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거점 공공청사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Buildings as a Regional Hub - Focus on the Foreign Cas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2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emerged, the public has enjoyed mor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culture, and leisure and become interested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public spaces and programs through which they can communicate. However, the govern...

      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emerged, the public has enjoyed mor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culture, and leisure and become interested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public spaces and programs through which they can communicate. However, the government building has not flexibly coped with such demands and has been only used when necessary with its standardized spatial composition and progra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government buildings as regional hubs where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occur as well as public goods representing a region and conducting its administrative work where local residents can have pride. We aim to use the study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building.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regional hub can be realized through organic relations of spatial, visual, continuous, approach, empirical, organic, behavioral and perceptual expression. The excellent examples of the foreign government buildings as regional hubs classify programs as follows: publicity, local, and symbol programs. The spatial composition is divided into mutual exchange space, public support space, educational information space, and activity space.
      Layout the government buildings are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entrance to the government buildings and public communication space: courtyard type, integrated type, separate type, and contact type. Plans are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the bottom shape and function of the lower layer: distributed type, central type, and eccentric type. Façades are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the relations with the surrounding and material properties and composition: pattern types and regional-adaptation types. Sections are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spatial composition type: atrium type, aisle type, square type, and hybrid type.
      The government offices as regional hubs should be open space that reflect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regions. They should promote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differentiated space and programs and change from non-daily places to daily pla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경, "환경-행위연구와 건축, 도시설계의 방향" 대한건축학회 29 (29): 1985

      2 이슬기,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용도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3 (3): 2008

      3 전석환, "장소의 역사 지리적 탐색을 통한 건축적 재현 과정에 대한 연구 : 팔림프레스트의 개념적 유추를 통한 장소의 재사회화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4 권영재, "장소기억을 활용한 공공적 장소성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2016

      5 박항섭, "일본 공공청사의 지역거점 공간 표현에관한 연구" (56) : 2016

      6 고정수, "유기적 도시건축의 해석에 관한 연구" 21 (21): 2001

      7 우준형, "도시 이미지 속의 Figure&Ground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공공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28 (28): 2008

      8 Christian Norberg-Schultz, "근대건축의 근원 : 공간예술사" 1991

      9 William. J. R. Curtis, "근대건축과 그 계승 : 건축문화" 1989

      10 김예진,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16 (16): 2006

      1 김상경, "환경-행위연구와 건축, 도시설계의 방향" 대한건축학회 29 (29): 1985

      2 이슬기,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용도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3 (3): 2008

      3 전석환, "장소의 역사 지리적 탐색을 통한 건축적 재현 과정에 대한 연구 : 팔림프레스트의 개념적 유추를 통한 장소의 재사회화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4 권영재, "장소기억을 활용한 공공적 장소성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2016

      5 박항섭, "일본 공공청사의 지역거점 공간 표현에관한 연구" (56) : 2016

      6 고정수, "유기적 도시건축의 해석에 관한 연구" 21 (21): 2001

      7 우준형, "도시 이미지 속의 Figure&Ground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공공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28 (28): 2008

      8 Christian Norberg-Schultz, "근대건축의 근원 : 공간예술사" 1991

      9 William. J. R. Curtis, "근대건축과 그 계승 : 건축문화" 1989

      10 김예진,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16 (16): 2006

      11 Jurgen Joedick, "건축의 법칙 : 미건사" 1995

      12 "新建築, 2016.4 / 2015.12 / 2012.7"

      13 "www.archdaily.com"

      14 Alex Wall, "Programming the Urban Surface" Princeton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