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KAVA 1966
2 홍성원, "흙에 심은 사랑의 인술" 쌍천이영춘박사기념사업회 2003
3 안영겸, "한국의 주요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한 서조(鼠蚤)의 역학적 조사연구" 12 (12): 1974
4 한국기생충박멸협회, "한국기생충박멸협회 20년사" 한국기생충박멸협회 1984
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한국 의학의 길을 원로들에게 묻다 1" 역사공간 2021
6 박윤재, "한국 농촌위생과 이영춘" 7 (7): 2003
7 양재모, "한국 농촌에서의 출산력과 가족계획에 관한 연구" 7 (7): 1964
8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한국 가족계획운동의 대부, 양재모" 14 (14): 2011
9 윤덕진, "폐디스토마의 환경학적 조사연구" 10 (10): 1969
10 정평림, "질트리코모나스 감염진단을 위한 제동반응 및 응괴반응의 응용" 8 (8): 1970
1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KAVA 1966
2 홍성원, "흙에 심은 사랑의 인술" 쌍천이영춘박사기념사업회 2003
3 안영겸, "한국의 주요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한 서조(鼠蚤)의 역학적 조사연구" 12 (12): 1974
4 한국기생충박멸협회, "한국기생충박멸협회 20년사" 한국기생충박멸협회 1984
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한국 의학의 길을 원로들에게 묻다 1" 역사공간 2021
6 박윤재, "한국 농촌위생과 이영춘" 7 (7): 2003
7 양재모, "한국 농촌에서의 출산력과 가족계획에 관한 연구" 7 (7): 1964
8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한국 가족계획운동의 대부, 양재모" 14 (14): 2011
9 윤덕진, "폐디스토마의 환경학적 조사연구" 10 (10): 1969
10 정평림, "질트리코모나스 감염진단을 위한 제동반응 및 응괴반응의 응용" 8 (8): 1970
11 소진탁, "지금까지 지내온 것" 재동문화사 1983
12 안영겸, "전남 고흥군 포두면의 폐흡충 중간숙주 조사보고" 9 (9): 1964
13 이규식, "일제의 농촌 침탈과 농촌위생연구소" 10 (10): 2001
14 김동민, "위생사업을 위한 농촌환경의 조사보고" 2 (2): 1971
15 양재모, "우리나라 가족보건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건의" 24 (24): 1991
16 카바40년사 편찬위원회, "외원사회사업기관활동사-외국민간원조기관한국연합회40년사" 홍익재 1995
17 김영수, "영동세브란스병원과 서독 공공차관: 한국 의료문제 해결의 교차점" 의학사연구소 26 (26): 87-113, 2023
18 양재모, "연세지역에 대한 보건기초조사" 1 (1): 1968
19 최원규, "쌍천 이영춘의 보건사회사상과 실천: 자혜진료소에서 옥구의료보험조합에 이르기까지" 2021
2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총동창회, "세우"
21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학적부"
22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セブランス聯合醫學專門學校一覽)"
23 여인석, "세브란스를 중심으로 본 CMB의 한국의학 재건사업" 의학사연구소 18 (18): 179-200, 2015
24 "세브란스교우회보(世富蘭偲校友會報)"
2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세브란스 학생운동사" 역사공간 2020
26 소진탁, "삼조식 변소를 설치한 제주도내 일부락민의 기생충 감염률 추이" 11 (11): 1968
2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아회, "보원 윤덕진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아회 1979
28 양재모, "보건요원에 대한 가족계획 훈련의 국제적 추세" 14 : 1972
29 양재모, "모자보건 발전을 위한 방안" 13 (13): 1970
30 "매일신보"
31 "마산일보"
32 "대한기생충학회 발전 20년 약사" 17 (17): 1979
33 "농촌위생연구소의 역사를 말한다" 7 (7): 2003
34 "농촌위생 1(1), 2(1), 3(1)"
35 소진탁, "농촌위생" 부민문화사 1963
36 이영춘, "나의 교우록" 쌍천이영춘박사기념사업회 2004
37 김종환, "기생충예방을 위한 분뇨의 위생적 처치에 관한 연구- 5. 분뇨 분리식 변소와 기생충 예방효과에 대한 실험" 8 (8): 1965
38 송대석, "기생충 예방을 위한 분뇨의 위생적 처치에 관한 연구: 3. 아질산소-다가 회충난자 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 7 (7): 1964
39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기생충 예방에 바친 한평생" 14 (14): 2011
40 김영수,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 서울역사편찬원 2021-,
41 윤덕진, "경기도에 있어서의 폐디스토마의 역학적 조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965
42 양재모, "가족계획과 모자보건" 12 (12): 1973
43 소진탁, "肝디스토마 流⾏地⽅에 있어서의 數種⾙類內 Cercaria 檢査成績" 1955
44 소진탁, "糞線蟲 Strongyloides stercoralis에 의한 복수환자 일례" 1954
45 橫田陽子, "日本近代における細菌學の制度化-衛生⾏政と大學アカデミズム" 48 : 2009
46 岩本愛吉, "傳染病硏究所の系譜から⾒た日本の感染症對策略史" 64 (64): 2018
47 최원규, "『나의 교우록』을 통해 본 쌍천 이영춘의 외국 보건사회정책의 이해" 3 : 2020
48 한상태, "WHO 사절단이 본 한국보건사업-맥도날드 보고서를 중심으로" 7 (7): 1960
49 Jane Sung Hae KIM, "Securitizing Health: Biosecurity and Postwar Reconstruction in Korea" 한국과학사학회 44 (44): 265-296, 2022
50 Chin-Thack Soh, "Resistance of Free-living Stages of Soil-transmitted Parasites of Pesticides" 6 (6): 1975
51 WHO, "Report of the WHO/UNKRA Health Planning Mission in Korea (맥도널드 보고서)" 1952
5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South Kore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4
53 소진탁, "Lysimachia Clethroides Duby의 縧蟲驅蟲⼒實驗" 1955
54 소진탁, "A New Second Intermediate Host of Genus Paragonimus" 2 (2): 1964
55 양재모, "80년대 지역의료보험의 전개" 5 (5): 1980
56 이동원, "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9) : 339-374, 2020
57 박윤재, "1940-60년대 농촌위생연구소의 활동과 한국 농촌" 2008
58 박윤재, "1940-60년대 농촌위생연구소의 설립과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72) : 253-28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