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Korean L2 learners’ learning order of concrete and abstract meanings of English prepos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46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epositions in, on, at of Korean EFL learners. Rosch (1973) suggested that the categorized concept expands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to the metaphorically expanded meaning, which is called prototype theory. This has been applied in the studies of English prepositions acquisition. Dirven (1993) said that the prototype of the prepositions in, on, at is spatial meaning, whereas the temporal meaning is considered expanded meaning. That is, the spatial meaning of prepositions is easier to learn than the temporal meaning of them. However,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f prototype effect in terms of EFL learners’ prepositions acquisition.
      With preceding studies about prepositions acquisition in Korean EFL learners, pointing out the important factors in prepositions learning are explicit explanation and sufficient inpu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prototype theory affects Korean EFL learners when learning prepositions with explicit explanation and sufficient input.
      18 Korean middle school fresh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explicit learning group, and the other is implicit learning group. Explicit learning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First group named space-time(S-T) group studied prepositions in the order of spatial to temporal meaning, and the other group named time-space(T-S) group studied prepositions in the order of temporal to spatial meaning. Implicit learning group studied with 4 stories including prepositional phrases.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pretest and posttest, which were composed of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GJT) and speaking test, and the scores of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SPSS 23.
      As a result, explicit learning group performed better than implicit learning group, suggesting the important factor of Korean EFL learners is explicit explanation with example sentences when learning English prepositions. In addition, prototype of prepositions affected Korean EFL learners, showing S-T group performed GJT better than T-S group. Even though there were not many participants and only in, on, at were dealt with,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applied linguistics in terms that how Korean EFL learners should study English prepositions and further studies with other prepositions would be worth conducting.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epositions in, on, at of Korean EFL learners. Rosch (1973) suggested that the categorized concept expands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to the metaphorically expanded meaning, which is called prototype ...

      This study is about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epositions in, on, at of Korean EFL learners. Rosch (1973) suggested that the categorized concept expands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to the metaphorically expanded meaning, which is called prototype theory. This has been applied in the studies of English prepositions acquisition. Dirven (1993) said that the prototype of the prepositions in, on, at is spatial meaning, whereas the temporal meaning is considered expanded meaning. That is, the spatial meaning of prepositions is easier to learn than the temporal meaning of them. However,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f prototype effect in terms of EFL learners’ prepositions acquisition.
      With preceding studies about prepositions acquisition in Korean EFL learners, pointing out the important factors in prepositions learning are explicit explanation and sufficient inpu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prototype theory affects Korean EFL learners when learning prepositions with explicit explanation and sufficient input.
      18 Korean middle school fresh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explicit learning group, and the other is implicit learning group. Explicit learning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First group named space-time(S-T) group studied prepositions in the order of spatial to temporal meaning, and the other group named time-space(T-S) group studied prepositions in the order of temporal to spatial meaning. Implicit learning group studied with 4 stories including prepositional phrases.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pretest and posttest, which were composed of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GJT) and speaking test, and the scores of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SPSS 23.
      As a result, explicit learning group performed better than implicit learning group, suggesting the important factor of Korean EFL learners is explicit explanation with example sentences when learning English prepositions. In addition, prototype of prepositions affected Korean EFL learners, showing S-T group performed GJT better than T-S group. Even though there were not many participants and only in, on, at were dealt with,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applied linguistics in terms that how Korean EFL learners should study English prepositions and further studies with other prepositions would be worth conduc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영어전치사 in, on, at의 습득에 관한 연구이다. Rosch(1973)는 범주화 된 개념이 원형적 의미에서 파생된 주변적 의미로 뻗어 나 간다는 원형 이론을 주장했다. 이는 영어 전치사 습득 연구에서도 적용되었는데, Dirven(1993)은 전치사 in, on, at의 원형적 의미가 장소적 의미이며 시간적 의미는 주변적 의미라고 했다. 하지만 제2언어 학습자의 측면에서 전치사 습득에 원형 이 론이 적용되는지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전치사 습득 연구들은 전치사에 관한 명시적 설명과 충분한 입력이 학습자의 전치사 습득에 중 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명시적 설명을 통해 학습자가 전치사를 학습할 때,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8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크게 명시적 학습 그룹과 암시적 학습 그룹으 로 나뉘었고, 명시적 학습 그룹은 다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과 시간-장소 순 학습 그룹으로 나뉘어 각 6명씩 세 그룹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3일간 이루 어 졌으며, 사전 시험, 실험 처치, 사후 시험으로 진행하였다. 사전 시험과 사후 시 험은 균등한 난이도를 유지하고자 동일한 문제로 순서만 무작위로 바꾸어 진행하였 다. 시험은 두 종류로 문법성 판단 과제와 말하기 시험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처치 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은 전치사의 장소관련 의미를 학습 후 시간관련 의미를 학습하였고, 시간-장소 순 학습 그룹은 전치사의 시간관련 의미를 학습 후 장소관 련 의미를 학습 하였다. 마지막으로 암시적 학습 그룹은 장소와 시간적 의미의 전 치사 구가 들어있는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사전 시험과 사후시험의 결과는 SPSS 23으로 분석되고 비교되었다.
      실험의 결과로, 명시적 학습 그룹은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암시적 학습 그룹은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비교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과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장소-시간 순의 학습 그룹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치사 in, on, at의 장소, 시간적 의미만 다루었으며, 다른 전치사는 다 루지 않았다. 또한 실험참여자 수가 많지 않다는 점이 한계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전치사 학습에 명시적 학습과 원형성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앞으로의 사후 연구 및 학습자들의 학습 방법에 의의를 줄 수 있길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영어전치사 in, on, at의 습득에 관한 연구이다. Rosch(1973)는 범주화 된 개념이 원형적 의미에서 파생된 주변적 의미로 뻗어 나 간다는 원형 이론을 주장했다. 이는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영어전치사 in, on, at의 습득에 관한 연구이다. Rosch(1973)는 범주화 된 개념이 원형적 의미에서 파생된 주변적 의미로 뻗어 나 간다는 원형 이론을 주장했다. 이는 영어 전치사 습득 연구에서도 적용되었는데, Dirven(1993)은 전치사 in, on, at의 원형적 의미가 장소적 의미이며 시간적 의미는 주변적 의미라고 했다. 하지만 제2언어 학습자의 측면에서 전치사 습득에 원형 이 론이 적용되는지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전치사 습득 연구들은 전치사에 관한 명시적 설명과 충분한 입력이 학습자의 전치사 습득에 중 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명시적 설명을 통해 학습자가 전치사를 학습할 때,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8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크게 명시적 학습 그룹과 암시적 학습 그룹으 로 나뉘었고, 명시적 학습 그룹은 다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과 시간-장소 순 학습 그룹으로 나뉘어 각 6명씩 세 그룹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3일간 이루 어 졌으며, 사전 시험, 실험 처치, 사후 시험으로 진행하였다. 사전 시험과 사후 시 험은 균등한 난이도를 유지하고자 동일한 문제로 순서만 무작위로 바꾸어 진행하였 다. 시험은 두 종류로 문법성 판단 과제와 말하기 시험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처치 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은 전치사의 장소관련 의미를 학습 후 시간관련 의미를 학습하였고, 시간-장소 순 학습 그룹은 전치사의 시간관련 의미를 학습 후 장소관 련 의미를 학습 하였다. 마지막으로 암시적 학습 그룹은 장소와 시간적 의미의 전 치사 구가 들어있는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사전 시험과 사후시험의 결과는 SPSS 23으로 분석되고 비교되었다.
      실험의 결과로, 명시적 학습 그룹은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암시적 학습 그룹은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비교한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과 장소-시간 순 학습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장소-시간 순의 학습 그룹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원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치사 in, on, at의 장소, 시간적 의미만 다루었으며, 다른 전치사는 다 루지 않았다. 또한 실험참여자 수가 많지 않다는 점이 한계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전치사 학습에 명시적 학습과 원형성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앞으로의 사후 연구 및 학습자들의 학습 방법에 의의를 줄 수 있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of the Study 1
      • 1.2 Purpose of the Study 4
      • Chapter 2. LITERATURE REVIEW 5
      • 2.1 Meaning of Prepositions 5
      • Chapter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of the Study 1
      • 1.2 Purpose of the Study 4
      • Chapter 2. LITERATURE REVIEW 5
      • 2.1 Meaning of Prepositions 5
      • 2.1.1 Spatial Meanings 5
      • 2.1.1.1 In 5
      • 2.1.1.2 On 6
      • 2.1.1.3 At 7
      • 2.1.2 Temporal Meanings 9
      • 2.1.2.1 In 9
      • 2.1.2.2 On 10
      • 2.1.2.3 At 11
      • 2.2 Korean Adverbial Particles 13
      • 2.2.1 Spatial Adverbial Particles -에, -에서 13
      • 2.2.2 Temporal Adverbial Particle -에 15
      • 2.3 Prototype Theory 16
      • 2.4 Studies on Preposition Acquisition 17
      • 2.4.1 Research on Prototype Theory Approach 17
      • 2.4.2 Research on Prepositions Acquisition in Korean EFL Learners 19
      • 2.5 Research Question 21
      • Chapter 3. METHODS 23
      • 3.1 Participants 23
      • 3.2 Materials 24
      • 3.2.1 Pretest & Immediate Posttest 24
      • 3.2.1.1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GJT) 24
      • 3.2.1.2 Speaking Test 25
      • 3.2.2 Materials for Treatment 25
      • 3.2.2.1 Materials for Explicit Learning Groups 25
      • 3.2.2.2 Materials for Implicit Learning Group 26
      • 3.3 Procedures 27
      • 3.3.1 Day 1 27
      • 3.3.2 Day 2 28
      • 3.3.3 Day 3 28
      • 3.4 Analysis 29
      • 3.4.1 Scoring Procedure 29
      • 3.4.2 Data Analysis 31
      •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 32
      • 4.1 Comparison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Groups 32
      • 4.1.1 Improvement within Explicit Learning Group 32
      • 4.1.1.1 Result of GJT 33
      • 4.1.1.2 Result of Speaking Test -1 Point - 32
      • 4.1.1.3 Result of Speaking Test -3 Points - 34
      • 4.1.1.4 Summary 34
      • 4.1.2 Improvement within the Implicit Learning Group 35
      • 4.1.2.1 Result of GJT 36
      • 4.1.2.2 Result of Speaking Test -1 Point- 36
      • 4.1.2.3 Result of Speaking Test -3 Points- 37
      • 4.1.2.4 Summary 37
      • 4.1.3 Comparison between Groups 38
      • 4.1.3.1 Comparing GJT Score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Groups 38
      • 4.1.3.2 Comparing Speaking Scores -1 Poin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Groups 39
      • 4.1.3.3 Comparing Speaking Scores -3 Point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Groups 40
      • 4.1.3.4 Summary 40
      • 4.1.4 Comparing Gain Score between Groups 41
      • 4.1.4.1 Result of GJT in Gain Score between Groups 41
      • 4.1.4.2 Result of Speaking -1 point- in Gain Score between Groups 41
      • 4.1.4.3 Result of Speaking -3 points- in Gain Score between Groups 42
      • 4.1.4.4 Summary 43
      • 4.2 Comparing Learning Order within Explicit Learning Group 43
      • 4.2.1 Improvement within Space-Time Group 44
      • 4.2.1.1 Result of GJT 44
      • 4.2.1.2 Result of Speaking Test-1 Point- 45
      • 4.2.1.3 Result of Speaking Test-3 Points- 45
      • 4.2.1.4 Summary 46
      • 4.2.2 Improvement within Time-Space Group 46
      • 4.2.2.1 Result of GJT 47
      • 4.2.2.2 Result of Speaking Test-1 Point- 47
      • 4.2.2.3 Result of Speaking Test-3 Points- 48
      • 4.2.2.4 Summary 48
      • 4.2.3 Comparison between S-T Group and T-S Group 49
      • 4.2.3.1 Comparing GJT Score between S-T and T-S Groups 49
      • 4.2.3.2 Comparing Speaking Scores -1 Point- between S-T and T-S Groups 50
      • 4.2.3.3 Comparing Speaking Scores-3 Points- between S-T and T-S Groups 51
      • 4.2.3.4 Summary 51
      • 4.2.4 Comparing Gain Score between Groups 52
      • 4.2.4.1 Comparing Gain Score of GJT Scores between Groups 52
      • 4.2.4.2 Comparing Gain Score of Speaking Scores -1 Point - between Groups 52
      • 4.2.4.3 Comparing Gain Score of Speaking Scores -3 Points- between Groups 53
      • 4.2.4.4 Summary 54
      • 4.4 Discussion 54
      • 4.4.1 Explicit Learning and Implicit Learning Group 54
      • 4.4.2 Learning Order and Effect of Prototype Theory 55
      • Chapter 5. CONCLUSION 57
      • 5.1 Major Findings of the Study 57
      • 5.2 Limitation of the Study 58
      • References 59
      • Appendix 62
      • 국문 초록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