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눙력 신장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송광섭 본 연구는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능력 신장 방안 연구」라는 제목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960236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2003
한국어
376.6471 판사항(4)
충청남도
iii, 90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0-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눙력 신장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송광섭 본 연구는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능력 신장 방안 연구」라는 제목 ...
논문요약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눙력 신장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송광섭
본 연구는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능력 신장 방안 연구」라는 제목 하에, 기본·심화형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도록 적용함으로써 논술에 대한 흥미 유발, 발표력 신장, 학습자 자신의 논술능력 파악 및 창의적 논술 능력의 신장을 연구의 목적으로 했다.
연구 대상은 2학년 인문반 1개반(34명)으로 하고, 2002년 1월~2002년 10월까지 계획 수립, 관계문헌 고찰, 연구 문제 선정, 주제 선정, 연구를 실행하고 전후 비교법(설문지 조사는 4월, 9월 두 번 실시)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목표 및 실행 계획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첫째로 수준별 논술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했다. 이를 위하여 논술 교육에 관한 수준별 연간 지도계획을 수립했고 이에 의거하여 기본·심화형 수준별 논술 자료를 개발했다.
둘째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수준별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학습자 집단을 수준별(기본반, 심화반)로 편성했다. 학습자의 적성, 필요, 흥미, 학습 능력 등을 고려하여 1개 학급을 학습자 스스로 5개조(각 조당 6~7명)로 구성하고, 각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했다.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적용했다.
셋째로 조별 상호 작용 평가, 전체 토의 학습 및 교사 확인 평가를 통하여 표현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활동에서 제시된 주제에 따라 논술문을 각자 작성하고 조원끼리 상호 평가를 실시한 후 <상호평가 발표록>에 발표할 내용을 부조장이 체계적으로 기록하게 했다.
부조장이 기록한 내용을 조별로 조장 학생이 발표하게 한 다음 발표내용에 대하여 전체 학생들의 토의 과정을 거쳐 이견을 조정하고 올바른 논술 작성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어 발표와 전체 토의를 거쳐 기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조별로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개인별로 제시된 주제에 대하여 내용에 적합한 논술 작성의 방향이 어떤 것인가를 스스로 탐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확인평가를 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탐구학습 실시 후 논술문을 재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이를 평가 기준표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기본·심화형 수준별 학습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학습자의 능력에 적합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학습태도의 향상과 학습 의욕 및 흥미도가 상승 강화되었다.
둘째로 조별 상호 평가 및 발표, 전체 토의 학습과정을 거쳐 발표력이 신장되었다.
그러나 보완해야 할 내용은 모든 학생들에게 논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특히 기본·심화형 수준별 논술 교수-학습 활동에 대체적으로 흥미가 없는 기본과정 학생들이 그 대상이다. 이 학생들에게는 지속적인 연구 과정을 거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충실한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 방법 개선을 통하여 소기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Teaching & Learning Method styled for Level Groups by Song Kwang-sup Korean Language Department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rise t...
ABSTRACT
A Study on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Teaching & Learning Method styled for Level Groups
by Song Kwang-sup
Korean Language Department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rise to students' motivation and to improv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e competence for writing through developing th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styled for level groups and applying them to the real situation.
The number of subjects is 34 students(2-1). After the books related to the theme were examined, the selection of the study problem and the theme was made and the plan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2002. to October 2002. The pre-pos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as a result test method in April 2002 and September 2002.
The specific aims and plans for practice are as follows
1. The year-round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styled for level groups were made and put it into practice.
2. 5 learners' groups were formed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and their attitude, interest, and needs in order to make the vigorous and energetic learning activities. Each group consisted of 6-7 students and the lesson models applying to the each group's level and giving rise to the students' interest were made and presented.
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students' expression and creativity a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each group's interaction and the whole debate and teacher's estimate. Students were made to make writing according to th theme presented in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nd estimate each other's work. Vices in each group were made to write the main points systematically to tell the whole group. After the presidents in each group announced the contents written by vices, all students in each group went through the procedure of discussion and trie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writing. Each group itself estimated the written contents after the announcement and discussion. Then students were made to find which direction for writing was proper in th contents. and then students were made to write a work and submit them and teacher estimated them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results of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styled for level groups applied in the class are as follows
1. Students' learning attitude, desire and interest are much improved as a resul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 student level.
2. Students' expression ability was much improved as a result of class discussion and each other's group estimate activities
Finally I suggest that a teacher should give rise to students' interest about writing. Especially we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in basic level because they are less interested in writing learning. and then that we should develop good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easily. Lastly we must try to improve teaching method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