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 Burden and depression of caregiver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29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cogni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ediating nursing plan to help the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24 caregivers of dementia diagnosed patients visiting the S hospital (located in Seoul) neurophsychiatric outpatient clinic. The tool developed by Zarit(1980) and standardized by Kwon, Joong-don(1995) were used to measure burden, and Radloff's(1977)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to measure depression. The cognition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daily living ability using the ADL(Activity Daily Living) and the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Data were analyzed by SAS 9.13 to deduct real numbers, ratio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s are as following;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women(63.7%), aging over 60s(33.8%), and mostly being the spouse of the patient(37.9%), which was followed by being daughters(27.4%). Most of them were highschool graduates or above (33.8%), married(85.4%), and had no job(59.4%). 70% had a monthly income exceeding 2 million won, and had 3 to 4 family members (45.1%). Most of them had had 3 to 5 years'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s.
      2. Cognition abilities of patients variated from 4 to 26, and the average turned out to be 16.47±4.83.
      3. Daily living ability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showed an average of 3.43±1.26 points, and the following activities required the most support in sequential order; Bank utilization(72.4%), marketing(66%), going outdoors(52.0%), laundry(50.9%), taking a shower or bath(45.1%).
      4. The pressure of caregivers was scaled from 28 to 129 points with an average of 70.31±24.81, showing a high level of burden, and depression from 0 to 52 points with an average of 16.82±11.65 points.
      5.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depression of caregiver, and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 was significant in such case that the caregiver being a woman(F=-3.08, p=.0002) or having no job(F=-2.98, p=.004) or being the patient's spouse(F=2.48, p=.035). Significancy rate was high if the caregiver was a spouse(F=.89, p=.016), or if the caregiver had over 5 years of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
      (F=3.42, p=.019).
      6. Significance between patient cognitive ability and burden of caregiver were shown as such; If MMSE points were measured lower than 16, burden was 76.37±25.09 and depression 15.45±12.01, which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case of it being higher than 16.
      7. Daily living ability was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of which average was 3.43±1.26. The burden of the caregiver according to daily living ability was deducted as following; 87.81±23.7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1 to 2,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assistance at all times, 71.41±20.16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2 to 4,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half-and-half help, and 60.80±25.55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over 4, a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can live almost on him/herself. The burden was highest when the living ability score was 1 to 2, and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65, p<.0001). Depression of caregiver was variated as following; 21.59±14.35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1 to 2, 11.45±9.72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2 to 4, 10.65±8.94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over 4. Depression was highest when living ability score was in the range of 1 to 2, and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9.40, p=.000).
      From the above results, according to cognitive and daily living ability of the patient, burden and depression of the caregiver, differential nursing should be provided, and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needs and features is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cogni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ediating nursing plan to help the caregivers. The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cogni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ediating nursing plan to help the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24 caregivers of dementia diagnosed patients visiting the S hospital (located in Seoul) neurophsychiatric outpatient clinic. The tool developed by Zarit(1980) and standardized by Kwon, Joong-don(1995) were used to measure burden, and Radloff's(1977)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to measure depression. The cognition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daily living ability using the ADL(Activity Daily Living) and the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Data were analyzed by SAS 9.13 to deduct real numbers, ratio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s are as following;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women(63.7%), aging over 60s(33.8%), and mostly being the spouse of the patient(37.9%), which was followed by being daughters(27.4%). Most of them were highschool graduates or above (33.8%), married(85.4%), and had no job(59.4%). 70% had a monthly income exceeding 2 million won, and had 3 to 4 family members (45.1%). Most of them had had 3 to 5 years'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s.
      2. Cognition abilities of patients variated from 4 to 26, and the average turned out to be 16.47±4.83.
      3. Daily living ability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showed an average of 3.43±1.26 points, and the following activities required the most support in sequential order; Bank utilization(72.4%), marketing(66%), going outdoors(52.0%), laundry(50.9%), taking a shower or bath(45.1%).
      4. The pressure of caregivers was scaled from 28 to 129 points with an average of 70.31±24.81, showing a high level of burden, and depression from 0 to 52 points with an average of 16.82±11.65 points.
      5.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depression of caregiver, and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 was significant in such case that the caregiver being a woman(F=-3.08, p=.0002) or having no job(F=-2.98, p=.004) or being the patient's spouse(F=2.48, p=.035). Significancy rate was high if the caregiver was a spouse(F=.89, p=.016), or if the caregiver had over 5 years of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
      (F=3.42, p=.019).
      6. Significance between patient cognitive ability and burden of caregiver were shown as such; If MMSE points were measured lower than 16, burden was 76.37±25.09 and depression 15.45±12.01, which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case of it being higher than 16.
      7. Daily living ability was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of which average was 3.43±1.26. The burden of the caregiver according to daily living ability was deducted as following; 87.81±23.7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1 to 2,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assistance at all times, 71.41±20.16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2 to 4,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half-and-half help, and 60.80±25.55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over 4, a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can live almost on him/herself. The burden was highest when the living ability score was 1 to 2, and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65, p<.0001). Depression of caregiver was variated as following; 21.59±14.35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1 to 2, 11.45±9.72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2 to 4, 10.65±8.94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over 4. Depression was highest when living ability score was in the range of 1 to 2, and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9.40, p=.000).
      From the above results, according to cognitive and daily living ability of the patient, burden and depression of the caregiver, differential nursing should be provided, and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needs and features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비율 또한 2000년도에 7.2%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치매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부양자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을 조사함으로써 부양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는 치매 진단이 확정된 환자의 부양자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담감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Zarit(1980)가 개발하고 권중돈(1995)이 표준화 한 것을 사용하였고, 우울감 측정 도구는 Radloff(1977)의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를 이용하였다. 치매환자의 기능정도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인지기능은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일상생활수행능력은 ADL(Activity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3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을 위해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63.7%)가 대부분이고, 연령은 60대(33.8%) 이상이며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37.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딸(27.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고졸 이상(33.8%)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기혼(85.4%)이 대부분이었고, 직업(59.4%)은 없었다. 월수입은 200만원 이상이 70%이었고, 가족 수는 3-4명(45.1%)으로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은 3-5년 정도로 나타났다.
      2.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최저 4점에서 최고 26점으로, 평균은 16.47±4.83점으로 나타났다.
      3.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으며, 은행이용(72.4%), 장보기(66%), 외출(52.0%)의 순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세탁(50.9%), 목욕&#8228;샤워(45.1%) 순이었다.
      4.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정도를 보면 부양자의 부담감은 최저 28점에서 최고 129점으로 평균이 70.31±24.81점으로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은 최저 0점에서 최고 52점으로 평균이 16.82±11.65점으로 나타났다.
      5.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우울감에서는 부양자가 여자(F=-3.08, p=.0002)일 때, 직업이 없을 때(F=-2.98, p=.004), 배우자(F=2.48, p=.035)인 경우에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부양자가 배우자(F=.89, p=.016)인 경우,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F=3.42 , p=.019)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MMSE 점수가 16점 미만인 경우 부담감은 76.37±25.09점, 우울감은 15.45±12.01점으로 16점 이상 일 때 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7.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본 연구에서의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 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87.81±23.7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71.41±20.16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60.80±25.55점으로, 1점 이상-2점미만의 부담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10.65, p<.0001). 부양자의 우울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21.59±14.35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11.45±9.72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10.65±8.94점으로 1점 이상-2점 미만에서 우울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9.40, p=.00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한다.
      1. 간호연구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치매환자 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부양자의 특성을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간호실무의 측면에서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가 제공되어야 하며, 부양자의 특성과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부양자들이 치매환자를 돌보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 등을 환자 가족모임 등의 자조그룹을 통해 지지체계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간호교육적 측면에서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도 간호의 대상자로 포함되어야한다는 간호사들의 인식 변화와 함께 이에 따른 간호사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비율 또한 2000년도에 7.2%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비율 또한 2000년도에 7.2%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치매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부양자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을 조사함으로써 부양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는 치매 진단이 확정된 환자의 부양자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담감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Zarit(1980)가 개발하고 권중돈(1995)이 표준화 한 것을 사용하였고, 우울감 측정 도구는 Radloff(1977)의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를 이용하였다. 치매환자의 기능정도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인지기능은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일상생활수행능력은 ADL(Activity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3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을 위해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63.7%)가 대부분이고, 연령은 60대(33.8%) 이상이며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37.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딸(27.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고졸 이상(33.8%)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기혼(85.4%)이 대부분이었고, 직업(59.4%)은 없었다. 월수입은 200만원 이상이 70%이었고, 가족 수는 3-4명(45.1%)으로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은 3-5년 정도로 나타났다.
      2.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최저 4점에서 최고 26점으로, 평균은 16.47±4.83점으로 나타났다.
      3.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으며, 은행이용(72.4%), 장보기(66%), 외출(52.0%)의 순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세탁(50.9%), 목욕&#8228;샤워(45.1%) 순이었다.
      4.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정도를 보면 부양자의 부담감은 최저 28점에서 최고 129점으로 평균이 70.31±24.81점으로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은 최저 0점에서 최고 52점으로 평균이 16.82±11.65점으로 나타났다.
      5.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우울감에서는 부양자가 여자(F=-3.08, p=.0002)일 때, 직업이 없을 때(F=-2.98, p=.004), 배우자(F=2.48, p=.035)인 경우에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부양자가 배우자(F=.89, p=.016)인 경우,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F=3.42 , p=.019)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MMSE 점수가 16점 미만인 경우 부담감은 76.37±25.09점, 우울감은 15.45±12.01점으로 16점 이상 일 때 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7.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본 연구에서의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 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87.81±23.7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71.41±20.16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60.80±25.55점으로, 1점 이상-2점미만의 부담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10.65, p<.0001). 부양자의 우울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21.59±14.35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11.45±9.72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10.65±8.94점으로 1점 이상-2점 미만에서 우울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9.40, p=.00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한다.
      1. 간호연구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치매환자 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부양자의 특성을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간호실무의 측면에서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가 제공되어야 하며, 부양자의 특성과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부양자들이 치매환자를 돌보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 등을 환자 가족모임 등의 자조그룹을 통해 지지체계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간호교육적 측면에서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도 간호의 대상자로 포함되어야한다는 간호사들의 인식 변화와 함께 이에 따른 간호사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 1
      • B. 연구의 목적 = 4
      • C. 용어의 정의 = 4
      • II. 문헌고찰 = 8
      • I.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 1
      • B. 연구의 목적 = 4
      • C. 용어의 정의 = 4
      • II. 문헌고찰 = 8
      • A.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담감 = 8
      • B. 치매환자 부양자의 우울감 = 13
      • III. 연구방법 = 16
      • A. 연구설계 = 16
      • B. 연구대상 = 16
      • C. 연구도구 = 17
      • D. 자료 수집 방법 = 18
      • E. 자료 분석 방법 = 19
      • F.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19
      •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0
      • A. 치매환자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 20
      • B.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 22
      • C.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 23
      • D.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정도 = 24
      • E. 치매환자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우울감 = 25
      • F.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따른 부담감과 우울감 = 29
      • G.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 30
      • H. 연구의 제한점 = 31
      • Ⅴ. 결론 및 제언 = 32
      • A. 결론 = 32
      • B. 제언 = 35
      • 참고문헌 = 36
      • 부록 = 44
      • Abstract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