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질, 학을 떼게 만드는 고통의 기억-심원열의 「침질기」를 중심으로- = malaria, the memory of suffering to death -With Shim Wonyeol's Chimjil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4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im Won-yeol(1792-1866) wrote "Chimjilgi" (Volume 5), an impressive record of the quality of the school. The Chimjilgi consists of a total of 118 rules. The process from the onset of his father, Shim No-sung (1766- 1811), to fighting and dying was recorded in detail in the form of a diary. This record should be viewed as the death diary attached with the records of the disease. Not only are various medications that were made by visiting several clinics to treat hemorrhoids and receiving prescriptions from them recorded, but the family's response to the patient is also written in detail.
      The Chimjilgi is one of the longest records of time and amount of time during the dying funeral, as it was targeted for six months when the disease became serious. This record was completed on June 17, 1811, centering on the daily notes.
      The contents mainly deal with anecdotes from the day, various prescriptions with the clinic in charge, an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father. It is based on 1-2 rules a day, but if there is an important change that day, it is composed of several rules. I am writing down the records of the day, but I supplemented the feelings I felt in the future in the form of memorial service, memorial service, and memorial service. As traces of ink erasing are found in the middle, it seems to be in an unprepared state.
      The characters were limited to Shim No-sung, Shim No-am brothers, Shim Won-yeol, and lawmakers. Unlike other records dealing with visitors, other characters rarely appear in the Dormant Period. It focuses entirely on work related to father's disease by ensuring choice and concentration. Since the things that happened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dialogue, the situation at the time is vividly conveyed. Due to the nature of these records, emotions are often restrained and described in a dry manner, but "Darkness" is also excellent in literature because of its lyrical aspect and wit.
      Bedroom is a more detailed record of the quality of the crane than any other record. Related clinics and prescriptions are left in great detail, so it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medically. Records of medication appear to be necessary to prevent future prescription grounds or duplicate medication. These objective records are also meaningful, but most impressive of all was the response and response of the patient himself and the patient's family. The friendship between Shim No-sung and Shim No-am was well known, but you can check the brotherly love between the two in detail in "Chimjilgi." The son felt sorry and blamed himself as his father's condition became more serious. At some point, the father admits the death that will happen to him and shows pity for his son who will be left in his absence. It is a very impressive work to see the father and son struggling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front of the death incident together.
      번역하기

      Shim Won-yeol(1792-1866) wrote "Chimjilgi" (Volume 5), an impressive record of the quality of the school. The Chimjilgi consists of a total of 118 rules. The process from the onset of his father, Shim No-sung (1766- 1811), to fighting and dying was re...

      Shim Won-yeol(1792-1866) wrote "Chimjilgi" (Volume 5), an impressive record of the quality of the school. The Chimjilgi consists of a total of 118 rules. The process from the onset of his father, Shim No-sung (1766- 1811), to fighting and dying was recorded in detail in the form of a diary. This record should be viewed as the death diary attached with the records of the disease. Not only are various medications that were made by visiting several clinics to treat hemorrhoids and receiving prescriptions from them recorded, but the family's response to the patient is also written in detail.
      The Chimjilgi is one of the longest records of time and amount of time during the dying funeral, as it was targeted for six months when the disease became serious. This record was completed on June 17, 1811, centering on the daily notes.
      The contents mainly deal with anecdotes from the day, various prescriptions with the clinic in charge, an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father. It is based on 1-2 rules a day, but if there is an important change that day, it is composed of several rules. I am writing down the records of the day, but I supplemented the feelings I felt in the future in the form of memorial service, memorial service, and memorial service. As traces of ink erasing are found in the middle, it seems to be in an unprepared state.
      The characters were limited to Shim No-sung, Shim No-am brothers, Shim Won-yeol, and lawmakers. Unlike other records dealing with visitors, other characters rarely appear in the Dormant Period. It focuses entirely on work related to father's disease by ensuring choice and concentration. Since the things that happened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dialogue, the situation at the time is vividly conveyed. Due to the nature of these records, emotions are often restrained and described in a dry manner, but "Darkness" is also excellent in literature because of its lyrical aspect and wit.
      Bedroom is a more detailed record of the quality of the crane than any other record. Related clinics and prescriptions are left in great detail, so it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medically. Records of medication appear to be necessary to prevent future prescription grounds or duplicate medication. These objective records are also meaningful, but most impressive of all was the response and response of the patient himself and the patient's family. The friendship between Shim No-sung and Shim No-am was well known, but you can check the brotherly love between the two in detail in "Chimjilgi." The son felt sorry and blamed himself as his father's condition became more serious. At some point, the father admits the death that will happen to him and shows pity for his son who will be left in his absence. It is a very impressive work to see the father and son struggling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front of the death incident toge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沈遠悅(1792∼1866)은 학질에 대한 인상적인 기록인 「寢疾記」(권5)를 문집에 남겼다. 「침질기」는 총 118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버지인 沈魯巖(1766∼1811)의 發病부터 시작하여 투병과 臨終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일기 형태로 상세히 기록했다. 이 기록은 病錄을 첨부한 임종 일기로 보아야 한다. 「침질기」는 병세가 심각해진 6개월을 그 대상으로 했으니 임종 장례 일기 중에 가장 긴 시간과 분량을 기록한 자료 중 하나다. 학질을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의원을 찾아 나서고 그들로부터 처방을 받아 이루어졌던 다양한 투약이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자에 대한 가족의 대응이 상세하게 적혀 있다.
      내용은 당일에 있었던 일화, 담당 의원과 각종 처방, 아버지의 몸 상태 등을 주로 다루고 있다. 하루에 1-2칙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그날 중요한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여러 칙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당일의 기록을 적고 있지만 그 일에 대해 훗날에 느꼈던 감회를 追思, 追念, 追書 같은 형식으로 보충해 놓았다. 중간중간에 먹으로 지운 흔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완전히 정돈되지 않은 초고의 상태로 보인다.
      등장 인물은 심노숭, 심노암 형제와 심원열 그리고 의원 등으로 한정했다. 통상 내방객들을 다루는 다른 기록들과 달리 「침질기」에서는 다른 인물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선택과 집중을 확실히 하여 온전히 아버지 병과 관련된 일에만 중심을 두고 있다. 있었던 일들을 대화의 형식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당시 상황이 생생하게 전달된다. 이런 기록의 특성상 감정을 상당히 절제해서 건조하게 기술되기 마련이지만, 「침질기」는 서정적인 면모나 위트가 드러나서 문학성 또한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침질기」는 어떤 기록보다 학질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다. 관련된 의원과 처방들이 매우 소상히 남겨져 있어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투약에 대한 기록은 훗날 처방의 근거나 중복 투약을 막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로 보인다. 이러한 객관적인 기록도 의미가 있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환자 본인과 환자 가족들의 대처와 반응이었다. 심노숭과 심노암의 우애는 익히 알려져 있었지만 「침질기」에서 두 사람의 형제애를 다시금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아들은 아버지의 병세가 심각해질수록 안타까워하고 스스로 자책했다. 아버지는 어느 순간부터 자신에게 일어날 죽음이란 사건을 인정하고 자신의 부재 속에 남겨질 아들에 대한 안쓰러움을 드러낸다. 부자가 죽음이란 사건을 함께 앞에 두고 환자와 가족의 입장에서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인 작품이다.
      번역하기

      沈遠悅(1792∼1866)은 학질에 대한 인상적인 기록인 「寢疾記」(권5)를 문집에 남겼다. 「침질기」는 총 118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버지인 沈魯巖(1766∼1811)의 發病부터 시작하여 투병과 臨終...

      沈遠悅(1792∼1866)은 학질에 대한 인상적인 기록인 「寢疾記」(권5)를 문집에 남겼다. 「침질기」는 총 118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버지인 沈魯巖(1766∼1811)의 發病부터 시작하여 투병과 臨終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일기 형태로 상세히 기록했다. 이 기록은 病錄을 첨부한 임종 일기로 보아야 한다. 「침질기」는 병세가 심각해진 6개월을 그 대상으로 했으니 임종 장례 일기 중에 가장 긴 시간과 분량을 기록한 자료 중 하나다. 학질을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의원을 찾아 나서고 그들로부터 처방을 받아 이루어졌던 다양한 투약이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자에 대한 가족의 대응이 상세하게 적혀 있다.
      내용은 당일에 있었던 일화, 담당 의원과 각종 처방, 아버지의 몸 상태 등을 주로 다루고 있다. 하루에 1-2칙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그날 중요한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여러 칙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당일의 기록을 적고 있지만 그 일에 대해 훗날에 느꼈던 감회를 追思, 追念, 追書 같은 형식으로 보충해 놓았다. 중간중간에 먹으로 지운 흔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완전히 정돈되지 않은 초고의 상태로 보인다.
      등장 인물은 심노숭, 심노암 형제와 심원열 그리고 의원 등으로 한정했다. 통상 내방객들을 다루는 다른 기록들과 달리 「침질기」에서는 다른 인물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선택과 집중을 확실히 하여 온전히 아버지 병과 관련된 일에만 중심을 두고 있다. 있었던 일들을 대화의 형식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당시 상황이 생생하게 전달된다. 이런 기록의 특성상 감정을 상당히 절제해서 건조하게 기술되기 마련이지만, 「침질기」는 서정적인 면모나 위트가 드러나서 문학성 또한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침질기」는 어떤 기록보다 학질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다. 관련된 의원과 처방들이 매우 소상히 남겨져 있어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투약에 대한 기록은 훗날 처방의 근거나 중복 투약을 막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로 보인다. 이러한 객관적인 기록도 의미가 있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환자 본인과 환자 가족들의 대처와 반응이었다. 심노숭과 심노암의 우애는 익히 알려져 있었지만 「침질기」에서 두 사람의 형제애를 다시금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아들은 아버지의 병세가 심각해질수록 안타까워하고 스스로 자책했다. 아버지는 어느 순간부터 자신에게 일어날 죽음이란 사건을 인정하고 자신의 부재 속에 남겨질 아들에 대한 안쓰러움을 드러낸다. 부자가 죽음이란 사건을 함께 앞에 두고 환자와 가족의 입장에서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인 작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규, "梁參議傳의 敍事構造와 그 의미" 우리한문학회 12 (12): 353-379, 2005

      2 이준규,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95-630, 2010

      3 이준규, "沈遠悅 문학에 나타난 民衆的 情緖와 해체적 양상 고찰 - 長篇古詩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367-405, 2005

      4 유정열, "형제 관계 속에서 본 심노숭(沈魯崇)의 문학 활동 - 청년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245-274, 2015

      5 이준규, "학음 심원열의 시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 박동욱, "조선시대 임종 장례 일기 연구" 근역한문학회 56 : 73-101, 2020

      7 沈遠悅, "鶴陰散稿"

      8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記事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5-35, 2004

      9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思惟意識과 散文世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경미, "鶴陰 沈遠悅 記文의 서술방식과 歷史認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307-345, 2008

      1 이준규, "梁參議傳의 敍事構造와 그 의미" 우리한문학회 12 (12): 353-379, 2005

      2 이준규, "沈遠悅 산문의 公安派 受容樣相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95-630, 2010

      3 이준규, "沈遠悅 문학에 나타난 民衆的 情緖와 해체적 양상 고찰 - 長篇古詩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4 (24): 367-405, 2005

      4 유정열, "형제 관계 속에서 본 심노숭(沈魯崇)의 문학 활동 - 청년기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59) : 245-274, 2015

      5 이준규, "학음 심원열의 시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 박동욱, "조선시대 임종 장례 일기 연구" 근역한문학회 56 : 73-101, 2020

      7 沈遠悅, "鶴陰散稿"

      8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記事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5-35, 2004

      9 이경미, "鶴陰 沈遠悅의 思惟意識과 散文世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경미, "鶴陰 沈遠悅 記文의 서술방식과 歷史認識"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307-345, 2008

      11 한의숭, "鶴陰 沈遠悅의 『용창총설』에 대하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8 : 2005

      12 黃玹, "梅泉野錄"

      13 송수환, "1858년 암행어사의 전울산부사沈遠悅 감찰" 조선시대사학회 (94) : 335-376,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