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법적 지위와 인권 = Legal Status and Human Righ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6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연구이동양상은 과거 산업사회에서 ‘농촌에서 도시로의 연구이동’과 달리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는 추세에 있다. 단일민족 주의의 전통이 강조되...

      오늘날 연구이동양상은 과거 산업사회에서 ‘농촌에서 도시로의 연구이동’과 달리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는 추세에 있다. 단일민족 주의의 전통이 강조되던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특히 국제결혼을 통하여 국경을 넘어온 이주여성과 한국인 가족들은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고, 그로 인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겪고 있다. ‘결혼이주여성’ 역시 장밋빛 꿈을 안고 이역만리 타국으로 시집을 왔지만, 그들에게는 대한민국 남성의 아내가 되고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아가기까지는 많은 문제의 산들이 가로 막고 있다. 본문은 먼저 대한민국 국민과의 결혼을 통하여 유입된 결혼이주여성들을 중심으로 야기되는 여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이들에 대한 국제인권규범과 국가의 적절한 법적 보호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침해실태를 점검하고, 다음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대한민국에서 가질 수 있는 법적 지위를 검토 해 보고 국제인권규범들은 어떻게 이들을 보호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권향상을 위해 관련 법률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industrial society, population movement tended to proceed from 'rural areas to cities.' On the other hand, today's migration of population is on the tendency to move from 'one country to the other country' beyond national boundaries. Korea...

      In the past industrial society, population movement tended to proceed from 'rural areas to cities.' On the other hand, today's migration of population is on the tendency to move from 'one country to the other country' beyond national boundaries. Korea has had a traditional notion of single-ethnic nationalism for a long time, but it began to change differently with a gradual increase of foreign immigrants into Korea, especially female immigrant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ince the year 2000. These female immigrants and their Korean families experience a various ' cultural difference' and considerable problems arising out of it. Female marriage immigrants find themselves to have lots of problems in front of them as well until they can get accustomed to their new life in Korea as a wife of Korean man and a member of Korea.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ose problems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faced with, and examines into legal protection measure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human rights for them. In order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they are experiencing now in Korea, this study (ⅰ)checks the actual condi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have occurred to female marriage immigrants; (ⅱ) considers a legal status that they are entitled to have in Korea;(ⅲ) examines into how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human rights protect these foreign immigrant women; and lastly, (ⅳ) deals with legal problems and solutions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시작하며
      • Ⅱ.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및 인권침해 현황
      • Ⅲ. 국제결혼과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 Ⅳ. 결혼이주여성의 법적 지위와 국가의 보호의무
      • 국문요약
      • Ⅰ. 시작하며
      • Ⅱ.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및 인권침해 현황
      • Ⅲ. 국제결혼과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 Ⅳ. 결혼이주여성의 법적 지위와 국가의 보호의무
      • Ⅴ. 결혼이주여성의 인권향상을 위한 방향모색
      • Ⅵ. 마치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05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3

      4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4

      5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5

      6 법무부, "출입국ㆍ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0

      7 표명환, "재한 결혼이주여성의 국가적 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97-120, 2009

      8 김상임,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2005

      9 김유경,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건연구원 2008

      10 김선택, "다문화사회와 헌법" 한국헌법학회 16 (16): 1-41, 2010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05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3

      4 강경근, "헌법" 법문사 2004

      5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5

      6 법무부, "출입국ㆍ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0

      7 표명환, "재한 결혼이주여성의 국가적 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97-120, 2009

      8 김상임,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2005

      9 김유경,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건연구원 2008

      10 김선택, "다문화사회와 헌법" 한국헌법학회 16 (16): 1-41, 2010

      11 조홍석, "다문화사회와 인권법" 더불어 사는 세상 (152) : 2010

      12 홍성필, "국제인권과 결혼이주" 한국법학원 (96) : 27-42, 2007

      13 김옥연,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피해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대학복음화학회 14 : 2009

      14 박 선 영, "移住女性과 그 子女의 人權" 한국법학원 (96) : 7-26, 2007

      15 소 라 미, "指定討論 要旨" 한국법학원 (96) : 43-53, 2007

      16 Tomoko Nakamatsu, "International Marriage through Introduction Agencies: Social and Legal Lealities of 'Asian' Wives of Japanese Men" Wife or Worker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