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 =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46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 교육의 핵심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화자와 청자 사이의 표현-이해된 언어적 정보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문화의 한 영역인 언어 표현과 이해의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즉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이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이라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단원 항목을 10가지로 분류하여, 이미 서술한 5개 단원을 제외한 5개 문화 단원에 대한 구성(안)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룬 한국문화 단원은 ‘종교, 민속, 관광, 언어, 문학’의 다섯 가지로, 각각 2 내지 3개의 소주제로 분류하였다. 소주제의 내용들은 전체와 부분 또는 시간적 순서와 병렬적 구성 방식으로 서술하였다.
      둘째, ‘한국의 종교문화’는 무속신앙에서부터 유교, 불교, 도교 그리고 천주교, 기독교를 포함하여 우리 전통사상에 기반을 둔 신흥종교가 그 대상이다.
      셋째, ‘한국인의 삶과 생활’은 한국의 전통과 민속에 대한 단원이다. 한국인의 통과의례, 농경사회의 삶과 명절, 그리고 의・식・주를 대상으로 한다.
      넷째, ‘한국의 관광문화’는 관광자원으로서의 한국의 자연을 다룬다. 한국의 고궁과 박물관, 발전하는 한국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을 대상으로 한다.
      다섯째, ‘한국의 언어문화’는 한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적 특징을 알아보고, 세종대왕(한글)과 관용어구나 속담 등의 문화적 이해를 대상으로 한다.
      여섯째, ‘한국 문학’은 한국적 정서가 짙은 작품을 중심으로 한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며, 한국 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상 본 연구는 5개 문화 항목에 대한 단원 구성(안)에 대한 고찰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의 단원 구성과 내용 형성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언어 교육의 핵심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화자와 청자 사이의 표현-이해된 언어적 정보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문화의 한 영역인 언어 표현과 이해의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

      언어 교육의 핵심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화자와 청자 사이의 표현-이해된 언어적 정보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문화의 한 영역인 언어 표현과 이해의 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즉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이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이라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단원 항목을 10가지로 분류하여, 이미 서술한 5개 단원을 제외한 5개 문화 단원에 대한 구성(안)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룬 한국문화 단원은 ‘종교, 민속, 관광, 언어, 문학’의 다섯 가지로, 각각 2 내지 3개의 소주제로 분류하였다. 소주제의 내용들은 전체와 부분 또는 시간적 순서와 병렬적 구성 방식으로 서술하였다.
      둘째, ‘한국의 종교문화’는 무속신앙에서부터 유교, 불교, 도교 그리고 천주교, 기독교를 포함하여 우리 전통사상에 기반을 둔 신흥종교가 그 대상이다.
      셋째, ‘한국인의 삶과 생활’은 한국의 전통과 민속에 대한 단원이다. 한국인의 통과의례, 농경사회의 삶과 명절, 그리고 의・식・주를 대상으로 한다.
      넷째, ‘한국의 관광문화’는 관광자원으로서의 한국의 자연을 다룬다. 한국의 고궁과 박물관, 발전하는 한국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을 대상으로 한다.
      다섯째, ‘한국의 언어문화’는 한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적 특징을 알아보고, 세종대왕(한글)과 관용어구나 속담 등의 문화적 이해를 대상으로 한다.
      여섯째, ‘한국 문학’은 한국적 정서가 짙은 작품을 중심으로 한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며, 한국 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상 본 연구는 5개 문화 항목에 대한 단원 구성(안)에 대한 고찰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의 단원 구성과 내용 형성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has the character of basic work for the writing work of five items of the follow-up as a follow-up work of Kim, Jin Ho (2011) for the Korean culture items and its contents and concrete description to focus Korean cultures only professionally except for language education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as for a large theme of Korean culture, it was selected five items, that is, ‘religion of Korea’, ‘life and live of Korean people’, ‘sightseeing culture of Korea’, ‘language culture of Korea’, and ‘literature of Korea’.
      Second, each theme selected as large them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middle themes, and the middle themes was consisted of sub contents again. In this case, the upper contents and sub contents premise time but the other things premise the classification of upper and sub.
      Third, the concrete method to use these is thinking–conversatio n-text-reading materials-vocabulary, grammar-practice, applicat ion’. It is because at the thought not to get out of framework of Korean learning of regular course as much as possible.
      Now, it was considered cultural contents and system and the descriptive methods for five cultural items as an intensive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discussion would be a faithful guide at the concrete writing process of Korean cul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has the character of basic work for the writing work of five items of the follow-up as a follow-up work of Kim, Jin Ho (2011) for the Korean culture items and its contents and concrete description to focus Korean cultures only professional...

      This thesis has the character of basic work for the writing work of five items of the follow-up as a follow-up work of Kim, Jin Ho (2011) for the Korean culture items and its contents and concrete description to focus Korean cultures only professionally except for language education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as for a large theme of Korean culture, it was selected five items, that is, ‘religion of Korea’, ‘life and live of Korean people’, ‘sightseeing culture of Korea’, ‘language culture of Korea’, and ‘literature of Korea’.
      Second, each theme selected as large them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middle themes, and the middle themes was consisted of sub contents again. In this case, the upper contents and sub contents premise time but the other things premise the classification of upper and sub.
      Third, the concrete method to use these is thinking–conversatio n-text-reading materials-vocabulary, grammar-practice, applicat ion’. It is because at the thought not to get out of framework of Korean learning of regular course as much as possible.
      Now, it was considered cultural contents and system and the descriptive methods for five cultural items as an intensive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discussion would be a faithful guide at the concrete writing process of Korean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 (1): 2004

      2 박숙자,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 (1): 2004

      3 박영순,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4 김진호,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 항목 연구" 한말연구학회 (27) : 63-91, 2010

      5 한상미,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육 방안-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 방법론의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99

      6 김정은, "한국어교육론 2" 2005

      7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한글학회 10 : 1997

      8 이석주,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단계별 목록 작성 시고" 이중언어학회 (21) : 19-44, 2002

      9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2004

      10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 1996

      1 이미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 (1): 2004

      2 박숙자,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 (1): 2004

      3 박영순,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4 김진호,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 항목 연구" 한말연구학회 (27) : 63-91, 2010

      5 한상미,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육 방안-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 방법론의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99

      6 김정은, "한국어교육론 2" 2005

      7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한글학회 10 : 1997

      8 이석주,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단계별 목록 작성 시고" 이중언어학회 (21) : 19-44, 2002

      9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2004

      10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 1996

      11 이승연, "한국문화교육론" 하우 2021

      12 강승혜, "한국문화 교육론" 형설출판사 2018

      13 박한나,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박이정 2009

      14 김진호, "읽고 찾아가 보는 한국문화" 지식과교양 2012

      15 박성현, "요약하며 읽어보는 한국, 한국인" 아름다운 한국어학교 2009

      16 이선이, "외국인을 위한 한국현대문화" 한국문화사 2007

      17 김진호,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상)" 역락출판사 2011

      18 권영민,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읽기" 아름다운 한국어학교 2009

      19 조재윤,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길라잡이" 박이정 2009

      20 양승국,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30강" 박이정 2014

      21 김중섭,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이중언어학회 (27) : 59-85, 2005

      22 선이, "외국인을 위한 살아있는 한국현대문화" 한국문화사 2022

      23 신윤경, "외국인을 위한 문화와 함께 읽는 한국 문학" 하우 2018

      24 김천미, "외국인을 위한 TV와 영화 속 한국 문화 찾기 K-pop에서 한국 역사까지" 동문사 2022

      25 임경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역락 2015

      26 김영만,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고급반 수업 구성 방안" 한말연구학회 (27) : 41-61, 2010

      27 한상미, "문화 교육 방법론 2" 2005

      28 김동욱, "국문학개설" 보성출판사 1992

      29 조항록,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과제" 한신문화사 2002

      30 민현식, "(한)국어 문화교육의 개념과 실천 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