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 =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in Beij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85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행록에 보이는 북경 천주당 방문 기사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西學에 대한 인식을 해명함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 동안 관련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상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중요한 내용이 누락된 것이 많았다. 이 글은 새로 발굴한 천주당 방문 기사의 소개를 겸해 18세기 연행록에 보이는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교류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18세기 연행록 중 1720년에 연행한 이기지의 「일암연기」, 1727년에 연행한 강호부의 「상봉록」, 1729년에 연행한 김순협의 「연행일록」, 1755년에 연행한 정광충의 「연행일록」, 1761년에 연행한 이의봉의 「북원록」, 1765년에 연행한 홍대용의 「을병연행록」이 비교적 풍부한 천주당 방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1790년에 연행한 서호수는 「열하기유」에서 마테오리치의 묘소를 찾은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여기에는 서학 수용과 관련해 주목되는 내용이 담겨 있다. 18세기 연행록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 천주당 방문 양상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바, 연행사 중 서양인 선교사와 심도 있게 교류한 인물로는 이기지와 이의봉이 주목된다. 이기지는 노론, 이의봉은 소론에 속하여 당색의 차이는 있으나, 두 사람 모두 실용적 지식을 중시하는 가문에 속한 인물이다. 실용을 중시하는 실학적 가풍에서 생장한 이들에게 천주당 방문과 서양 선교사와의 대화는 강렬한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일암연기」와 「북원록」에 상세히 실려 있다. 두 사람의 연행록에서 우리는 조선 후기의 지식인이 전혀 이질적인 문명을 접하는 데서 오는 충격과 경이로움, 그리고 이를 소화해내기 위한 갈등 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한편 서학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던 홍대용과 서호수의 경우는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이 이기지나 이의봉에 비해 한층 원숙하면서도 대등한 모습을 띠고 있다. 연행사와 서양인 선교사의 만남이 갖는 의미를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연행록과 함께 서양 선교사가 남긴 관련 기록을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제간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해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행록에 보이는 북경 천주당 방문 기사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西學에 대한 인식을 해명함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 동안 관련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상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중...

      연행록에 보이는 북경 천주당 방문 기사는 조선 후기 지식인의 西學에 대한 인식을 해명함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 동안 관련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상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중요한 내용이 누락된 것이 많았다. 이 글은 새로 발굴한 천주당 방문 기사의 소개를 겸해 18세기 연행록에 보이는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교류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18세기 연행록 중 1720년에 연행한 이기지의 「일암연기」, 1727년에 연행한 강호부의 「상봉록」, 1729년에 연행한 김순협의 「연행일록」, 1755년에 연행한 정광충의 「연행일록」, 1761년에 연행한 이의봉의 「북원록」, 1765년에 연행한 홍대용의 「을병연행록」이 비교적 풍부한 천주당 방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1790년에 연행한 서호수는 「열하기유」에서 마테오리치의 묘소를 찾은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여기에는 서학 수용과 관련해 주목되는 내용이 담겨 있다. 18세기 연행록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어 천주당 방문 양상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바, 연행사 중 서양인 선교사와 심도 있게 교류한 인물로는 이기지와 이의봉이 주목된다. 이기지는 노론, 이의봉은 소론에 속하여 당색의 차이는 있으나, 두 사람 모두 실용적 지식을 중시하는 가문에 속한 인물이다. 실용을 중시하는 실학적 가풍에서 생장한 이들에게 천주당 방문과 서양 선교사와의 대화는 강렬한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일암연기」와 「북원록」에 상세히 실려 있다. 두 사람의 연행록에서 우리는 조선 후기의 지식인이 전혀 이질적인 문명을 접하는 데서 오는 충격과 경이로움, 그리고 이를 소화해내기 위한 갈등 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한편 서학에 대한 이해가 남달랐던 홍대용과 서호수의 경우는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이 이기지나 이의봉에 비해 한층 원숙하면서도 대등한 모습을 띠고 있다. 연행사와 서양인 선교사의 만남이 갖는 의미를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연행록과 함께 서양 선교사가 남긴 관련 기록을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제간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해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ighteenth century, a number of Joseon Korean envoys visited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recorded such experiences in their yeonhaengrok (Korean travel literature to Qing China), which are invaluable sources for us to examine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ough study on the topic of Koreans` encounter with Western missionaries has been advanced by modern scholars to a great extent, the precedent scholarship left out some significant records owing to the limitations of their examined materials. In his paper, I presents newly discovered record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provides an account of general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as described in yeonhaengrok of the eighteenth century. We can see relatively detailed report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in such yeonhaengrok as Yi Gi-ji`s Iram yeon-gi (1720), Gang Ho-bu`s Sangbong rok (1727), Kim Sun-hyoep`s Yeonhang irok (1729), Jeong Gwang-chung`s Yeonhang irok (1755), Yi Ui-bong`s Bukwon rok (1761), and Hong Dae-yong`s Eulbyeong yeonhangrok (1765). As late as in Seo Ho-su`s Yeorha giyu (1790), we can see the report of his visiting Matteo Ricci`s tomb and his noteworthy discussion on Joseon Korea`s reception of Western Learning. In my discussion, I will show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isitors to Catholic churches and their mee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diving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ngrok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nd I examine as a case study Iram yeon-gi (1720) specifically by offering detailed tables of important cultural matters, which contains the richest accoun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engrok. Because Yi Gi-ji and Yi Ui-bong were two of the most enthusiastic Koreans for interac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the eighteenth century, I put their records in my focus. Though Yi Gi-ji and Yi Ui-bong came from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they had shared interests in Practical Learning. For this reason, they must have showed strong intellectual curiosity for Western things and thereby visited Catholic churches and had conversations with Western missionaries there. From their records of yeonhaengrok, we can see vividly what impacts or wonders the new foreign civilization did bring out to Joseon Korean intellectuals, and how they responded to and handled such cultural confrontations. At any rate, we should remember that Hong Dae-yong and Seo Ho-su exhibited more matured understaning of that foreign civilization and assumed a more informed and confident attitude in their conversation with Western missionaries than other Koreans, obviusly thanks to their broad knowledge of Western Learning. To have a balanced view of inter-cultural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we need to examine not just Korean yeonhaengrok but also those accounts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such inter-cultural issues by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번역하기

      In the eighteenth century, a number of Joseon Korean envoys visited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recorded such experiences in their yeonhaengrok (Korean travel literature to Qing China), which are invaluable sources for us to examine Korean intell...

      In the eighteenth century, a number of Joseon Korean envoys visited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recorded such experiences in their yeonhaengrok (Korean travel literature to Qing China), which are invaluable sources for us to examine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ough study on the topic of Koreans` encounter with Western missionaries has been advanced by modern scholars to a great extent, the precedent scholarship left out some significant records owing to the limitations of their examined materials. In his paper, I presents newly discovered record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provides an account of general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as described in yeonhaengrok of the eighteenth century. We can see relatively detailed reports of Koreans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in such yeonhaengrok as Yi Gi-ji`s Iram yeon-gi (1720), Gang Ho-bu`s Sangbong rok (1727), Kim Sun-hyoep`s Yeonhang irok (1729), Jeong Gwang-chung`s Yeonhang irok (1755), Yi Ui-bong`s Bukwon rok (1761), and Hong Dae-yong`s Eulbyeong yeonhangrok (1765). As late as in Seo Ho-su`s Yeorha giyu (1790), we can see the report of his visiting Matteo Ricci`s tomb and his noteworthy discussion on Joseon Korea`s reception of Western Learning. In my discussion, I will show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isitors to Catholic churches and their mee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diving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ngrok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nd I examine as a case study Iram yeon-gi (1720) specifically by offering detailed tables of important cultural matters, which contains the richest accoun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yeonhaengrok. Because Yi Gi-ji and Yi Ui-bong were two of the most enthusiastic Koreans for interacting with Western missionaries in the eighteenth century, I put their records in my focus. Though Yi Gi-ji and Yi Ui-bong came from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they had shared interests in Practical Learning. For this reason, they must have showed strong intellectual curiosity for Western things and thereby visited Catholic churches and had conversations with Western missionaries there. From their records of yeonhaengrok, we can see vividly what impacts or wonders the new foreign civilization did bring out to Joseon Korean intellectuals, and how they responded to and handled such cultural confrontations. At any rate, we should remember that Hong Dae-yong and Seo Ho-su exhibited more matured understaning of that foreign civilization and assumed a more informed and confident attitude in their conversation with Western missionaries than other Koreans, obviusly thanks to their broad knowledge of Western Learning. To have a balanced view of inter-cultural interaction between Korean envoys and Western missionaries, we need to examine not just Korean yeonhaengrok but also those accounts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such inter-cultural issues by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익철, "李器之의 ?一菴燕記?와 西學 접촉 양상" 동방한문학회 (29) : 163-191, 2005

      2 줄리오 알레니, "직방외기" 일조각 2005

      3 노대환, "조선 후기의 서학유입과 서기수용론" 83 : 121-154, 1997

      4 김동건, "이기지의 『일암연기』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5 임기중, "연행록 일본소장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1

      6 이시필, "소문사설, 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2-34, 2011

      7 강재언, "서양과 조선—그 이문화 격투의 역사" 학고재 57-64, 1998

      8 姜浩溥, "상봉녹, In 연행록선집보유 下" 2008

      9 李魯春, "북연긔"

      10 최소자, "동서문화교류사연구" 삼영사 150-189, 1987

      1 신익철, "李器之의 ?一菴燕記?와 西學 접촉 양상" 동방한문학회 (29) : 163-191, 2005

      2 줄리오 알레니, "직방외기" 일조각 2005

      3 노대환, "조선 후기의 서학유입과 서기수용론" 83 : 121-154, 1997

      4 김동건, "이기지의 『일암연기』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5 임기중, "연행록 일본소장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1

      6 이시필, "소문사설, 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2-34, 2011

      7 강재언, "서양과 조선—그 이문화 격투의 역사" 학고재 57-64, 1998

      8 姜浩溥, "상봉녹, In 연행록선집보유 下" 2008

      9 李魯春, "북연긔"

      10 최소자, "동서문화교류사연구" 삼영사 150-189, 1987

      11 "국역 담헌서"

      12 조창록, "鶴山 徐浩修의 {熱河紀遊}-18세기 西學史의 수준과 지향-" 국학연구원 (135) : 171-199, 2006

      13 李英裕, "雲巢漫錄"

      14 姜世晃, "豹菴燕京編, In 한국문집총간 속집 80" 豹菴遺稿

      15 金萬重, "西浦漫筆" 통문관 1971

      16 Jean-Baptiste Du Halde, "耶蘇會士中國書簡集" 大象出版社 2005

      17 李頤命, "燕行雜識, In 한국문집총간 172" 疎齋集

      18 白景炫, "燕行錄, In 연행록선집보유 中" 2008

      19 趙瑍, "燕行日錄, In 연행록선집보유 中" 2008

      20 정은주, "燕行使節의 西洋畵 인식과 寫眞術 유입 ― 北京 天主堂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30) : 157-199, 2008

      21 朴趾源, "熱河日記, In 한국문집총간 252권" 燕巖集

      22 山口正之, "淸朝에 있어서 在支歐人과 朝鮮使臣" 44 (44): 1933

      23 南泰齊, "椒蔗錄"

      24 임형택, "朝鮮使行의 海路 燕行錄 :17세기 東北亞의 歷史轉換과 實學" 한국실학학회 (9) : 1-35, 2005

      25 李瀷, "星湖僿說"

      26 劉侗, "帝京景物略"

      27 李健命, "寒圃齋使行日記, In 연행록선집보유 上"

      28 費賴之, "在華耶蘇會士列傳及書目" 中華書局 1986

      29 李商鳳, "北轅錄, In 연행록선집보유 上" 2008

      30 顧衛民, "中國天主敎編年史" 上海書店出版社 2003

      31 方豪, "中國天主敎史人物傳" 中華書局 1988

      32 李器之, "一庵燕記, In 연행록선집보유 上" 2008

      33 김동건, "『一庵燕記』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 한국고전번역원 40 (40): 235-264, 2012

      34 임종태, "“서양의 물질문화와 조선의 衣冠”: 李器之의 『一菴燕記』에 묘사된 서양 선교사와의 문화적 교류" 한국실학학회 (24) : 367-401, 2012

      35 임종태, "‘극동(極東)과 극서(極西)의 조우’: 이기지(李器之)의 『일암연기(一菴燕記)』에 나타난 조선 연행사의 천주당 방문과 예수회사와의 만남" 한국과학사학회 31 (31): 377-411, 2009

      36 장경남, " 조선후기 연행록의 天主堂 견문기와 西學 인식" 우리문학회 (26) : 77-117, 2009

      37 정인보, "[단행본] 담원鄭寅普全集 . v.5 , 담원문록(상)" 연세대출판부 43-, 1983

      38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39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0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1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2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3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4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5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6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7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8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49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50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51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52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53 임기중, "[단행본] 燕行錄全集.1 - 100"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54 신익철, "The Experiences of Visiting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and the Recognition of Western Learning Reflected in the Journals of Travel to Beijing" 한국학중앙연구원 9 (9): 11-32, 2006

      55 원재연, "17~19세기 조선사행의 북경 천주당 방문과 서양인식, In 서세동점과 조선왕조의 대응" 한들출판사 181-213, 2003

      56 원재연, "17~19세기 연행사의 북경 내 활동공간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6) : 205-26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