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보제공 제도 개선 방안: 형사절차에서의 사건진행상황에 대한 정보제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Crime Victims: Focusing on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ase in Criminal Procee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for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damag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life or body properly in criminal proceed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for them on the progress of the cas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hen we look at th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 Korean criminal justice. The main points of such problems are as follow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niformity between laws and regulations that are the basis for information provision is insufficient, which may cause officials to be confused in the practice, the application process for victim to get information is somewhat complicated, the speed of information offering is low, and its notification system for juvenile victims has not been establish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laws, simplify the application procedure to receive its notice, create a system in which necessar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informed in real time, and improve the legal system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gress of his/her criminal case can be also provided to the juvenile crime victims within a certain range.
      번역하기

      In order for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damag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life or body properly in criminal proceed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for them on the progress of the cas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hen ...

      In order for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damag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life or body properly in criminal proceed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for them on the progress of the cas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hen we look at th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 Korean criminal justice. The main points of such problems are as follow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niformity between laws and regulations that are the basis for information provision is insufficient, which may cause officials to be confused in the practice, the application process for victim to get information is somewhat complicated, the speed of information offering is low, and its notification system for juvenile victims has not been establish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laws, simplify the application procedure to receive its notice, create a system in which necessar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informed in real time, and improve the legal system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gress of his/her criminal case can be also provided to the juvenile crime victims within a certain r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피해자가 자신의 권익실현을 위한 주체이자 소송 당사자로서 형사절차에 적극적으로참여할 수 있으려면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이실효적으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세계 문명국가들의 형사사법 제도가 지향하고자 하는 바다. 하지만 한국의 현행 형사법체계가 국가중심주의에 기반 한 ‘증인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까닭에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이 아직 실효적으로 보장되고 있지 못한 점들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피해자의 정보접근권 중 사건진행상황에 대한 정보제공 제도의 실태에 주목하면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굴한 후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을 실효적으로 보장해 줄 수 있는 네 가지 방책을 제시하였다. 즉, 정보제공 근거법령의정합성을 확보하는 것, 정보제공 신청절차를 간소화하는 것, 신속하게 정보제공을 위하여자동통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소년범죄 피해자에게도 정보제공이 이뤄져야 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다만, 피해자의 정보접근권 보장은 개별 사안에 대한 실체적 진실규명을 위한 노력과 함께 추진되어야 하며, 피해자에게 사건진행상 황과 관련된 개별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사안에 따라 정보제공의 한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범행과 피해사실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진실한 피해자라 할지라도, 피의자·피고인 및 사건관계인의 권익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보접근권 보장 수준이 결정되어 정보제공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피해자가 자신의 권익실현을 위한 주체이자 소송 당사자로서 형사절차에 적극적으로참여할 수 있으려면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이실효적으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세계 문명...

      피해자가 자신의 권익실현을 위한 주체이자 소송 당사자로서 형사절차에 적극적으로참여할 수 있으려면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이실효적으로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세계 문명국가들의 형사사법 제도가 지향하고자 하는 바다. 하지만 한국의 현행 형사법체계가 국가중심주의에 기반 한 ‘증인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까닭에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이 아직 실효적으로 보장되고 있지 못한 점들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피해자의 정보접근권 중 사건진행상황에 대한 정보제공 제도의 실태에 주목하면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굴한 후 피해자의 정보접근권을 실효적으로 보장해 줄 수 있는 네 가지 방책을 제시하였다. 즉, 정보제공 근거법령의정합성을 확보하는 것, 정보제공 신청절차를 간소화하는 것, 신속하게 정보제공을 위하여자동통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소년범죄 피해자에게도 정보제공이 이뤄져야 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다만, 피해자의 정보접근권 보장은 개별 사안에 대한 실체적 진실규명을 위한 노력과 함께 추진되어야 하며, 피해자에게 사건진행상 황과 관련된 개별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사안에 따라 정보제공의 한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범행과 피해사실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진실한 피해자라 할지라도, 피의자·피고인 및 사건관계인의 권익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보접근권 보장 수준이 결정되어 정보제공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선, "형사정책연구원, 제3차 범죄피해자 기본계획(2017-2021년)의 방향과 과제" 형사정책연구원 2015

      2 심보영, "형사절차 참여를 위한 정보접근" 2021

      3 김재민, "형사절차 참여 강화를 위한 피해자의 정보접근권보장" 202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5 "헌법재판소 1991.5.13. 90 헌마133"

      6 "헌법재판소 1989.9.4. 선고, 88 헌마22"

      7 김혁, "피해자 중심적 소년사법・보호정책으로의 전환에 관한 시론" 한국피해자학회 28 (28): 117-134, 2020

      8 문재완, "정보공개청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85-114, 2017

      9 최수형, "전국범죄피해조사(IV)"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10 황순평, "수사기관의 정보비공개결정에 대한 피해자의 불복수단" 한국경찰법학회 14 (14): 137-162, 2016

      1 김지선, "형사정책연구원, 제3차 범죄피해자 기본계획(2017-2021년)의 방향과 과제" 형사정책연구원 2015

      2 심보영, "형사절차 참여를 위한 정보접근" 2021

      3 김재민, "형사절차 참여 강화를 위한 피해자의 정보접근권보장" 202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5 "헌법재판소 1991.5.13. 90 헌마133"

      6 "헌법재판소 1989.9.4. 선고, 88 헌마22"

      7 김혁, "피해자 중심적 소년사법・보호정책으로의 전환에 관한 시론" 한국피해자학회 28 (28): 117-134, 2020

      8 문재완, "정보공개청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85-114, 2017

      9 최수형, "전국범죄피해조사(IV)"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10 황순평, "수사기관의 정보비공개결정에 대한 피해자의 불복수단" 한국경찰법학회 14 (14): 137-162, 2016

      11 김혁, "소년사건에서의 피해자의 정보권 보장을 위한 개선방안" 한국피해자학회 24 (24): 221-248, 2016

      12 황순평, "범죄피해자에 대한 정보제공 - 경찰의 피해자통지제도를 중심으로 -" 경찰대학 8 (8): 29-60, 2008

      13 김재민,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의식에 관한 고찰 - 경찰관과 대학생의 인권보호 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31 (31): 29-62, 2017

      14 법무부 인권국,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관한 제3차 기본계획(2017~2021) 중 2018년도 시행계획" 2018

      15 법무부,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관한 제3차 기본계획(2017~2021)" 2016

      16 이정수, "범죄피해자 권리의 새로운 해석 : 수사청구권 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2

      17 이영돈, "미국의 범죄피해자의 법적 권리에 관한 고찰" 4 (4): 12-, 2015

      18 "대법원 1999.9.21. 선고 98두3426 판결"

      19 대검찰청, "검찰연감" 2019

      20 김좌환, "검찰에 의한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의 개선방안"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11

      21 강기정, "‘소년법 일부개정 법률안,’ 의안번호11134"

      22 "https://www.law.go.kr/"

      23 "https://www.law.cornell.edu/uscode/text/18/3771/"

      24 "https://www.kics.go.kr/"

      25 "https://laws-lois.justice.gc.ca/eng/acts/c-23.7/page-1.html/"

      26 Cook, B., "Victims’ Needs, Victims’ Rights, Policies and Programs for Victims of Crime in Australia" 46-47, 1999

      27 EU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Victims of Crime in the EU: the extent and nature of support for victims"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 2014

      28 "UN Declaration of 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and Abuse of Power"

      29 Klip, André., "On Victim’s Rights and its Impact on the Rights of the Accused" 23 (23): 177-189, 2015

      30 법무부 형사사법공통시스템 운영단, "KICS(형사사법정보시스템)해설서"

      31 Dearing, Albin,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Springer 2017

      32 Anonymous, "Handbook on Justice for Victims"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2011

      33 Harry, J. L., "Focus On Victims’ Rights in Minnesota" 64 (64): 12-, 2002

      34 European Union, "Directive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2012/20/EU"

      35 "Crime Victims’ Rights, 18 U.S. Code §3771"

      36 Ministry of Justice, "Code of Practice for Victims of Crime in England and Wales"

      37 "Canadian Victims Bill of Rights, Clause 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5-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