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효과 : 조립 난이도의 조절효과와 통제감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2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배제에 따른 통제감 인 식과 조립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의 선호에 미치는 효과가 통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지, 이 러한 매개효과가 DIY제품의 조립 난이도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사회적 수용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DIY제품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 높 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사회적 배제가 DIY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DIY제품에 대한 통 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조립이 어려운 DIY제품에서는 나타 나지 않고 조립이 쉬운 DIY제품에서만 나타나서 조립 난이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어서 사회적 배제 현상과 DIY제품 소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중 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배제에 따른 통제감 인 식과 조립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배제에 따른 통제감 인 식과 조립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의 선호에 미치는 효과가 통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지, 이 러한 매개효과가 DIY제품의 조립 난이도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사회적 수용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DIY제품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 높 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사회적 배제가 DIY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DIY제품에 대한 통 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조립이 어려운 DIY제품에서는 나타 나지 않고 조립이 쉬운 DIY제품에서만 나타나서 조립 난이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어서 사회적 배제 현상과 DIY제품 소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중 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DIY product preference by highligh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ssembly difficult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mong individuals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and if this mediation was influenced by the ease or difficulty of product assembly.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under social exclusion conditions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an those in socially inclusive conditions. This preference was predomin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over the DIY products.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was more pronounced for easy-to-assemble DIY products, emphasizing the crucial moderating role of assembly difficulty. The study concludes by elucid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perceived control, and DIY product preference and offer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DIY product preference by highligh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ssembly difficult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mon...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DIY product preference by highligh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ssembly difficult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mong individuals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and if this mediation was influenced by the ease or difficulty of product assembly.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under social exclusion conditions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an those in socially inclusive conditions. This preference was predomin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over the DIY products.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was more pronounced for easy-to-assemble DIY products, emphasizing the crucial moderating role of assembly difficulty. The study concludes by elucid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perceived control, and DIY product preference and offer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1) 사회적 배제와 통제감 욕구
      • 2) 통제감 회복을 위한 소비 행동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1) 사회적 배제와 통제감 욕구
      • 2) 통제감 회복을 위한 소비 행동
      • 3) DIY 제품과 통제감 회복
      • 4) DIY 조립 난이도
      • 3. 가설설정
      • 4. 사전 연구
      • 1) 연구 대상
      • 2) 자극 선정
      • 3) 연구 절차
      • 4) 측정도구
      • 5) 사전 연구 결과
      • 5. 본 연구
      • 1) 연구대상
      • 2) 연구설계 및 절차
      • 3) 측정도구
      • 4) 연구 결과
      • 6. 논의
      • 1) 연구 결과 요약
      •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 3)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 참고문헌
      • <부록 1> 사회적 배제(수용) 점화 과제
      • <부록 2> 본 연구 DIY제품 자극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