 70% EtOH추출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발효천마 추출물이 AC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XOase에 대하여 발효 및 건천마 추출물의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nerve growth factor(NGF) 활성 측정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40%의 신경돌기 성장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건천마와 발효천마의 추출물을 상대로 천마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에 대한 기능성을 탐색한 결과 발효천마가 건천마보다 우수한 생리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어, 발효과정을 통하면 천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both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of gastrodia (Gastrodia elata) with fermentation process. Antioxidant activities, taken in the fermenting, were in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both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of gastrodia (Gastrodia elata) with fermentation process. Antioxidant activities, taken in the fermenting, were investigated to verify utility value of gastrodia for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dried gastrodia extracts. During the routine check of all the practical use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hibition effec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xanthine oxidase (XOase) was tested among water extracted dried gastrodia (WEDG), water extracted fermented gastrodia (WEFG), 70% ethanol extracted dried gastrodia (EEDG) and 70% ethanol extracted fermented gastrodia (EEFG). DPPH was shown as WEDG = 64.14 ± 0.89%, WEFG = 66.21 ± 1.03%, EEDG = 82.25 ± 0.52%, and EEFG = 82.36 ± 2.37%. ABTS was shown as WEDG = 54.15 ± 1.37%, WEFG = 60.24 ± 2.25%, EEDG = 59.18 ± 1.86%, and EEFG = 77.17 ± 4.23%. Therefore, ACE activity was dramatically inhibited by EERG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of XOase inhibition between EEFG and EERG. Nerve growth factor (NGF) activity was measured and indicated about 40% increased neurite growth effect. To conclude,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of gastrodia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process. It seems to be that ferment gastrodia enhance the use ranges from functional food to fuctional cosmetics, and to all processing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재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6 (26): 111-117, 2011

      2 이상한, "천마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83-87, 2006

      3 강태수, "천마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in vitro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 30 (30): 136-141, 2002

      4 강창수, "천마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揚?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 13 (13): 211-219, 2007

      5 홍희도, "천마 분획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370-374, 2005

      6 송호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톳 (Hizikia fusiforme) 추출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한국수산과학회 44 (44): 104-110, 2011

      7 엄성환, "다시마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효모 발효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 43 (43): 117-124, 2010

      8 정창호, "국내 시판 녹차, 보이차, 우롱차 및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230-237, 2009

      9 김은정, "고지방 사료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서 트레드밀 운동과 천마의 항비만 효과" 한국운동영양학회 11 (11): 61-68, 2007

      10 최소라,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천마의 품질 및 성분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54-361, 2011

      1 황재규,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6 (26): 111-117, 2011

      2 이상한, "천마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83-87, 2006

      3 강태수, "천마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in vitro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 30 (30): 136-141, 2002

      4 강창수, "천마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揚?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 13 (13): 211-219, 2007

      5 홍희도, "천마 분획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370-374, 2005

      6 송호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톳 (Hizikia fusiforme) 추출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한국수산과학회 44 (44): 104-110, 2011

      7 엄성환, "다시마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효모 발효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 43 (43): 117-124, 2010

      8 정창호, "국내 시판 녹차, 보이차, 우롱차 및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230-237, 2009

      9 김은정, "고지방 사료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서 트레드밀 운동과 천마의 항비만 효과" 한국운동영양학회 11 (11): 61-68, 2007

      10 최소라,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천마의 품질 및 성분 변화"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54-361, 2011

      11 Choi, J.H., "The studies of fermenta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Yeungnam Univ 2008

      12 Jeun, Y.S., "The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from Caragana chamlagu extracts and application to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Kyungpook Univ 2011

      13 Stirpe, F.,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62, 1969

      14 Maness, L.M., "The neurotrophins and their receptors: structure, function, and neuropathology" 18 : 143-159, 1994

      15 Huh, K., "The mechanism of anticonvulsive effect of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in pentylenetetrazole treated rats" 42 : 330-335, 1998

      16 Cushman, D.W., "Spectro-photomet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e-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20 : 1637-1648, 1971

      17 Pellegrin, N.,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99 : 379-389, 1998

      18 Choi, D.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as beverage of Gastrodia elata Blume" Sangju Univ 2003

      19 Kinsella, J.E., "Possible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478 : 85-92, 1993

      20 Andarwulan, N.,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47 : 1776-1780, 1999

      21 Martin, T.F., "PC12 cell as a model for studies of regulated secretion in neuronal and endocrine cells" 71 : 267-286, 2003

      22 Kim, H.C., "Neuroprotective effect of Gastrodia rhizoma on global ischemia induced by 4-vessel occlusion in rats" 14 : 121-129, 1999

      23 Hefti, F., "Nerve growth factor promotes survival of septal cholinergic neurons after fimbrial transections" 6 : 2155-2162, 1986

      24 Ha, J.H., "Modulation of ligand binding to the GABA-benzodiazepine receptor complex by Gastrodia elata Bleme" 5 : 325-330, 1997

      25 Buege, J.A.,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105 : 302-306, 1978

      26 배향남,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Qualities of Sea Tangle Extract through Fermentation by Aspergillus oryzae" 한국수산과학회 13 (13): 12-17, 2010

      27 Kim, J.A., "General pharmacology of 4-hydroxybenzaldehyde, 4-hydroxy-3-methoxybenzyl alcohol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from Gastrodia eleta Blume" 20 : 32-37, 2001

      28 Levi-Montalcini, R., "Destruction of the sympathetic ganglia in mammals by an antiserum to a nervegrowth protein" 46 : 384-391, 1960

      29 Kim, H.J.,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7 : 278-284, 2000

      30 Kim, J.H., "Biological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 from herb and oriental medicinal resource" Sangju Univ 2006

      3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 1199-1200, 1958

      32 Kim, M.J.,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tius) seed extract" 30 : 15-2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