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과 신체활동 수준, 신체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스트레스 간의 관계 분석과 모형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65660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Mode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Physical Activity Level,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of Adolescents

      • 형태사항

        xii,176 p.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최종환
        참고문헌 : p.146-16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excercise programing through Mode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of how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affects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C city, first, for 200 student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exercise self-schema scale and for 20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to have an interview. Then, the first and the second preliminary surveys on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ere conducted with 1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34 students and the first and second ones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906 students(463 from middle school, 443 from high school) on a 7 week basis respectively for the final scale.
      The tools for measuring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includ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of Korean Adolescents(Hong Seung Yeon, 2006),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Seok Chang Hyuck, 2013), and Stress Questionnaire(Lee Kyung Sook, 2009), which were used by adapting and reconstructing.
      To analyze the study result,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SPSS(ver,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AMOS(ver, 23.0). Based on the research process and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differences among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exercise self-schema in the behavioral-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an fe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behavioral-cognitive factor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ffective factor.
      Second, regarding physical activity level during the day tim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spent more time sitting during the day than male students. More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day time walking than fe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day time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hours of sitting.
      Thir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self-efficacy i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than 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in running,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Fourth,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adolescence stress in all of the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llergy than male students,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ten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tension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llergy.
      The results of relationships among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has a 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not on time for sitting during the day.
      Second, it showed that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and their physical self-efficac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Third, it also showed that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in all the parts of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Fourth, the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stress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allergy have positive correlations, except tension.
      The results of relationship analysis and model verification of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re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in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It also showed that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and day time walking level, interacting with day time physical activity and day time walking factors, and that the more day time sitting, the higher stress level, with day time sitting having a direct effect on stress.
      Second,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lower stress level and vice versa, which is seen when the physical self-efficacy level is high i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body shape and appearance factors.
      Third, physical self-efficacy has a direct effect on physical activity, suggesting a correlation effect that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Fourth, with physical activity level having a direct effect on stress factors, it showed a correlation effect that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 the lower stress level and vice versa.
      Fifth, measurement items and factors among concepts turned out to be valid through research model analysis.
      Sixth, based on path coefficients among each factor, the hypothe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 suitable one and exerts total effec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factors.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e path coefficient analyzing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del verification process, this research model proves to be acceptable, suggesting that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nd provide suitable data to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and constantly maintain th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excercise programing through Mode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of how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affects their physical ac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excercise programing through Model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of how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affects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C city, first, for 200 student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exercise self-schema scale and for 20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to have an interview. Then, the first and the second preliminary surveys on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ere conducted with 1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34 students and the first and second ones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906 students(463 from middle school, 443 from high school) on a 7 week basis respectively for the final scale.
      The tools for measuring physical self-efficacy of adolescents includ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of Korean Adolescents(Hong Seung Yeon, 2006),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Seok Chang Hyuck, 2013), and Stress Questionnaire(Lee Kyung Sook, 2009), which were used by adapting and reconstructing.
      To analyze the study result,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SPSS(ver,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AMOS(ver, 23.0). Based on the research process and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differences among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exercise self-schema in the behavioral-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an fe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behavioral-cognitive factor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ffective factor.
      Second, regarding physical activity level during the day tim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spent more time sitting during the day than male students. More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day time walking than femal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day time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hours of sitting.
      Thir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self-efficacy i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than 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in running,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Fourth,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adolescence stress in all of the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llergy than male students,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ten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tension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llergy.
      The results of relationships among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has a 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not on time for sitting during the day.
      Second, it showed that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and their physical self-efficacy have a meaningful effect o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Third, it also showed that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in all the parts of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appearance, and body shape.
      Fourth, the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stress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allergy have positive correlations, except tension.
      The results of relationship analysis and model verification of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re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in exercise self-schema of adolescents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It also showed that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and day time walking level, interacting with day time physical activity and day time walking factors, and that the more day time sitting, the higher stress level, with day time sitting having a direct effect on stress.
      Second,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lower stress level and vice versa, which is seen when the physical self-efficacy level is high in running, exercise participation, muscle strength, body shape and appearance factors.
      Third, physical self-efficacy has a direct effect on physical activity, suggesting a correlation effect that the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Fourth, with physical activity level having a direct effect on stress factors, it showed a correlation effect that the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 the lower stress level and vice versa.
      Fifth, measurement items and factors among concepts turned out to be valid through research model analysis.
      Sixth, based on path coefficients among each factor, the hypothe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 suitable one and exerts total effec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factors.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e path coefficient analyzing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del verification process, this research model proves to be acceptable, suggesting that exercise self-schema level of adolescent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nd provide suitable data to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and constantly maintai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가설 5
      • 4. 연구 모형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 가설 5
      • 4. 연구 모형 6
      • 5. 용어의 정의 7
      • 6. 연구의 제한점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신체활동 수준 10
      • 2. 청소년 신체적 자기효능감 13
      • 3. 청소년 스트레스 18
      • 4. 운동 자기-도식 23
      • 5. 운동 자기-도식과 관련된 선행 연구 28
      • Ⅲ. 연구방법 31
      • 1. 연구 대상 31
      • 2. 연구 절차 31
      • 3.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 개발 과정 34
      • 4. 조사 도구 50
      • 5. 조사 절차 51
      • 6. 자료 처리 58
      • Ⅳ.연구 결과 59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59
      • 2.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 신체활동 수준,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의 차이 59
      • 3.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과 신체활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간의 관계 86
      • 4.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과 신체활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간의 연구 모형 검증 104
      • Ⅴ. 논의 116
      • 1.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 신체활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운동 자기-도식의 차이 116
      • 2.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과 , 신체활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간 의 관계 126
      • 3. 청소년 운동 자기-도식과 , 신체활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간의 연구 모형 검증 138
      • Ⅵ. 결론 및 제언 141
      • 1. 결론 141
      • 2. 제언 144
      • 참고문헌 146
      • <부록> 1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명애, 최정안, "신체활동의 개념분석",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6(1), 17-31, 2004

      2 김상욱, "교육평가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2004

      3 곽호완,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 그마프레스., 2008

      4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2012

      5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2002

      6 구혜영,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서울", 신정, 2009

      7 송금주, 조정환, "운동방해요인의 다차원 구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5(1), 29-46, 2003

      8 김병준, "운동심리학 이해와 활용,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6

      9 김의수, "건강과 삶 성인병과 운동, 서울", 태근 문화사, 1993

      10 배병렬,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2009

      1 최명애, 최정안, "신체활동의 개념분석",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6(1), 17-31, 2004

      2 김상욱, "교육평가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2004

      3 곽호완,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 그마프레스., 2008

      4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2012

      5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2002

      6 구혜영,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서울", 신정, 2009

      7 송금주, 조정환, "운동방해요인의 다차원 구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5(1), 29-46, 2003

      8 김병준, "운동심리학 이해와 활용, 서울",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6

      9 김의수, "건강과 삶 성인병과 운동, 서울", 태근 문화사, 1993

      10 배병렬,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2009

      11 이경희,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6

      12 김계현, "분노조절 프로그램, 청소년 범죄 연구", 서울, 1993

      13 정용철, 김성일,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 12(1), 5-27, 2001

      14 박창규, "성별 중학생의 스트레스 토착심리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김영호, 이규성, 김의수, "건강증진과 건강교육: 건강한 21C의 준비", 1999

      16 윤상택, "스포츠 참여와 청소년 비행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제주대학교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1995

      17 권혜진, "「청소년분노 현상의 근거이론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18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7

      19 김대경, "운동형태의 범이론적 예측모형 개발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6

      20 황병갑, "중 고등학교 학생의 스포츠활동 참가 장애",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 김선희,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 회지, 33, 347-364, 2008

      22 박수지, "기억 스키마를 중심으로 한 경험디자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3 박현정, "무용정서표현성 구인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4 김병선, 홍승연, 양윤준, 박훈기, "한국청소년 신체활동 설문지(KYPAQ) 의 타당도",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45(5), 161-173, 2006

      25 정 혁,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 반응범주의 최적화", 한국코칭능력개발원, 코칭능력개발지, 9(4), 429-436, 2007

      26 이경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7

      27 이건철, "스포츠 참여가 청소년의 스트레스, 비행과 관계", 한국스포츠리서 치, 16(5), 1483-1490, 2005

      28 박승하,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 스포츠심리학회지, 23(2), 41-55, 2012

      29 윤선미, "중 고등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수준과 자기존중감", 전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0 박원이, "면접 평가도구의 평가자간 일치도와 예언타당도 분석", 인제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1 이인숙, "운동기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3

      32 석창혁,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검사지 개발", 영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3 최인엽, "PAPS를 활용한 초, 중, 고 학생의 건강 체력과 학업성취도",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 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조익희,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동아리활동 참여 실태 분석", 한국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5 홍애숙,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부경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6 함성철, "청소년의 신체활동량이 우울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7 류호상, 정연택, 이옥동, "청소년의 체육수업재미와 정신건강 및 관련 변 인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3), 11-26, 2004

      38 김일호, 홍경,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9 남성관, "성인 남녀들의 체육활동 참여와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계", 대 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0 서유라,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인식", 인 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1 김선아, "교과외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2 정 혁, "한국어판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문항 및 범주기능 검사",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한 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1(3), 67-75, 2009

      43 김용복,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경성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4 한경옥, "중학생의 동아리 체육활동 참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5 이도형,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46 하충곤, 이강헌, "중·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참여유형별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3), 185-202, 2002

      47 김광균, 조성초, 양춘호, "축구클럽활동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5, 767-776, 2005

      48 조월호, "남 여 고등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9 전영수, "레크리에이션댄스가 노년기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0 김미예, 이옥진, "여자 대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지각된 운동방해요인", 한국여성체육학회,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8(4), 117-127, 2004

      51 서정표, "여고생의 신체활동 참여 정도가 HRV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2 이만령, "운동 자기-도식과 자기효능감이 20대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 향",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497-509, 2014

      53 이경구, "스포츠 참여에 따른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분 석",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4 김경렬,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정신건강의 관 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5 송용성,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정신건강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 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6 김건태, "규칙적인 수영 운동이 신체적 자기기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7 조현익, "달리기 애호가들의 운동 자기-도식과 자기관리 및 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1), 415-428, 2015

      58 최두영, "아마추어 골퍼들의 주관적 골프경험과 자기-도식, 지속행동의 관계",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9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본질 탐색, 측정도구 개발 및 운동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0 이혜진, "방과후 학교 운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치, 15(2), 1265-1272, 2004

      61 김근국, "신체활동 즐거움이 체육수업의 내적동기, 재미, 몰입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2 안정진, "여대생의 운동 행동변화단계,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지속과의 관 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3 김수주,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2

      64 김은혜, "댄스스포츠 참가가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65 김주완, "체육계열 대학생의 스포츠활동 목표수준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6 이강우,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이 스트레스 해소 및 학업성취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치, 16(4), 775-783, 2005

      67 이경숙, "방과후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의 관계",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09

      68 김 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변화에 미치 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9 윤호열, "스트레스 관리훈련 통제소재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 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70 김미선, "중학생의 비만의식, 학업스트레스, 신체적 효능감, 식행동의 관련성 분석", 용인대학교,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1 전병관, 김홍석, "청소년의 무도수련과 자아효능감 스트레스 및 자아실현의 인과관계 탐색",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38(4), 280-294, 1999

      72 최용민, "청소년의 여가 스포츠 참여형태와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효능감 비교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치, 17(4), 695-703, 2006

      73 김선희, 김창현,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별 참여정도와 자아존중감,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1), 425-436, 2009

      74 황희석, "중학생의 학년, 성별, 지역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양식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5 조춘호, 박진성, "특기·적성교육 참여가 청소년의 대인예민성, 우울, 정신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제39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집, 171-180, 2000

      76 정영수, "대학생의 운동 자기-도식이 스포츠 정서조절과 자기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449-460, 2015

      77 송현민, "중 고등학교 스포츠클럽 참여 동기가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8 천경민, "청소년의 운동에 대한 기본적 심리요구, 행동규제와 운동변화단 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9 배병석, "수준별 수영참여자의 동기유형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80 성헌제, "중학교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신체활동 수준과 교수-학습에 관 한 인식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1 조종욱, "청소년의 운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의 관계",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2 문승완,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3 최연재, 정연택, 유찬미,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4 정상훈,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 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5 김상훈,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동기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86 황재섭,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무용참여를 통한 문화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87 강승혜, "정직집단과 왜곡집단에서 권위에 대한 태도 자기도식이 반응시 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8 김성미, "중학생의 성별과 BMI 형태에 따른 식생활습관, 신체활동 및 체 형인식의 차이 분석", 용인대학교,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9 조희정, "「타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0 송은영, "참여 스포츠 형태에 따른 스포츠 성향별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1 김덕진, "축구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초등학생의 체육교과 태도와 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46(4), 317-328, 2007

      92 김영호, 박인경,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과 관련된 변화단계, 운동 자기- 도식 그리고 운동지속 의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2), 89-102, 2013

      93 김하나, "중학생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4 조지희, "운동경험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5 전은영,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96 홍세민,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태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7 신정현,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태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8 하정수, "고등학생의 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9 안정미, "청소년들의 분노조절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분노경험영역과 분노반응 전략의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0 고한성, "고등학생의 교과 외 체육활동참여가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 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1 정하영, "여자중학교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습태도와 학업 스 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2 김영호,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3), 1-19, 2002

      103 김연화, "집단 레크리에이션 요법이 시설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 생 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0(1), 19-31, 1999

      104 김문명,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학생건강체력, 신체적 자기개념 및 체육 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05 김종호, "중학생들의 영교시 체육수업이 신체적 자기개념, 체질량지수,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6 박충배,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07 이현주, "여성노인의 운동참가정도와 건강상태지각이 운동 자기 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08 이한숙, "청소년의 스포츠 특기 적성활동 몰입경험과 가정생활만족간의 학업스트레 스매개모형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2(2), 59-70, 2008

      109 민왕식,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0 임종택, "중학생이 자각하는 운동 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1 손영미, 신규리, "청소년의 운동 행동단계별 영향요인 분석: 운동 행동변 화과정과 의사결정균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8(9), 73-99, 2011

      112 신정현, 전선혜, "방과 후 체육 특기적성 활동 참여가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6), 1-14, 2012

      113 박경애,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운동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자기효능 감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인지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4 권혁호, "청소년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에 관한 종단적 연구, 사회적 지 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15 이창훈, "청소년의 스포츠클럽 참여 신념과 신체적 자아효능감이 자아탄 력성 및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6 최미란, "청소년의 스포지움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회 역학적 요인과 신체, 정신건강의 융합성 및 정서의 수력학 모형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스포츠사회 학회지, 20(2), 147-158,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