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중단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fo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0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rom December 8 to 23, 201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31 theme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10 theme clusters were categorized from these. And these clusters were divided into 3 domains : 'before school dropout', 'causes & process of school dropout, feeling about school dropout', 'after school dropout'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uffered from hard school life, disappointing lead from teachers, stereotypical lesson. And they committed misdeeds, and ha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parents, some of them did not.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while some of them did not.
      Second, they chose dropout due to various different causes. The procedures of school dropout proceeded with comparative ease. The effect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 is very limited. The feeling they felt at the time of school dropout varied individually. Some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tisfied while others were stressed out, regretting their decision.
      Third, they lived diligently working part-time jobs or preparing General Equivalency Diploma (GED) test after dropou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after dropout. But sometimes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nd negative changes. Most of them had their goals, and they were preparing for them. Their expectation was low that their life will succeed if they returned to school. They wanted people to understand their decision about dropout. And multiple institutions are supporti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y need practical support : Various information, activity for career experience, counseling et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fo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0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chool dropou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fo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10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rom December 8 to 23, 201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31 theme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And 10 theme clusters were categorized from these. And these clusters were divided into 3 domains : 'before school dropout', 'causes & process of school dropout, feeling about school dropout', 'after school dropout'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uffered from hard school life, disappointing lead from teachers, stereotypical lesson. And they committed misdeeds, and ha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parents, some of them did not. Some of them kept up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while some of them did not.
      Second, they chose dropout due to various different causes. The procedures of school dropout proceeded with comparative ease. The effect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 is very limited. The feeling they felt at the time of school dropout varied individually. Some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tisfied while others were stressed out, regretting their decision.
      Third, they lived diligently working part-time jobs or preparing General Equivalency Diploma (GED) test after dropou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after dropout. But sometimes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nd negative changes. Most of them had their goals, and they were preparing for them. Their expectation was low that their life will succeed if they returned to school. They wanted people to understand their decision about dropout. And multiple institutions are supporti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y need practical support : Various information, activity for career experience, counseling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 이전의 생활, 학업중단의 원인과 과정,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과 지원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10명과 2018년 12월 8일부터 23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0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31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 주제들을 3개 영역의 10개 주제 묶음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재학 중 고단한 학교생활과 답답한 분위기 속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교사의 지도와 틀에 박힌 수업을 받는 것에 힘들어하거나 비행경험과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우, 교사, 가족 관계가 좋은 학업중단자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학업중단자들은 원만하지 못한 관계로 인하여 힘들어 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학업중단을 선택하였다.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이 학업중단을 처음 생각한 시기는 매우 이른 경우도 있었으며, 학업중단 절차는 비교적 쉽게 진행되며, 그 과정에서 학업중단숙려제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교를 그만둘 때 개인에 따라 다양한 심정이었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만족하는 자도, 후회하거나 아쉬워하는 자도 있었으며, 학업중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자도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업중단 이후 아르바이트나 검정고시 준비 등을 하며 열심히 생활하고 있었다. 그들은 학업중단 후 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다양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자기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복교에 대한 성공기대는 낮았다. 또한, 그들은 주변이 학업중단을 이해해주고, 믿고 지켜봐주길 바랐다. 현재 학교 밖의 여러 기관에서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들을 위해 다양한 정보 제공, 직업체험 활동, 상담 복지 등에 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 이전의 생활, 학업중단의 원인과 과정,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과 지원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10명과 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 이전의 생활, 학업중단의 원인과 과정, 학업중단 이후의 생활과 지원 등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 학업중단자 10명과 2018년 12월 8일부터 23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20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31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 주제들을 3개 영역의 10개 주제 묶음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재학 중 고단한 학교생활과 답답한 분위기 속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교사의 지도와 틀에 박힌 수업을 받는 것에 힘들어하거나 비행경험과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교우, 교사, 가족 관계가 좋은 학업중단자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학업중단자들은 원만하지 못한 관계로 인하여 힘들어 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학업중단을 선택하였다.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이 학업중단을 처음 생각한 시기는 매우 이른 경우도 있었으며, 학업중단 절차는 비교적 쉽게 진행되며, 그 과정에서 학업중단숙려제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교를 그만둘 때 개인에 따라 다양한 심정이었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만족하는 자도, 후회하거나 아쉬워하는 자도 있었으며, 학업중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자도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은 학업중단 이후 아르바이트나 검정고시 준비 등을 하며 열심히 생활하고 있었다. 그들은 학업중단 후 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다양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자기 나름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복교에 대한 성공기대는 낮았다. 또한, 그들은 주변이 학업중단을 이해해주고, 믿고 지켜봐주길 바랐다. 현재 학교 밖의 여러 기관에서 특성화고 학업중단자들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들을 위해 다양한 정보 제공, 직업체험 활동, 상담 복지 등에 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현실요법을 적용한 학업중단예방 집단상담이 특성화고 학업중단숙려제대상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오혜영, "학업중단청소년 학업복귀 강화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2011

      3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교육부, "학업중단 위기학생을 위한 예방 길라잡이"

      10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1 김동일, "현실요법을 적용한 학업중단예방 집단상담이 특성화고 학업중단숙려제대상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오혜영, "학업중단청소년 학업복귀 강화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2011

      3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교육부, "학업중단 위기학생을 위한 예방 길라잡이"

      10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11 유진이,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심리적 지도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29-257, 2009

      12 최동선,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13 김현주, "학교사회사업 도입을 위한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4 백승호,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부터 통합적 지원을 받은 학업중단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금명자, "학교밖청소년 욕구조사, 학교밖 청소년 길찾기" 21-44, 2004

      16 교육부, "학교 중도 탈락자 예방 종합대책" 교육부 1996

      17 조성국,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과정과 자립준비 경험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18 이백령,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임유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16, 2014

      20 김미영, "특성화고 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과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1 이명훈, "충남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충남교육청 2018

      22 김동하, "청소년의 학업중단위기 극복 경험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09-133, 2018

      23 이은자,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연구- H청소년대안센터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상담학회 18 (18): 213-237, 2017

      24 황한석, "청소년의 학교중퇴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안양시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25 전은진, "청소년기 자발적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과 대학진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26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27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8 조용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29 정제영, "지역규모에 따른 고등학생 학업중단의 학교요인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76-94, 2017

      30 김문태,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적응 과정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31 문선화, "중등학교 중퇴자의 학교복귀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 접근방안" 3 : 85-112, 2000

      32 김경숙, "중․고등학교의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경험하는 소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53-285, 2016

      33 서원석, "중·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 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5 (15): 92-112, 2015

      34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35 김정희, "저경력 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생활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6 손병덕, "잠재적 학교 밖(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통합지원체계 모형 개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97-221, 2017

      37 나옥자, "실업계고등학교 잠재적 중도탈락자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 서울 D공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8 김신영, "무엇이 이들의 학교복귀를 가로막고 있는가? -학업중단 청소년 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79-205, 2014

      39 류진아, "도농복합지역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질적연구: 생태체계적 요인 및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63-187, 2015

      4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꿈드림 소개"

      41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8"

      42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3"

      43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08"

      44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03"

      45 김기화, "교사의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도경험과 학교 내 예방체계 구축 방안" 교육연구소 23 (23): 273-294, 2017

      46 정연순,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개발원 35 (35): 79-102, 2008

      47 손득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비교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8 전경숙, "경기도 학교밖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013

      49 서우석, "경기도 실업계 고교 학생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활동 활성화 방안" 경기도 교육청 2001

      50 전경숙, "10대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