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준규, "梁參議傳의 敍事構造와 그 의미" 우리한문학회 12 (12): 353-379, 2005
2 이준규,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95-630, 2010
3 이준규, "沈遠悅 문학에 나타난 民衆的 情緖와 해체적 양상 고찰 - 長篇古詩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367-405, 2005
4 유정열, "형제 관계 속에서 본 심노숭(沈魯崇)의 문학 활동 - 청년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245-274, 2015
5 이준규, "학음 심원열의 시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 박동욱, "조선시대 임종 장례 일기 연구" 근역한문학회 56 : 73-101, 2020
7 沈遠悅, "鶴陰散稿"
8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記事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5-35, 2004
9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思惟意識과 散文世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경미, "鶴陰 沈遠悅 記文의 서술방식과 歷史認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307-345, 2008
1 이준규, "梁參議傳의 敍事構造와 그 의미" 우리한문학회 12 (12): 353-379, 2005
2 이준규,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95-630, 2010
3 이준규, "沈遠悅 문학에 나타난 民衆的 情緖와 해체적 양상 고찰 - 長篇古詩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367-405, 2005
4 유정열, "형제 관계 속에서 본 심노숭(沈魯崇)의 문학 활동 - 청년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245-274, 2015
5 이준규, "학음 심원열의 시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 박동욱, "조선시대 임종 장례 일기 연구" 근역한문학회 56 : 73-101, 2020
7 沈遠悅, "鶴陰散稿"
8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記事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5-35, 2004
9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思惟意識과 散文世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경미, "鶴陰 沈遠悅 記文의 서술방식과 歷史認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307-345, 2008
11 한의숭, "鶴陰 沈遠悅의 『용창총설』에 대하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8 : 2005
12 黃玹, "梅泉野錄"
13 송수환, "1858년 암행어사의 전울산부사沈遠悅 감찰" 조선시대사학회 (94) : 335-37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