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팬데믹을 거치면서 기후위기, 전쟁, 분열, 갈등, 불평등 심화, 스트롱맨 등장 등으로 신데믹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국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공공외교를 국가 그랜드 전략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0296
2025
-
학술저널
16-35(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는 팬데믹을 거치면서 기후위기, 전쟁, 분열, 갈등, 불평등 심화, 스트롱맨 등장 등으로 신데믹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국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공공외교를 국가 그랜드 전략으로...
세계는 팬데믹을 거치면서 기후위기, 전쟁, 분열, 갈등, 불평등 심화, 스트롱맨 등장 등으로 신데믹 시대에 접어들었다. 한국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공공외교를 국가 그랜드 전략으로 내세워 국내외 쟁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도약의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이 성과로 국력의 80∼90%를 차지하는 ‘국가신뢰’라는 소프트파워 자산을 확보할 수 있다. 시대정신이 된 공공외교의 핵심 원동력은 공중관계와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다.
공공외교는 대한민국이 새로운 르네상스 시대를 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공공외교로 대한민국 신뢰를 세우고 세계 쟁점을 해결하는 리딩 국가가 되는 기회이다.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토대로 공공외교를 수행하면 변화하는 시대 상황에 걸맞은 프로그램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언론, 지역주민, 시민단체, 여론주도층, 지식인 등 국내·외 공중(Public)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공외교목표, 전략, 평가도 공공외교 목적에 부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공중관계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추진하기 위한 토대 전략과 이론 등을 제공한다. 공중관계가 우수한 조직이 우량 조직이 된다.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공공외교의 원동력으로 쟁점을 최적의 방법으로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도 한다. 소구 공중을 잘 설정하고 고도화된 전략과 전술을 담아 공공외교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국내외의 우호적 여론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인 공공외교 성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항에 따른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인천국제공항을 우수한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도약시켰다.
신데믹(Syndemic) 시대에 국제 아젠다가 공공외교로 바뀌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 기회이다. 공공외교로 한국의 위상을 드높이고, 훼손된 국격을 회복하여 국가 신뢰를 제고시킬 수 있다. 공공외교라는 그랜드 전략으로 변화와 혼동의 현시대를 극복하고 안정적이며 역동적인 국가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 특히 공중과 함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동반창조 그랜드 전략’ 채택을 제안한다.
이 그랜드 전략은 공중을 프로그램을 함께 만들고 창조하는 대상으로 받아들이며 공중이 제기한 쟁점을 통해 전략을 개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ld has entered a new era, marked by the syndemic of climate crises, war, social disintegration, conflict, rising inequality, and the resurgence of authoritarian figures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The Republic of Korea(ROK, South Korea) i...
The world has entered a new era, marked by the syndemic of climate crises, war, social disintegration, conflict, rising inequality, and the resurgence of authoritarian figures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The Republic of Korea(ROK,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ese challenges. However, by prioritizing public diplomacy as a national grand strategy, we can addres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This approach will enhance the nation’s soft power―specifically its credibility―which constitutes 80- 90% of national strength. Public diplomacy, now the spirit of the era(Zeitgesit), can be advanced through effective public relations and strategic communication.
Public diplomacy presents ROK with an opportunity to usher in a second Renaissance, much like the first Renaissance that followed the plague pandemic in Europe. When rooted in public relations, public diplomacy enables us to design programs tailored to the evolving demands of our era. These initiatives can gain support from a broad array of stakeholder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diences, media, communities, NGOs, public opinion leaders, and intellectuals. Furthermore, the goals, objectives, strategies, tactics, and evaluation methods of public relations can be seamlessly integrated with those of public diplomacy.
Effective public relations drive excellence within organizations by providing foundational strategies and theories that fuel strategic communication efforts. Strategic communication, in turn, serves as the driving force―facilitating the resolution of pressing issues and the creation of new opportunities―behind public diplomacy. A well-designed public diplomacy program, equipped with robust strategies and tactics, can shape favorable public opinion domestically and globally, delivering tangible results. For instance, the strategic communication efforts surrounding the launch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uccessfully established it as a world-class organization.
Today, the global agenda is increasingly focused on public diplomacy, presenting South Korea with a unique opportunity. Public diplomacy can elevate Seoul’s international standing, restore its tarnished reputation aftermath of 3 December coup attempt, and bolster national confidence. By adopting a grand strategy centered on public diplomacy, ROK can navigate the current era of uncertainty and rapid transformation while building-up stable and dynamic national credibility. Notably, a “Co-creational Grand Strategy”―one that fosters collaboration with the public as co-creators of programs― is proposed. This inclusive approach develops strategies informed by issues raised by the public, creating opportunities for meaningful and sustainable pro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