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가사지론」<성문지>의 입출식념 = Mindfulness of Breating in the Sravakabhum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4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의 호흡법, 정확하게는 입출식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전해지고 있다. 초기 경전에 나타난 16단계 입출식념과,「안반수의경」 등에 보이는 6단계 입출식념이 그것이다. 이 두가지 입출...

      불교의 호흡법, 정확하게는 입출식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전해지고 있다. 초기 경전에 나타난 16단계 입출식념과,「안반수의경」 등에 보이는 6단계 입출식념이 그것이다. 이 두가지 입출식념은 어느 정도 대중적으로 도 알려져 있지만,「유가사지론」<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은 아직 소개조차 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입출식념에 대한 포괄적 연구에 앞서, <성 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 글이다. 초기경전에서 입출식념은 그 자체로 완결된 수행법으로서 아라한과까지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주류불교의 체계적 수행도에서 그것은 예비적 과정으로 배치되고 대승불교에서는 거의 무시되었지만, 안반수의 경등의 선경류에서는 여전히 중시되었다. 그러나 선경류의 입출식념은 초기불전의 16단계 입출식념이 아니라 서북인도 유가사들이 창안한 6단계 입출식념이 중심이 되고 있다.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은 호흡의 숫자세기와 따라가기 및 고정시키기 라는 3단계에 5온과 4제의 관찰이라는 출세간도의 3단계가 결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6단계 입출식념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5단계 입출식념을 발전시켰다. 체계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선경류의 6단계 입출 식념을 계승하면서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을 통합한 것이다. 이로써 선 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과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은 단순한 병치의 수준 을 넘어, 수행계위에 따른 단일한 하나의 체계로 성립하게 되었다. 내용적으로 <성문지>의 입출식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호흡을 세 는 방법 자체를 매우 정교화하여 삼매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고 있다. 이를 통해 체계상으로는 6단계 입출식념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를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입출식념에 勝解라는 별개의 방법을 결합시킨 점이 흥미롭다. <성문지>가 승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여타의 수행법과 결합시킨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필자는 여기서 조심스럽게 대승적 관념의 영향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성문지>의 입출식념 은 그 구체적인 실례의 하나로서 전통적 수행법의 대승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의 좋은 소재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wo kinds of systems regarding breathing tec hniques, more precisely mindfulness of breathing(Sanskrit, anapanasmrti; Pali, anapanasati), in Buddhist tradition: one is a system of 1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 early Buddhis...

      There are two kinds of systems regarding breathing tec hniques, more precisely mindfulness of breathing(Sanskrit, anapanasmrti; Pali, anapanasati), in Buddhist tradition: one is a system of 1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 early Buddhist canons, and the other is that of 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introduced in An ban shou yi jing. While these two kinds are relatively well-known, the five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is not yet to b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efore to exhaustive research on mindfulness of breathing, to make a presentation of this 5-stage-system propounded in Sravakabhumi. In earlier canons, mindfulness of breathing itself was regarded as a completed practice system which leads one to attain the status of Arhat. Even though relocated into the prerequisite stages in the highly systematized practical methods of Mainstream Buddhism, yet again, almost ignored in Mahayana Buddhism, it is still emphasized in a group of Dhyana sutras, such as An ban shou yi jing and etc.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se Dhyana sutras is not based on the 16-stage-system in earlier tradition, but on the 6-stage model originated in the yogacaras in northwestern India. In the 6-stage-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ppeared in Dhyana sutras, the first 3 stages, consisting of procedures such as, counting breaths, following up and fixation, are combined with the last 3 stages of the pats of supramudane, which indicates the observation on Five aggregates and the Four noble truths. Contrastingly,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based on the six-step model, though, proceeds to elaborate its unique 5-state 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ystematic aspects,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successes the 6-stage system of Dhyana sutras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d the traditional 16-stage model. Thereafter, the 6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nd that of traditional 16-stage model go beyond the level of being simply juxtaposed two separate systems, and become newly established as a sole system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actice. The characteristic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it highly sophisticated the breath-counting technique itself as a main method of attaining a samadhi state. In this manner, the 2nd and 3rd steps in the 6-stage model can be systematically leaped over. Next,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an individual method, namely adhimoksa (勝解, visualization), has been combined with mindfulness of breathing. There can be various reasons why Sravakabhumi positively evaluates visualization and integrates it into the other practical methods. I carefully suggests the influence of Mahayana notions as an aspect to be concerned. If so,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might serve as a good example of decent materials in the field of researching on Mahayanization of traditional practical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1.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
      • 2. <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
      • 결론
      • 서론
      • 1.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
      • 2. <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
      •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