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쪽 분절과 바깥 분절의 변형 및 추가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ddition and modification of inner segments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1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the neon color spreading using the modified Redies-Spillmann figure. Experiment 1 examined the effect of collinearity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

      F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the neon color spreading using the modified Redies-Spillmann figure. Experiment 1 examined the effect of collinearity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and experiment 2 compared the effect of continuity. Experiment 3-1 and 3-2,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me space and length of colored segments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Experiment 4 tested how the degree of neon color spreading changed when inner and outer segments were add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mpact of outer segments was stronger than inn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in collineartity and continuity. However, the effects of identical spaces and lengths were less important than collinearity and continuity on color spreading. In contrast with addition of inner segments, when outer segments were added color spreading were reduc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ntrifugal color spreading is stronger than centripetal spreading and that the subjective contours and the color spreading are caused by separate mechanis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변형된 Redies-Spillmann 도형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색 분절의 바깥쪽에 있는 분절과 안쪽에 있는 분절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1에서는 안쪽 분절과 바깥쪽 분절의 ...

      변형된 Redies-Spillmann 도형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색 분절의 바깥쪽에 있는 분절과 안쪽에 있는 분절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1에서는 안쪽 분절과 바깥쪽 분절의 공선성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연결성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3-1과 3-2에서는 바깥쪽 분절과 색 분절의 간격의 동일성과 길이의 동일성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4에서는 안쪽 분절과 바깥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 네온 색 확산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안쪽 분절의 공선성과 연결성의 영향보다는 바깥쪽 분절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격의 동일성과 길이의 동일성은 공선성이나 연결성에 비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했다. 안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는 네온 색 확산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바깥쪽 분절이 추가될 경우 네온 색 확산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색 확산이 안쪽 윤곽과 바깥쪽 윤곽의 내부로 일어날 때 그 진행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며 주관적 윤곽과 네온 색 확산은 별개의 기제에 의해서 만들어짐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준익, "유도 선분의 첨가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157-159, 1999

      2 Jory, M. K., "The relationship between brightness contrast and illusory contours" 8 : 3-9, 1979

      3 Watanabe, T., "The relation between color spreading and illusory contours" 47 : 457-467, 1991

      4 Redies, C., "The neon color effect in Ehrenstein illusion" 10 : 667-681, 1981

      5 Peterhans, E., "Neuronal responses to illusory contour stimuli reveal stages of visual cortical processing" Visual Neuroscience 343-351, 1986

      6 Grossberg, S., "Neural dynamics of form perception: Boundary completion, illusory figures, and neon color spreading" 92 : 173-211, 1985

      7 Bressan, P., "Neon color spreading: a review" 26 : 1353-1366, 1997

      8 Jory, M. K., "Increment thresholds in illusory contour line pattern" The Perception of Illusory Contours 183-190, 1987

      9 Frisby, J. P., "Illusory contours: Curious cases of simultaneous brightness contrast?" 4 : 349-357, 1975

      10 Kato, H., "Hypercomplex and simple/complex cell classification in cat striate cortex" 41 : 1071-1095, 1978

      1 장준익, "유도 선분의 첨가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157-159, 1999

      2 Jory, M. K., "The relationship between brightness contrast and illusory contours" 8 : 3-9, 1979

      3 Watanabe, T., "The relation between color spreading and illusory contours" 47 : 457-467, 1991

      4 Redies, C., "The neon color effect in Ehrenstein illusion" 10 : 667-681, 1981

      5 Peterhans, E., "Neuronal responses to illusory contour stimuli reveal stages of visual cortical processing" Visual Neuroscience 343-351, 1986

      6 Grossberg, S., "Neural dynamics of form perception: Boundary completion, illusory figures, and neon color spreading" 92 : 173-211, 1985

      7 Bressan, P., "Neon color spreading: a review" 26 : 1353-1366, 1997

      8 Jory, M. K., "Increment thresholds in illusory contour line pattern" The Perception of Illusory Contours 183-190, 1987

      9 Frisby, J. P., "Illusory contours: Curious cases of simultaneous brightness contrast?" 4 : 349-357, 1975

      10 Kato, H., "Hypercomplex and simple/complex cell classification in cat striate cortex" 41 : 1071-1095, 1978

      11 Watanabe, T., "Effects of luminance contrast on color spreading and illusory contour in the neon color spreading effect" 45 : 427-430, 1989

      12 Redies, C., "Colored neon flank line gap enhancement" 24 : 1301-1309, 1984

      13 Grossberg, S., "3-D vision and figure-ground separation by visual cortex" 55 : 48-120,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실험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CI등재
      2009-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실험심리학회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4 0.73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