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命理學 年柱 基準에 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15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사 이래 인간은 미래에 대한 불투명성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끊임없이 추구하였으며, 미래를 점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특히 다양한 점의 방식 중 사주 명리학은 수천 년 동안 동양 문화권에서 전해오며 보편적이고 독자적인 학문체계를 구축하며 꾸준히 탐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주 명리학의 연주기준은 古 문헌적으로 천문학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었음에도 활용되지 못하고 전래 된 인식대로 검증 없이 답습되어왔음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주 세수 기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즉 사주의 연주기준은 입춘 기준이 아닌 동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주 연주기준에 대하여 의문의 여지 없이 당연하게도 입춘을 기준으로 삼아 온 것에 대한 신선한 反動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들어 명리학 분야는 기존의 인문학적 인식에서 벗어나 과학적 사고를 도입하여 재해석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구태의연한 모습에서 새로운 인식의 접근으로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溫故知新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주 명리의 연주기준으로 전래적으로 적용되어 온 입춘과 동지 기준에 대한 근거 자료를 통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입춘의 경우 천문학적 근거는 없으나 동지의 경우 천문학적 근거가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이 사주 명리학의 세수 기준은 명리학의 근원적인 문제를 되짚어 사유하는 데 있어 매우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유사 이래 인간은 미래에 대한 불투명성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끊임없이 추구하였으며, 미래를 점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특히 다양한 점의 방식 중 사주 명리학은 수천 ...

      유사 이래 인간은 미래에 대한 불투명성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 끊임없이 추구하였으며, 미래를 점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특히 다양한 점의 방식 중 사주 명리학은 수천 년 동안 동양 문화권에서 전해오며 보편적이고 독자적인 학문체계를 구축하며 꾸준히 탐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주 명리학의 연주기준은 古 문헌적으로 천문학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었음에도 활용되지 못하고 전래 된 인식대로 검증 없이 답습되어왔음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주 세수 기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즉 사주의 연주기준은 입춘 기준이 아닌 동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주 연주기준에 대하여 의문의 여지 없이 당연하게도 입춘을 기준으로 삼아 온 것에 대한 신선한 反動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들어 명리학 분야는 기존의 인문학적 인식에서 벗어나 과학적 사고를 도입하여 재해석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구태의연한 모습에서 새로운 인식의 접근으로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溫故知新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주 명리의 연주기준으로 전래적으로 적용되어 온 입춘과 동지 기준에 대한 근거 자료를 통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입춘의 경우 천문학적 근거는 없으나 동지의 경우 천문학적 근거가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이 사주 명리학의 세수 기준은 명리학의 근원적인 문제를 되짚어 사유하는 데 있어 매우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dawn of history a man has been searching for the way to anticipate the future and the way has diversely developed. In particular both Saju and Myungri science have been inherited over thousand years and steadily investigated to build a general and individual academy. However,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and Myungri science have rarely been used even though ancient East Asian classics gave astronomical reasons and been followed without verification.
      There was an argument about the standards of Saju, That being said,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should not follow Lichun(onset of spring) but Dongji(winter solstice), which is a new counteraction against the standards of Lichun(onset of spring) without a doubt.
      The Myungri science has recently tried to avoid conventional humanities and introduce scientific awareness in order to reinterpret itself, which is a new approach everyone could admit for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is study was set to compare Lichun(onset of spring) with Dongji(winter solstice) which have been applied to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and Myungri in order to verify the fact that Lichun(onset of spring) does not have astronomical reasons but Dongji(winter solstice) does. The standards of Saju and Myungri are very worth understanding the original problems of Myungri.
      번역하기

      Since the dawn of history a man has been searching for the way to anticipate the future and the way has diversely developed. In particular both Saju and Myungri science have been inherited over thousand years and steadily investigated to build a gener...

      Since the dawn of history a man has been searching for the way to anticipate the future and the way has diversely developed. In particular both Saju and Myungri science have been inherited over thousand years and steadily investigated to build a general and individual academy. However,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and Myungri science have rarely been used even though ancient East Asian classics gave astronomical reasons and been followed without verification.
      There was an argument about the standards of Saju, That being said,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should not follow Lichun(onset of spring) but Dongji(winter solstice), which is a new counteraction against the standards of Lichun(onset of spring) without a doubt.
      The Myungri science has recently tried to avoid conventional humanities and introduce scientific awareness in order to reinterpret itself, which is a new approach everyone could admit for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is study was set to compare Lichun(onset of spring) with Dongji(winter solstice) which have been applied to the standards of year pillars for Saju and Myungri in order to verify the fact that Lichun(onset of spring) does not have astronomical reasons but Dongji(winter solstice) does. The standards of Saju and Myungri are very worth understanding the original problems of Myungr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歲首의 淵源과 사주 歲首의 紀元
      • Ⅲ. 사주 연주기준과 立春
      • Ⅳ. 사주 연주기준과 冬至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歲首의 淵源과 사주 歲首의 紀元
      • Ⅲ. 사주 연주기준과 立春
      • Ⅳ. 사주 연주기준과 冬至
      •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