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6년의 홍역-權相一의 『淸臺日記』에 기록된 감염병의 시간 = 46 Years of Measles-The time of infectious disease recorded in Kwon Sang-il's di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4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a disease narrative on the topic of measles from Cheongdaeilgi, Kwon Sang-il’s diary. I read this dia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Kwon's 46 years of measles-conscious life, and described the life of Kwon in three phases.
      In 1707, a 29-year-old student Kwon was living in Sangju. Despite the epidemic of measles, he had to make an uneasy trip back and forth to Changnyeong to take a local exam. He, who has not yet acquired immunity to measles, tried to avoid areas contaminated with infectious diseases as much as possible for safety. Through his travel rout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widespread prevalence of measles in Hyeonpung, Seonsan, Gimcheon, and Sangju.
      In 1719 and 1720, Kwon Sang-il, a central official in his 40s, recorded an epidemic of measles while traveling between his temporary residence in Chang-dong, Seoul and his hometown in Sangju. It is confirmed in his diary that children and young people, including Kwon's son and the Crown Prince of Joseon, suffered measles in various parts of the province and in Seoul, and that the principle of action of Kwon, which protects himself by avoiding areas contaminated with infectious diseases, is still being implemented.
      In 1752 and 1753, Kwon Sang-il, an elderly man in his 70s who lived in Sangju's hometown, was a renowned old-age scholar who had to repeatedly refuse the government's request to work in a high-ranking public office. Kwon, who had not suffered from measles until then, took care of his health and took care of his family and local community during the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And he tried to carry on the ordinary daily life of holding ancestral rites and welcoming guests as safely as possible. On New Year's Day in 1753, 46 years after recognizing and being careful about the dangers of measles, 75-year-old Kwon was able to overcome the measles well and expect the rest of his life with a grateful heart.
      Cheongdaeilgi, which recorded 46 years of measles, reveals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rough the days of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insights into diseases and life gained through that time. This diary has present significance in that resp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a disease narrative on the topic of measles from Cheongdaeilgi, Kwon Sang-il’s diary. I read this dia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Kwon's 46 years of measles-conscious life, and described the life of Kwon in 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a disease narrative on the topic of measles from Cheongdaeilgi, Kwon Sang-il’s diary. I read this dia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Kwon's 46 years of measles-conscious life, and described the life of Kwon in three phases.
      In 1707, a 29-year-old student Kwon was living in Sangju. Despite the epidemic of measles, he had to make an uneasy trip back and forth to Changnyeong to take a local exam. He, who has not yet acquired immunity to measles, tried to avoid areas contaminated with infectious diseases as much as possible for safety. Through his travel rout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widespread prevalence of measles in Hyeonpung, Seonsan, Gimcheon, and Sangju.
      In 1719 and 1720, Kwon Sang-il, a central official in his 40s, recorded an epidemic of measles while traveling between his temporary residence in Chang-dong, Seoul and his hometown in Sangju. It is confirmed in his diary that children and young people, including Kwon's son and the Crown Prince of Joseon, suffered measles in various parts of the province and in Seoul, and that the principle of action of Kwon, which protects himself by avoiding areas contaminated with infectious diseases, is still being implemented.
      In 1752 and 1753, Kwon Sang-il, an elderly man in his 70s who lived in Sangju's hometown, was a renowned old-age scholar who had to repeatedly refuse the government's request to work in a high-ranking public office. Kwon, who had not suffered from measles until then, took care of his health and took care of his family and local community during the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And he tried to carry on the ordinary daily life of holding ancestral rites and welcoming guests as safely as possible. On New Year's Day in 1753, 46 years after recognizing and being careful about the dangers of measles, 75-year-old Kwon was able to overcome the measles well and expect the rest of his life with a grateful heart.
      Cheongdaeilgi, which recorded 46 years of measles, reveals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rough the days of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insights into diseases and life gained through that time. This diary has present significance in that re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하나인 홍역에 초점을 두고 『淸臺日記』의 질병 서사를 구축하고자 했다. 46년간 홍역을 의식하며 살았던 저자 權相一(1679∼1759)의 생애를 다음 세 국면으로 나눠 기술했다.
      1707년, 경상도 尙州에 거주하는 29세의 擧子 권상일은 홍역이 유행하는 가운데 향시에 응시하기 위해 昌寧까지 불안한 여정을 왕복했다. 홍역의 ‘未疫者’였던 그는 안전을 위해 감염병에 오염된 지역을 피하고자 노력했다. 그의 이동 경로를 통해 창녕 이북의 玄風과 善山, 金泉, 상주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홍역이 유행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1719년과 1720년, 40대 중앙관료 권상일은 서울 倉洞의 우거와 상주의 고향집 사이를 오가며 홍역이 유행하는 양상을 기록했다. 권상일의 아들 權煜, 왕세자 李昀 등 어린이와 젊은이 들이 경향 각지에서 홍역을 치른 사례를 볼 수 있으며, 감염병에 오염된 구역과 거리를 둠으로써 자신을 지키고자 했던 ‘미역자’ 권상일의 행동원칙이 관철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1752년과 1753년, 상주의 고향집에 머물던 70대 노인 권상일은 조정의 출사 요청을 거듭 거절해야 하는 명망 있는 노학자였다. 노년까지 홍역의 ‘미역자’였던 권상일은, 자신을 돌보고 가정과 지역 공동체를 보살피며 감염병 상황에서 관혼상제의 일상을 가능한 한 안전하게 이어나가고자 노력했다. 이처럼 감염병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조심한 지 46년 된 1753년 정초에 75세의 권상일은 마침내 홍역을 잘 치르고 감사한 마음으로 여생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46년간의 홍역을 기록한 권상일의 『청대일기』는 오랜 감염병 시절을 통과하는 개인 및 공동체의 삶의 모습과 그 시간에서 얻게 된 질병과 삶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하나인 홍역에 초점을 두고 『淸臺日記』의 질병 서사를 구축하고자 했다. 46년간 홍역을 의식하며 살았던 저자 權相一(1679∼1759)의 생애를 다음 세 국면으...

      본고에서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하나인 홍역에 초점을 두고 『淸臺日記』의 질병 서사를 구축하고자 했다. 46년간 홍역을 의식하며 살았던 저자 權相一(1679∼1759)의 생애를 다음 세 국면으로 나눠 기술했다.
      1707년, 경상도 尙州에 거주하는 29세의 擧子 권상일은 홍역이 유행하는 가운데 향시에 응시하기 위해 昌寧까지 불안한 여정을 왕복했다. 홍역의 ‘未疫者’였던 그는 안전을 위해 감염병에 오염된 지역을 피하고자 노력했다. 그의 이동 경로를 통해 창녕 이북의 玄風과 善山, 金泉, 상주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홍역이 유행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1719년과 1720년, 40대 중앙관료 권상일은 서울 倉洞의 우거와 상주의 고향집 사이를 오가며 홍역이 유행하는 양상을 기록했다. 권상일의 아들 權煜, 왕세자 李昀 등 어린이와 젊은이 들이 경향 각지에서 홍역을 치른 사례를 볼 수 있으며, 감염병에 오염된 구역과 거리를 둠으로써 자신을 지키고자 했던 ‘미역자’ 권상일의 행동원칙이 관철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1752년과 1753년, 상주의 고향집에 머물던 70대 노인 권상일은 조정의 출사 요청을 거듭 거절해야 하는 명망 있는 노학자였다. 노년까지 홍역의 ‘미역자’였던 권상일은, 자신을 돌보고 가정과 지역 공동체를 보살피며 감염병 상황에서 관혼상제의 일상을 가능한 한 안전하게 이어나가고자 노력했다. 이처럼 감염병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조심한 지 46년 된 1753년 정초에 75세의 권상일은 마침내 홍역을 잘 치르고 감사한 마음으로 여생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46년간의 홍역을 기록한 권상일의 『청대일기』는 오랜 감염병 시절을 통과하는 개인 및 공동체의 삶의 모습과 그 시간에서 얻게 된 질병과 삶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한국국학진흥원일기류DB"

      3 "한국고전종합DB"

      4 권상일, "청대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5

      5 전성건, "청대 권상일의 일상과 기억" 민족문화연구소 (62) : 39-63, 2016

      6 전경목, "조선후기 지방유생들의 修學과 과거 응시- 권상일의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88) : 263-310, 2007

      7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8 우인수, "일기에서 역사를 엿보다 - 『청대일기』를 중심으로" 새물결 2016

      9 최은주,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영남지방 지식인과 과거시험의 형상화"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8 (38): 231-265, 2013

      10 우인수, "영남 남인 권상일의정치사회적 활동과 위상" 민족문화연구소 (62) : 3-37, 2016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한국국학진흥원일기류DB"

      3 "한국고전종합DB"

      4 권상일, "청대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15

      5 전성건, "청대 권상일의 일상과 기억" 민족문화연구소 (62) : 39-63, 2016

      6 전경목, "조선후기 지방유생들의 修學과 과거 응시- 권상일의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88) : 263-310, 2007

      7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8 우인수, "일기에서 역사를 엿보다 - 『청대일기』를 중심으로" 새물결 2016

      9 최은주,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영남지방 지식인과 과거시험의 형상화"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8 (38): 231-265, 2013

      10 우인수, "영남 남인 권상일의정치사회적 활동과 위상" 민족문화연구소 (62) : 3-37, 2016

      11 유종호, "시와 말과 사회사" 서정시학 2009

      12 심규식, "靑松沈氏 古文獻을 통해 본 樗村 沈錥의 생애와 학문" 민족문학사연구소 (68) : 551-584, 2018

      13 권상일, "淸臺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14 권상일, "淸臺日記" 國史編纂委員會 2003

      15 조유영, "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9 (49): 249-286, 2016

      16 김하라, "『흠영(欽英)』에 기록된 감염병의 경험: 1786년 서울의 홍진(紅疹) 유행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43) : 69-98, 2021

      17 이수환,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민족문화연구소 (62) : 67-101, 2016

      18 장유승, "『청대일기』 연구 - 서지․어문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서지학회 (30) : 91-214, 2006

      19 정은진, "『청대일기』 소재 청대 권상일의 한시와 그 성격" 민족문화연구소 (62) : 103-154, 2016

      20 김효경, "『淸臺日記』를 통해서 본 18세기 士族의 편지 往來" 한국사학회 (88) : 229-262, 2007

      21 김소은, "18세기 嶺南 士族의 일상과 생활의례(Ⅰ)-『청대일기』에 나타난 혼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8) : 185-228, 2007

      22 노혜경, "18세기 한 嶺南 南人의 관직생활 - 權相一의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88) : 311-360, 2007

      23 최은주, "18세기 어느 울산부사를 통해 본 지방관 글쓰기의 실제 - 淸臺 權相一의 울산부사 시절을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6) : 161-196, 2009

      24 정수환, "18세기 권상일의 시장접촉과 화폐경제생활 - 權相一의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04) : 37-81, 2011

      25 이병훈, "17~18세기 문경 근암서원의 운영 실태" 영남문화연구원 (73) : 95-128,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