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이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논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ponsive teaching using cognitive resources on epistemological framing and argum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54557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4.42 판사항(6)

      • DDC

        530.07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xv, 233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중복
        권말부록: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 학습지 ;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 전사 자료
        참고문헌: p. 153-15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은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이다. 탐구 능력이란 자신의 인지적 자원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 학생들은 탐구 활동을 현상 이해의 활동으로 해석해야 하며 교사는 학생들이 논변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최근 학생들의 과학 개념과 함께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해서 반응적 교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인지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논변 활동 그리고 추론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정전기’를 주제로 16차시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을 수행하였다. 수업에서 교사는 시작과제를 제시한 후 그룹원들끼리 논변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을 하도록 하였다. 교사는 논변 과정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에 주목하고 학생들의 개념이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는 과제(또는 상황)들을 제시하였다.
      수업 결과 한 그룹은 연구 초기에는 수업을 ‘교실 게임’으로 프레이밍하였지만 연구 중반에는 ‘현상 이해’로 프레이밍 함으로써 인식론적 프레이밍의 변화가 뚜렷했다. 그래서 이 그룹을 ‘초기 교실게임’ 그룹으로 명명하고 인식론적 프레이밍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그룹은 연구 초기부터 비교적 안정되게 ‘현상 이해’로 프레이밍 하면서 프레이밍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논변 활동이 두드러지게 변화하였다. 이 그룹을 ‘현상 이해’ 그룹으로 명명하고 논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두 그룹이 추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하였다.
      첫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교실 게임’ 프레이밍에서 ‘현상 이해’ 프레이밍으로 전환시켰다. ‘초기 교실게임’ 그룹의 학생들은 수업 초기에는 교사의 평가에 의존하는 모습이 두드러졌지만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방식에 대한 혼란한 감정에 주목하고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을 실행한 이후 학생들은 교사의 평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들의 의견을 검증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수용적 논의’에서 서로의 주장을 비평하고 자신의 주장을 설득하는 ‘대화적 논변’으로 변화되도록 하였다. 이것은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이나 동료의 아이디어를 검증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과학자와 동일한 과정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인 가설을 세운 후 가설에 기반하여 새로운 현상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예측되어진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추론과 논증을 이용하여 과학적 지식을 확립하는 과정과 유사하였다.
      번역하기

      과학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은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이다. 탐구 능력이란 자신의 인지적 자원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이 ...

      과학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은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이다. 탐구 능력이란 자신의 인지적 자원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 학생들은 탐구 활동을 현상 이해의 활동으로 해석해야 하며 교사는 학생들이 논변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최근 학생들의 과학 개념과 함께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해서 반응적 교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인지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논변 활동 그리고 추론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정전기’를 주제로 16차시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을 수행하였다. 수업에서 교사는 시작과제를 제시한 후 그룹원들끼리 논변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을 하도록 하였다. 교사는 논변 과정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에 주목하고 학생들의 개념이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는 과제(또는 상황)들을 제시하였다.
      수업 결과 한 그룹은 연구 초기에는 수업을 ‘교실 게임’으로 프레이밍하였지만 연구 중반에는 ‘현상 이해’로 프레이밍 함으로써 인식론적 프레이밍의 변화가 뚜렷했다. 그래서 이 그룹을 ‘초기 교실게임’ 그룹으로 명명하고 인식론적 프레이밍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그룹은 연구 초기부터 비교적 안정되게 ‘현상 이해’로 프레이밍 하면서 프레이밍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논변 활동이 두드러지게 변화하였다. 이 그룹을 ‘현상 이해’ 그룹으로 명명하고 논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두 그룹이 추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하였다.
      첫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교실 게임’ 프레이밍에서 ‘현상 이해’ 프레이밍으로 전환시켰다. ‘초기 교실게임’ 그룹의 학생들은 수업 초기에는 교사의 평가에 의존하는 모습이 두드러졌지만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방식에 대한 혼란한 감정에 주목하고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을 실행한 이후 학생들은 교사의 평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들의 의견을 검증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수용적 논의’에서 서로의 주장을 비평하고 자신의 주장을 설득하는 ‘대화적 논변’으로 변화되도록 하였다. 이것은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이나 동료의 아이디어를 검증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은 학생들이 과학자와 동일한 과정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인 가설을 세운 후 가설에 기반하여 새로운 현상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예측되어진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추론과 논증을 이용하여 과학적 지식을 확립하는 과정과 유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리 6
      • 3.1 반응적 교수법(responsive teaching) 7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리 6
      • 3.1 반응적 교수법(responsive teaching) 7
      • 3.2 인식론적 프레이밍 7
      • 3.3 인지적 자원 기반 과제 8
      • 3.4.1 잠재적 자원 기반 과제 9
      • 3.4.2 필수 자원 기반 과제 10
      • 3.5 필수 자원 촉발 과제 11
      • 3.6 수용적 논의와 대화적 논변 12
      • 4. 연구의 제한점 12
      • II. 이론적 배경 13
      • 1. P-prim과 인지적 자원 13
      • 2. 인식론적 자원 14
      • 3. 인식론적 프레이밍 16
      • 4. 반응적 교수법(Responsive teaching) 20
      • 5. 논변에 대한 연구 24
      • 6. Giere의 과학 지식 생성 모형 27
      • III. 연구 방법 29
      • 1. 연구 참여자 30
      • 2. 반응적 교수법의 과정 32
      • 2.1 수업의 맥락 32
      • 2.2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 33
      • 2.2.1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의 진행 방법 33
      • 2.2.2 시작 과제 40
      • 3. 자료 수집 46
      • 4. 자료 분석 47
      • 4.1 인식론적 프레이밍 분석 48
      • 4.2 논변의 분석 50
      • 4.3 추론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 54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4
      • 1. '초기 교실게임' 그룹의 인식론적 프레이밍 변화 55
      • 1.1 '초기 교실게임' 그룹의 프레이밍 특징 56
      • 1.1.1 학습지 조기 종료 57
      • 1.1.2 교사 눈치 보기 61
      • 1.1.3 적절한 수준까지만 답을 구성 64
      • 1.1.3.1 현상 이해 그룹과 비교 65
      • 1.1.3.2 답 작성 후 과제에 무관심 68
      • 1.1.4 난이도가 낮은 과제에서는 현상 이해 프레이밍과 유사 70
      • 1.2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의 실행 75
      • 1.2.1 학생들의 답에 주목하여 교사의 반응하기 75
      • 1.2.2 학생의 반응에 주목하여 교사의 반응하기 88
      • 1.3 인식론적 프레이밍의 변화 96
      • 1.4 논의 99
      • 2. '현상 이해' 그룹의 논변 변화 101
      • 2.1 학생의 질문에 주목한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 101
      • 2.1.1 '현상 이해' 그룹의 수업 태도 101
      • 2.1.2 질문에 주목하여 교사의 반응하기 104
      • 2.2 '현상 이해' 그룹의 수용적 논의 107
      • 2.2.1 수용적 논의의 지속 107
      • 2.2.2 인지적 자원 기반 과제 제시 후 논변 태도 변화 108
      • 2.2.3 생산적인 의견 교환을 통한 주장 생성 112
      • 2.2.4. 의견의 검증과 복잡한 논변 구조 115
      • 2.3 '현상 이해' 그룹의 대화적 논변 118
      • 2.3.1 수업 시작 전 인지적 자원의 중요성 강조 118
      • 2.3.2 손가락이 +다와 우린 매그니토가 아니다. 120
      • 2.3.3 손가락이 +다와 손가락은 중성이다 122
      • 2.3.4 학생들의 용어에 주목하여 교사의 반응하기 124
      • 2.3.5 격렬한 대화적 논변의 전개 126
      • 2.4 논의 134
      • 3.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 135
      • 3.1 수업 초기 학생들의 추론 특징 135
      • 3.2 학생들의 가설-연역적 추론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 136
      • 3.2.1 초기 교실게임 그룹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 137
      • 3.2.2 현상 이해 그룹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 141
      • 3.3 논의 147
      • Ⅴ. 결론 및 제언 148
      • 1. 결론 149
      • 2. 제언 150
      • 참 고 문 헌 153
      • A B S T R A C T 158
      • 부 록 1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2012

      2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2015

      3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 학사, 2011

      4 홍준희, 김중복, "NPN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검전기 제작",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11(3) 338-345, 2017

      5 한수연,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한국교육원리학회, 교육원리연구, 9(1), 47-82, 2004

      6 권재술, 김연수, 이경호,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74-591, 2003

      7 이지원, "과학영재의 역동적 지식생성을 통한 통찰과정 분석", 한국교원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8 강희정, 조용근, 장철한, 장병기, 이재호, 이병룡, 이면우, 류상호, 노석구, "한은 경, 이성진, 김연귀, 이유진 중학교 2학년 과학", 천재교육, 2017

      9 강남화, 이은경,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19-1138, null

      10 이은미 ( Eun Mi Lee ), 강남화 ( Nam Hwa Kang ), "가설-연역적 추론 관점에서 본 중학생의 과학적 정보 평가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75-383, 2014

      1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2012

      2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2015

      3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 학사, 2011

      4 홍준희, 김중복, "NPN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검전기 제작",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11(3) 338-345, 2017

      5 한수연,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한국교육원리학회, 교육원리연구, 9(1), 47-82, 2004

      6 권재술, 김연수, 이경호,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74-591, 2003

      7 이지원, "과학영재의 역동적 지식생성을 통한 통찰과정 분석", 한국교원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8 강희정, 조용근, 장철한, 장병기, 이재호, 이병룡, 이면우, 류상호, 노석구, "한은 경, 이성진, 김연귀, 이유진 중학교 2학년 과학", 천재교육, 2017

      9 강남화, 이은경,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19-1138, null

      10 이은미 ( Eun Mi Lee ), 강남화 ( Nam Hwa Kang ), "가설-연역적 추론 관점에서 본 중학생의 과학적 정보 평가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75-383, 2014

      11 권난주, 권재술,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 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16-225, 2004

      12 김중복, 이선희, "검전기에 (-)대전체를 접촉했을 때 검전기가 띠게 되는 전하의 종류는?", 현장과학교육, 3(2), 140-143, 2009

      13 오필석,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과 시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71-984, 2015

      14 김희백, 하희수, "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 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63-75, 2017

      15 하희수, 김희백, 이영미,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38(1), 11-26, 2018

      16 김희백, 이은주, 윤선미, "변칙 사례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반응에 서 드러난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 회지, 35(3), 419-429, 2015

      17 김희백, 박지영, "논변 활동 중심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 행 탐색-논변의 구조적・대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69-85, 2018

      18 박철진, Park, Chuljin, Cha, Heeyoung, 차희영,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연선택 개념 이해를 위한 논변 활동에서 나타난 인식적 이해와 논변활동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 육학회지, 37(4), 565-575, 2017

      19 김희백 ( Heui Baik Kim ), 이차은 ( Cha Eun Lee ),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질문의 개념적 자원 활성화의 이해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71-483,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