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의 공공외교 = Public Diplomacy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90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의 공공외교에 대한 관심은 중국이 경제적으로 강대국이 되는 2000년대 초부터 높아지고 있다. 현재 중국 공공외교는 크게 두 가지 목표 아래 추진되고 있다. 첫째, 국제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중국위협론’을 불식하기 위해 ‘평화부상’의 이미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중국이 유구한 문명을 가진 ‘세계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을 수 있도록 ‘문명국가’의 이미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특히, 현재 미·중 신냉전이 진행되면서, 중국은 소프트파워인 공공외교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
      한편, 중국 공공외교는 큰 잠재력이 있다. 풍부한 역사, 문화적 자산과 최근 경제적 성공에서 비롯되는 현대적 자산, 방대한 인적 자산 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의 공공외교에는 한계가 있다. 우선 중국은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갖고 있어 기본적으로 세계에 자신의 매력을 발산하는 데에 있어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국제적으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현란한 수사들을 그간 발신하여 왔으나, 이러한 수사들이 중국의 실제 행동과 부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중국에서의 공공외교에 대한 관심은 중국이 경제적으로 강대국이 되는 2000년대 초부터 높아지고 있다. 현재 중국 공공외교는 크게 두 가지 목표 아래 추진되고 있다. 첫째, 국제적으로 유행...

      중국에서의 공공외교에 대한 관심은 중국이 경제적으로 강대국이 되는 2000년대 초부터 높아지고 있다. 현재 중국 공공외교는 크게 두 가지 목표 아래 추진되고 있다. 첫째, 국제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중국위협론’을 불식하기 위해 ‘평화부상’의 이미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중국이 유구한 문명을 가진 ‘세계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을 수 있도록 ‘문명국가’의 이미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특히, 현재 미·중 신냉전이 진행되면서, 중국은 소프트파워인 공공외교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
      한편, 중국 공공외교는 큰 잠재력이 있다. 풍부한 역사, 문화적 자산과 최근 경제적 성공에서 비롯되는 현대적 자산, 방대한 인적 자산 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의 공공외교에는 한계가 있다. 우선 중국은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갖고 있어 기본적으로 세계에 자신의 매력을 발산하는 데에 있어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국제적으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현란한 수사들을 그간 발신하여 왔으나, 이러한 수사들이 중국의 실제 행동과 부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s shown much interest in ‘public diplomacy’ sinc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emerging economically. Now China’s public diplomacy has two goals. Firstly, China wishes to establish the image of ‘peaceful rise’ to dispel ‘China threat theory’ which currently persists internationally. Secondly, it wishes to set up the image of ‘civilized nation’ to be respected as a global teacher which has a long-standing civilization. Especially, China is relying heavily on public diplomacy which is soft power to win the on-going U.S.-China rivalry, ushering world into a new cold war.
      In the meantime, China’s public diplomacy has great potential thanks to abundant history, cultural asset, modern wealth resulting from recent economic success, and huge human resources. China’s public diplomacy, however, has its limits: Fundamentally, it has difficulty in propagating its charm due to its own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Futhermore, the image of China is deteriorating gradually worldwide because China’s actual actions do not match its rhetorics, while China has been propagating ‘beautiful’ rhetorics.
      번역하기

      China has shown much interest in ‘public diplomacy’ sinc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emerging economically. Now China’s public diplomacy has two goals. Firstly, China wishes to establish the image of ‘peaceful rise’ to dispel ‘China thr...

      China has shown much interest in ‘public diplomacy’ sinc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emerging economically. Now China’s public diplomacy has two goals. Firstly, China wishes to establish the image of ‘peaceful rise’ to dispel ‘China threat theory’ which currently persists internationally. Secondly, it wishes to set up the image of ‘civilized nation’ to be respected as a global teacher which has a long-standing civilization. Especially, China is relying heavily on public diplomacy which is soft power to win the on-going U.S.-China rivalry, ushering world into a new cold war.
      In the meantime, China’s public diplomacy has great potential thanks to abundant history, cultural asset, modern wealth resulting from recent economic success, and huge human resources. China’s public diplomacy, however, has its limits: Fundamentally, it has difficulty in propagating its charm due to its own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Futhermore, the image of China is deteriorating gradually worldwide because China’s actual actions do not match its rhetorics, while China has been propagating ‘beautiful’ rhetor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