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동일, "현실요법을 적용한 학업중단예방 집단상담이 특성화고 학업중단숙려제대상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오혜영, "학업중단청소년 학업복귀 강화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2011
3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교육부, "학업중단 위기학생을 위한 예방 길라잡이"
10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1 김동일, "현실요법을 적용한 학업중단예방 집단상담이 특성화고 학업중단숙려제대상 남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 오혜영, "학업중단청소년 학업복귀 강화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2011
3 김영희,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4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8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9 교육부, "학업중단 위기학생을 위한 예방 길라잡이"
10 이주연,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9-267, 2015
11 유진이,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심리적 지도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29-257, 2009
12 최동선,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13 김현주, "학교사회사업 도입을 위한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14 백승호,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부터 통합적 지원을 받은 학업중단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금명자, "학교밖청소년 욕구조사, 학교밖 청소년 길찾기" 21-44, 2004
16 교육부, "학교 중도 탈락자 예방 종합대책" 교육부 1996
17 조성국,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과정과 자립준비 경험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18 이백령,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임유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16, 2014
20 김미영, "특성화고 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과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1 이명훈, "충남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충남교육청 2018
22 김동하, "청소년의 학업중단위기 극복 경험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09-133, 2018
23 이은자,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연구- H청소년대안센터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상담학회 18 (18): 213-237, 2017
24 황한석, "청소년의 학교중퇴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안양시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25 전은진, "청소년기 자발적 학업중단자의 학업중단과 대학진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26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27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8 조용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29 정제영, "지역규모에 따른 고등학생 학업중단의 학교요인 탐색" 교육연구소 18 (18): 76-94, 2017
30 김문태,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적응 과정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31 문선화, "중등학교 중퇴자의 학교복귀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 접근방안" 3 : 85-112, 2000
32 김경숙, "중․고등학교의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경험하는 소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53-285, 2016
33 서원석, "중·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 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5 (15): 92-112, 2015
34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35 김정희, "저경력 교사가 경험하는 교직생활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6 손병덕, "잠재적 학교 밖(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통합지원체계 모형 개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97-221, 2017
37 나옥자, "실업계고등학교 잠재적 중도탈락자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 서울 D공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8 김신영, "무엇이 이들의 학교복귀를 가로막고 있는가? -학업중단 청소년 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79-205, 2014
39 류진아, "도농복합지역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질적연구: 생태체계적 요인 및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63-187, 2015
4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꿈드림 소개"
41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8"
42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3"
43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08"
44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03"
45 김기화, "교사의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도경험과 학교 내 예방체계 구축 방안" 교육연구소 23 (23): 273-294, 2017
46 정연순,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개발원 35 (35): 79-102, 2008
47 손득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비교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8 전경숙, "경기도 학교밖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013
49 서우석, "경기도 실업계 고교 학생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활동 활성화 방안" 경기도 교육청 2001
50 전경숙, "10대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