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방공무원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가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 The impacts of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ers :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5047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9.7 판사항(6)

      • DDC

        158.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110장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주일
        권말부록: 방해성 스트레서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등
        참고문헌: 장 82-9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b stress is studied for a long time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his theme is essential especially fire officers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use job stres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of fire officer and suggest job crafting to cope with the job stress
      that they encounter their work setting.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hinde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er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requests for cooperation to fire department and fire office of all parts of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self-report instrument and open-ended questions. Self-report instrument is to measure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job crafting, job engagement,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n, open-ended questions are 2 questions to ask which events cause
      irritation, feeling of doubt of their job and stress in their work setting and then ask them to describe freely of ways to overcome the reason of job stress. All respondents to a questionnaire are 228 people and then eliminate the responses of 20 people for faithless answer or onresponse of many ques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show differe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job crafting is hav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f job characteristics given from their workplace are poor, they can improve quality of their job and satisfaction and decrease job stress through job crafting. In addition, the mediation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is found partially. This results implies the role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explanation from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as various meaning. First, this study divided job demands into two types and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So, this study found that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have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Second, this study is get out of job demands-resource model and job demands-control model and conducted contrastively about hindrance &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Thus, this study increases the value through the findings that the effect of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lso, this study can help development about social treatment, policies, job training for fire officers.
      번역하기

      Job stress is studied for a long time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his theme is essential especially fire officers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use job stres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indrance stresso...

      Job stress is studied for a long time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his theme is essential especially fire officers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use job stres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of fire officer and suggest job crafting to cope with the job stress
      that they encounter their work setting.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hinde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er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requests for cooperation to fire department and fire office of all parts of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self-report instrument and open-ended questions. Self-report instrument is to measure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job crafting, job engagement,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n, open-ended questions are 2 questions to ask which events cause
      irritation, feeling of doubt of their job and stress in their work setting and then ask them to describe freely of ways to overcome the reason of job stress. All respondents to a questionnaire are 228 people and then eliminate the responses of 20 people for faithless answer or onresponse of many ques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show differe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job crafting is hav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f job characteristics given from their workplace are poor, they can improve quality of their job and satisfaction and decrease job stress through job crafting. In addition, the mediation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is found partially. This results implies the role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explanation from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as various meaning. First, this study divided job demands into two types and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So, this study found that hindrance stressor and challenge stressor have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Second, this study is get out of job demands-resource model and job demands-control model and conducted contrastively about hindrance &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Thus, this study increases the value through the findings that the effect of hindrance stressor, challenge stressor and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lso, this study can help development about social treatment, policies, job training for fire offic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직무스트레스는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소방공무원과 같이 직무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스트레스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요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직무의미창조를 제안하고, 직무요구와 직무의미창조가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소방본부, 소방서에 유선으로 연락하여 연구 협조 요청을 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한 곳에 한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연구의 변인인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직무의미창조, 직무열의, 직무탈진,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소방 직무 수행 시 스트레스, 짜증, 회의감 등을 유발하는 사건과 평소에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것들에 대한 해소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답변을 얻었다. 총 248명의 응답이 온라인으로 수집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 무응답 문항이 많은 20명의 응답을 제거한 후 228명의 응답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직무요구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는 종속변인인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각각 다른 방향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방해성 스트레서는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대로 도전성 스트레서는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의미창조는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두 가지 유형의 스트레서를 통제한 후에도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이 하고 있는 직무의 특성이 과도하고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는 요구가 주어진다 하더라도, 직무의미 창조를 통해 직무요구가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가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열의, 직무탈진의 매개효과가 일부 나타났다. 방해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 직
      무탈진을 매개하여 모두 조직몰입까지 설명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까지 예측하진 못하였다. 도전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지만,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을 예측하진 못했다. 또한 직무열의,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까지 예측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의미창조는 직무열의,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을 설명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직무탈진만이 매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가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각기 다른 종류의 직무태도인 직무열의, 직무탈진 또한 그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방형 설문은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평소 소방 업무 수행 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유발 요인들을 평소에 어떠한 방법으로 해소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직무요구, 직무의미창조 이론에 기반하여 범주화를 한 뒤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여 질적 자료의 신뢰도를 높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한 차원에서만 연구하던 ‘직무요구’를 구체적으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스로 나누었다. 그 후 직무열의와 직무탈진과 같은 종업원의 직무태도를 통해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제를 밝혀내었다. 둘째, 기존의 직무요구-자원 모형, 직무요구-통제 모형 등 직무요구와 관련된 틀에서 벗어나 대조적인 차원인 직무요구와 직무의미창조를 함께 연구함으로써 직무요구가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직무의미창조가 보완해 줄 수 있음을 알아내어 그 가치를 더욱 높였다. 연구의 실무적인 의의로는 양적자료, 개방형 설문의 분석을 통해 실제로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요구에 대해서 탐색함으로써 전반적인 직무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열악한 근무 환경과 불공평한 대우 등으로 인하여 자주 대두가 되고 있는 소방공무원의 직무 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후에 소방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대우, 정책 개선, 직무 교육 및 훈련과 관련하여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직무스트레스는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소방공무원과 같이 직무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직업...

      직무스트레스는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주제로, 소방공무원과 같이 직무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것을 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직업에서의 스트레스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요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직무의미창조를 제안하고, 직무요구와 직무의미창조가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소방본부, 소방서에 유선으로 연락하여 연구 협조 요청을 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한 곳에 한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연구의 변인인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직무의미창조, 직무열의, 직무탈진,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소방 직무 수행 시 스트레스, 짜증, 회의감 등을 유발하는 사건과 평소에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것들에 대한 해소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답변을 얻었다. 총 248명의 응답이 온라인으로 수집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 무응답 문항이 많은 20명의 응답을 제거한 후 228명의 응답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직무요구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는 종속변인인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각각 다른 방향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방해성 스트레서는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대로 도전성 스트레서는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의미창조는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두 가지 유형의 스트레서를 통제한 후에도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이 하고 있는 직무의 특성이 과도하고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는 요구가 주어진다 하더라도, 직무의미 창조를 통해 직무요구가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가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열의, 직무탈진의 매개효과가 일부 나타났다. 방해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 직
      무탈진을 매개하여 모두 조직몰입까지 설명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까지 예측하진 못하였다. 도전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지만,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을 예측하진 못했다. 또한 직무열의,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까지 예측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의미창조는 직무열의, 직무탈진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을 설명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직무탈진만이 매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가 조직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각기 다른 종류의 직무태도인 직무열의, 직무탈진 또한 그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방형 설문은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평소 소방 업무 수행 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유발 요인들을 평소에 어떠한 방법으로 해소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직무요구, 직무의미창조 이론에 기반하여 범주화를 한 뒤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여 질적 자료의 신뢰도를 높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한 차원에서만 연구하던 ‘직무요구’를 구체적으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스로 나누었다. 그 후 직무열의와 직무탈진과 같은 종업원의 직무태도를 통해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제를 밝혀내었다. 둘째, 기존의 직무요구-자원 모형, 직무요구-통제 모형 등 직무요구와 관련된 틀에서 벗어나 대조적인 차원인 직무요구와 직무의미창조를 함께 연구함으로써 직무요구가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직무의미창조가 보완해 줄 수 있음을 알아내어 그 가치를 더욱 높였다. 연구의 실무적인 의의로는 양적자료, 개방형 설문의 분석을 통해 실제로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고 있는 직무요구에 대해서 탐색함으로써 전반적인 직무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열악한 근무 환경과 불공평한 대우 등으로 인하여 자주 대두가 되고 있는 소방공무원의 직무 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후에 소방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대우, 정책 개선, 직무 교육 및 훈련과 관련하여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1.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문제 5
      • 2. 직무요구 7
      • 1) 직무요구-자원 모형 7
      • I.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1.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문제 5
      • 2. 직무요구 7
      • 1) 직무요구-자원 모형 7
      • 2)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10
      • 3. 직무의미창조 11
      • 1) 직무의미창조의 정의 11
      • 2) 직무의미창조에 대한 선행 연구 13
      • 4.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 14
      • 1)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의 정의 14
      • 2)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대한 선행 연구 15
      • 3) 직무열의, 직무탈진과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17
      • 4) 직무열의, 직무탈진과 직무의미창조 18
      • 5. 조직몰입 19
      • 1) 조직몰입의 정의 19
      • 2) 조직몰입과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21
      • 3) 조직몰입과 직무의미창조 22
      • 4) 조직몰입과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 22
      • 6. 심리적 안녕감 23
      • 1) 심리적 안녕감의 정의 23
      • 2) 관련 변인들과의 구분 24
      • 3) 심리적 안녕감과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25
      • 4)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의미창조 26
      • 5)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 26
      • Ⅲ. 연구목적 28
      • 1. 연구목적 28
      • 2. 연구모형 29
      • 3. 연구가설 31
      • Ⅳ. 연구방법 33
      • 1. 연구대상 33
      • 2. 측정도구 35
      • 1) 방해성 스트레서 35
      • 2) 도전성 스트레서 37
      • 3) 직무의미창조 38
      • 4) 직무열의 38
      • 5) 직무탈진 39
      • 6) 조직몰입 40
      • 7) 심리적 안녕감 41
      • 8) 개방형 설문지 42
      • 3. 연구절차 43
      • 4. 분석방법 44
      • Ⅴ. 연구결과 45
      • 1.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 직무의미창조의 효과 45
      • 1) 각 측정변인별 상관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 45
      • 2)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의 고유효과 48
      • 3)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의 고유효과 49
      • 4)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무의미창조의 고유효과 50
      • 5)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의미창조의 고유효과 51
      • 2. 소방공무원의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간의
      • 관계에서 직무열의,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52
      • 1)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증 52
      • 2)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검증 61
      • 3. 소방공무원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 현황에 대한
      • 개방형 설문 결과 분석 68
      • 1) 소방공무원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72
      • 2) 소방공무원의 직무의미창조 74
      • Ⅵ. 논 의 76
      • 1. 연구결과에 대한 종합 논의 76
      • 1)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조직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76
      • 2) 직무의미창조와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77
      • 3)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 그리고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
      •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78
      • 2. 연구의 의의 79
      • 3. 연구의 제한점 81
      • 참고문헌 82
      • 국문초록/Abstrac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