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광주 이씨 시조와 본관에 대한 쟁점 검토 = A Review of Issues on the Progenitor of Gwangju Lee C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case of Gwangju Le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rocess of compiling a genealogy. By compiling the Gyeongsulbo in 1610, the Dunchon Yi Clan's descendents took the initiative in the genealogy project. Gyeongsulbo worked with the benefits ...

      With the case of Gwangju Le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rocess of compiling a genealogy. By compiling the Gyeongsulbo in 1610, the Dunchon Yi Clan's descendents took the initiative in the genealogy project. Gyeongsulbo worked with the benefits and drawbacks that were not specifically related to Dunchon separately because he wanted to use Dunchon Lee Jip as its founder.
      Gapjinbo w as p ut toget her in 1 724 b y Dunchon's descendants.
      Banggye, which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Dunchon, was also asked t o be i ncluded in t he g enealogy d uring t he process, but i t was disappointed. Then, in 1725, Banggye released Eulsabo on his own. This Eulsabo, who has little historical support, proposed the sijo as a stronghold of interest during the Silla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광주 이씨의 사례를 통해 족보 편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둔촌 이집의 후예들은 1610년 경술보를 편찬함으로써 족보 편찬을 주도했다. 경술보는 둔촌 이집을 시조로 삼...

      본 연구의 목표는 광주 이씨의 사례를 통해 족보 편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둔촌 이집의 후예들은 1610년 경술보를 편찬함으로써 족보 편찬을 주도했다.
      경술보는 둔촌 이집을 시조로 삼고자 하는 욕망이 앞섰기 때문에, 둔촌과 직접적으로 연계가 되지 않은 이점과 이손 등은 별도로 처리하였다. 1724년 둔촌의 후예들은 갑진보를 편찬하였다. 이 과정에서 둔촌과 직접적인 연계가 되지 않은방계 역시 족보에 넣어줄 것을 요청하였지만 좌절되었다. 그러자 방계는 1725년을사보를 따로 간행하였다. 이 을사보는 시조를 신라 시기의 이자성으로 내세웠는데, 역사적 근거가 희박한 인물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