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single-infeed line-commutated convert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LCC HVDC)가 설치된 계통 내에서 무효전력 보상설비가 주는 계통 강건도의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현재 강건도를 평가하는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single-infeed line-commutated convert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LCC HVDC)가 설치된 계통 내에서 무효전력 보상설비가 주는 계통 강건도의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현재 강건도를 평가하는 대...
본 논문은 single-infeed line-commutated convert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LCC HVDC)가 설치된 계통 내에서 무효전력 보상설비가 주는 계통 강건도의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현재 강건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인 short circuit ratio (SCR)과 effective short circuit ratio (ESCR)은 컨버터가 연계된 계통에서 계통의 강건도를 판별할 수 있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지표는 무효전력 보상설비 투입에 따라 변동하는 강건도를 평가하는 것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동적 무효전력 보상설비가 계통 강건도에 주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류형 HVDC 인근에 무효전력을 보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동적 무효전력 보상설비인 static var compensator (SVC)와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STATCOM)을 설치하여 계통의 강건도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용량과 제어기 속도에 따라 강건도의 지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효전력 보상설비와 전류형 HVDC가 연계된 계통을 설계하고 강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apparent increasing short circuit ratio (AISCR)을 통해 계통에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해당 시뮬레이션은 PSCAD/EMTDC 환경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동작을 확인하였으며, 강건도에 대한 평가는 MATLAB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