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董其昌 南北宗論의 내원과 의의 - 중국문화적 배경과 禪宗의 南北分宗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南北宗論은 董其昌을 중심으로 하여 제창된 중국회화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남북종론 이후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에 있어서의 회화는 수 세기에 걸친 남북종론의 지대한 영향 하에 놓이게 된다.
      하나의 이론체계가 자체적인 생명력을 가지고서 수 세기에 걸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은 그 속에 시대적 요청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밖에는 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고찰은 남북종론에 내재한 중국문화적인 내원을 규명함으로서 이에 대한 타당성 있는 해법도출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접근에 입각하여 먼저 본 고찰에서는 남북종론의 내원에 관한 중국문화적 배경에 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남북종론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보하고 있는 儒·道의 측면에 관해 고찰한 이후, 마지막 끝으로 남북종론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선종의 南北分宗論과의 관련성에 대한 타당성 있는 모색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서 남북종론이 단순히 한 시대를 대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중국문화의 거대한 흐름에 있어서 시대적 요청을 반영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다 분명히 하고, 또한 선종과의 관계도 단순히 모방을 통한 주장이 아닌 중국문화적인 종합적 관점에서의 주체적인 수용이었다는 것을 밝혀 보고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구의 진전이야말로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의 회화사 고찰에 있어서 충분한 필연성을 담지한다고 할 수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南北宗論은 董其昌을 중심으로 하여 제창된 중국회화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남북종론 이후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에 있어서의 회화는 수 세기에 걸친 남북종론의 지대한 영...

      南北宗論은 董其昌을 중심으로 하여 제창된 중국회화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남북종론 이후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에 있어서의 회화는 수 세기에 걸친 남북종론의 지대한 영향 하에 놓이게 된다.
      하나의 이론체계가 자체적인 생명력을 가지고서 수 세기에 걸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은 그 속에 시대적 요청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밖에는 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고찰은 남북종론에 내재한 중국문화적인 내원을 규명함으로서 이에 대한 타당성 있는 해법도출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접근에 입각하여 먼저 본 고찰에서는 남북종론의 내원에 관한 중국문화적 배경에 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남북종론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보하고 있는 儒·道의 측면에 관해 고찰한 이후, 마지막 끝으로 남북종론의 형성에 있어서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선종의 南北分宗論과의 관련성에 대한 타당성 있는 모색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서 남북종론이 단순히 한 시대를 대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중국문화의 거대한 흐름에 있어서 시대적 요청을 반영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다 분명히 하고, 또한 선종과의 관계도 단순히 모방을 통한 주장이 아닌 중국문화적인 종합적 관점에서의 주체적인 수용이었다는 것을 밝혀 보고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구의 진전이야말로 중국회화사 및 중국문화권의 회화사 고찰에 있어서 충분한 필연성을 담지한다고 할 수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dvocated by Dong Gi Chang(董其昌) is a very important theory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Since the present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the paintings in Chinese cultural areas came to be under the predominant influence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for several hundred years.
      If a theoretic system had maintained its own vitality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for several centuries, it should be admitted that it had well reflected the needs of time in it.
      So,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Chinese cultural origin i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in turn to extract a plausible solution on it.
      On the basis of this approach, this paper tried to search the Chinese cultural background for the origi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n, wer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onfucianism and Taoism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finally a reasonable interpo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the Zen Buddhism which exert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tries to clarify that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was not just an accidental product of one era but an inevitable reflection of demand of the time in the huge stream of Chinese culture, and that, in the relationship with Zen Buddhism, it was not just an imitation of Zen but an active assimilation in the synthetic perspective of Chinese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progres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development of study on the painting history of China and Chinese cultural areas.
      번역하기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dvocated by Dong Gi Chang(董其昌) is a very important theory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Since the present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the paintings in Chinese cul...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dvocated by Dong Gi Chang(董其昌) is a very important theory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Since the present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the paintings in Chinese cultural areas came to be under the predominant influence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for several hundred years.
      If a theoretic system had maintained its own vitality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for several centuries, it should be admitted that it had well reflected the needs of time in it.
      So,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Chinese cultural origin i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in turn to extract a plausible solution on it.
      On the basis of this approach, this paper tried to search the Chinese cultural background for the origi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en, wer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onfucianism and Taoism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finally a reasonable interpo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and the Zen Buddhism which exert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South/North principal theory.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tries to clarify that the South/North principal theory was not just an accidental product of one era but an inevitable reflection of demand of the time in the huge stream of Chinese culture, and that, in the relationship with Zen Buddhism, it was not just an imitation of Zen but an active assimilation in the synthetic perspective of Chinese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progres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development of study on the painting history of China and Chinese cultural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Ⅱ. 남북종론의 중국문화적 배경
      • 1. 지역적 배경
      • 2. 역사적 배경
      • Ⅲ. 남북종론의 검토
      • Ⅰ. 序論
      • Ⅱ. 남북종론의 중국문화적 배경
      • 1. 지역적 배경
      • 2. 역사적 배경
      • Ⅲ. 남북종론의 검토
      • 1. 남북종론의 대두와 華亭三名士
      • 2. 동기창 남북종론의 의의
      • Ⅳ. 儒·道의 영향
      • 1. 陽明學의 영향
      • 2. 도가와 현학적 영향
      • Ⅴ. 선종의 영향
      • 1. 남종선과 남종화
      • 2. 法脈과 道統說
      • Ⅵ. 結論
      • 국문 요약문
      • 영문 요약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白蓮禪書刊行會, "臨濟錄·法眼錄" 藏經閣 1989

      2 郭熙, "林泉高致"

      3 유동환, "李贄-慾望 속에서 道德을 찾은 思想家 in 中國哲學의 異端者들" 藝文書院 2000

      4 張彦遠, "歷代名畵記"

      5 董其昌, "論畵?言"

      6 金羲政, "黃老思想의 天人相應觀 硏究- 黃帝四經, 管子 四篇, 淮南子, 黃帝內徑을 중심으로" 西江大 博士學位論文 2003

      7 정세근, "魏晉玄學" 藝文書院 2001

      8 黃有福, "韓-中 佛敎文化交流史" 까치 1995

      9 長孫無忌, "隋書"

      10 송하경, "陽明學이 佛學이라는 批判에 대한 解明 in 王陽明 哲學硏究" 청계 2001

      1 白蓮禪書刊行會, "臨濟錄·法眼錄" 藏經閣 1989

      2 郭熙, "林泉高致"

      3 유동환, "李贄-慾望 속에서 道德을 찾은 思想家 in 中國哲學의 異端者들" 藝文書院 2000

      4 張彦遠, "歷代名畵記"

      5 董其昌, "論畵?言"

      6 金羲政, "黃老思想의 天人相應觀 硏究- 黃帝四經, 管子 四篇, 淮南子, 黃帝內徑을 중심으로" 西江大 博士學位論文 2003

      7 정세근, "魏晉玄學" 藝文書院 2001

      8 黃有福, "韓-中 佛敎文化交流史" 까치 1995

      9 長孫無忌, "隋書"

      10 송하경, "陽明學이 佛學이라는 批判에 대한 解明 in 王陽明 哲學硏究" 청계 2001

      11 楊國榮, "陽明學" 藝文書院 1995

      12 陳來, "陽明哲學" 藝文書院 2003

      13 安法欽, "阿育王傳 50" 大正藏

      14 佛陀耶舍, "長阿含經 1" 大正藏

      15 陳德仁, "象山心學之比較硏究" 學生書局 1975

      16 김길락, "象山學과 陽明學" 藝文書院 1995

      17 周桂鈿, "講座 中國哲學" 藝文書院 1996

      18 朴三洙, "詩佛 王維의 詩" 世界社 1993

      19 김학목, "裵?의 崇有論? in 魏晉玄學" 藝文書院 2001

      20 조송식, "董其昌의 繪畵史觀 및 藝術思想" 36 : 2003

      21 조송식, "董其昌과 그의 著書 및 硏究傾向" 3 : 2003

      22 조송식, "董其昌과 그의 著書 및 硏究傾向" 3집 : 2003

      23 何惠鑒, "董其昌的新正統觀念及其南北宗論 in 藝術家與傳統" Princeton University 藝術博物館 1976

      24 藤原有仁, "董其昌の書畵" 二玄社 1981

      25 李澤厚, "華夏美學" 天津社會科學院出版社 2002

      26 不載譯人附東晉錄, "般泥洹經 1" 大正藏

      27 李澤厚, "美的歷程" 天津社會科學院出版社 2001

      28 鄭性本, "禪의 歷史와 禪思想" 三圓社 1994

      29 柳田聖山, "禪의 思想과 歷史" 民族社 1992

      30 徐小躍, "禪과 老莊" 運舟社 2000

      31 鄭性本, "禪思想史" 佛敎思想社 1993

      32 김병식, "禪宗과 畵派-山水畵 ‘南北宗論’에 나타난 董其昌의 藝術思想 硏究" 1 : 2004

      33 鄭性本, "禪宗 傳燈說의 成立과 發展Ⅳ" 34 : 1997

      34 洪修平, "禪學과 玄學" 運舟社 1999

      35 傅申, "畵說 作者問題硏究 in 中國畵國際討論記念錄匯編" 台北故宮博物院 1972

      36 董其昌, "畵說"

      37 董其昌, "畵禪室隨筆"

      38 董其昌, "畵眼" 時空社 2003

      39 董其昌, "畵眼"

      40 宋在雲, "王陽明 心學의 硏究" 東國大 博士學位論文 1985

      41 蔡仁厚, "王陽明 哲學" 瑞光社 2001

      42 王弼, "王弼의 老子" 藝文書院 1997

      43 黃尙周, "玄宰 董其昌의 藝術思想" 5 : 1986

      44 姜紹書, "無聲詩史"

      45 李贄, "焚書Ⅱ" 한길사 2004

      46 阿?哲次, "漢字學" 이회 1996

      47 朴漢濟, "江南의 浪漫과 悲劇(東晉·南朝時代)" 四季節 2003

      48 釋淨覺, "楞伽資記 85" 大正藏

      49 윤천근, "楊朱의 生命哲學" 外界出版社 1990

      50 申採湜, "東洋史槪論" 三英社 2004

      51 시마다 겐지, "朱子學과 陽明學" 까치 1990

      52 道原, "景德傳燈錄 51" 大正藏

      53 徐沁, "明畵錄"

      54 張廷玉, "明史"

      55 黃宗羲, "明儒學案"

      56 歐陽修, "新唐書"

      57 釋僧祐, "弘明集 52" 大正藏

      58 朴漢濟, "帝國으로 가는 긴 旅程(北朝·隋·初唐時代)" 四季節 2003

      59 董其昌, "容臺別輯"

      60 董其昌, "容台集"

      61 何良俊, "四友齋畵論"

      62 陳鼓應, "周易,儒家의 思想인가 道家의 思想인가" 藝文書院 1996

      63 김영욱, "南宗禪과 北宗禪 論爭 in 論爭으로 보는 佛敎哲學" 藝文書院 1998

      64 김백균, "南北宗論의 歷史的 認識" 19 : 2002

      65 黃尙周, "南北二宗說에 대한 고찰" 6 : 1987

      66 정세근, "制度와 本性-玄學이란 무엇인가" 哲學과 現實社 2001

      67 柳田聖山, "初期禪宗史Ⅱ" 김영사 1992

      68 최동순, "初期 天台祖統說의 成立 硏究, 『普照思想』 제21집(2004). 許英桓, 莫是龍과 董其昌, 『美術史學硏究』, 178권(1988)"

      69 宗寶, "六祖大師法寶壇經 48" 大正藏

      70 趙源一, "先秦儒學의 天人關係 硏究" 9 : 2002

      71 白法祖, "佛般泥洹經 1" 大正藏

      72 시마다 겐지, "佛敎과 陽明學" 瑞光社 1993

      73 廉仲燮, "佛性思想이 新儒學의 人性論 成立에 끼친 影響" 東國大 碩士學位論文 2003

      74 朱熹, "中庸集註"

      75 볼프람 에베하르트, "中國의 歷史" 文藝出版社 1997

      76 蔡方鹿, "中國道統思想發展史" 四川人民出版社 2003

      77 范文瀾, "中國通史4" 人民出版社 1986

      78 徐復觀 著, "中國藝術精神" 學生書局 1961

      79 葉郞, "中國美學史大綱" 上海人民出版社 2005

      80 李澤厚, "中國美學史" 大韓敎科書株式會社 2001

      81 鄭性本, "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 民族社 2000

      82 위앤커, "中國神話傳說(譯註本)1" 民音社 2002

      83 許英桓, "中國畵論" 서문당 1988

      84 徐澄琪, "中國明代人 文人畵의 趨勢에 대한 고찰-董其昌의 南北宗論을 중심으로" 2 : 1979

      85 이장우, "中國文化通論" 中文 2000

      86 李宗桂, "中國文化槪論" 東文選 1993

      87 陳傳席 著, "中國山水畵史" 江蘇美術出版社 1996

      88 牟宗三, "中國哲學特講" 螢雪出版社 1996

      89 張岱年, "中國哲學大綱上" 까치 2000

      90 勞思光, "中國哲學史(宋明篇)" 探求堂 1991

      91 馮友蘭, "中國哲學史(下冊)"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3

      92 馮友蘭 著, "中國哲學史(上冊)" 上海: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3

      93 狩野直喜, "中國哲學史" 乙酉文化社 1997

      94 다마키코 시로, "中國佛敎의 思想" 民族社 1991

      95 鎌田茂雄, "中國佛敎史-南北朝의 佛敎上" 장승 1996

      96 토오도오 교순, "中國佛敎史" 대원정사 1992

      97 K. S. 케네쓰 첸, "中國佛敎上" 民族社 1991

      98 이부키 아츠시, "中國 禪의 歷史" 대숲바람 2005

      99 김원중, "中國 文化史" 乙酉文化社 2001

      100 劉義慶, "世說新語"

      101 "『禮記』"

      102 "『論語』"

      103 "『骨董?記』"

      104 "『莊子』"

      105 "『老子』"

      106 "『民抄董宦事實』"

      107 "『春秋元命苞』"

      108 "『周易』"

      109 Shan Guoqiang, "The Tendency Toward Mergence of the Two Great Traditions in Late Ming Painting, Proceedings of the TUNG CHI CHANG INTERNATIONAL SYMPOSIUM ed Wai-ching Ho, The Nelson-Atkins Museum of Art"

      110 汪世淸, ""畵說"究爲誰著" 上海書畵出版社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